• 제목/요약/키워드: 전체크리프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콘크리트 크리프 변형 예측을 위한 비선형 4-매개변수 모델의 제안 (The Suggestion of Nonlinear 4-Parameters Model for Predicting Creep Deformation of Concrete)

  • 이창수;김현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A호
    • /
    • pp.45-54
    • /
    • 2006
  •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제적인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크리프와 수축에 관한 구성방정식을 정량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인 변형 중에서 크리프 변형에 관한 현상학적인 문제를 수학적으로 전개하고 유변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크리프에 관한 예측모델을 구성한다. 고전적인 4-매개변수 모델에 기초하여 각각의 변형성분을 조합하고, 적절한 크리프 변형을 얻어내기 위한 4개의 매개변수들을 재령영향과 겔 입자간의 연결을 제거하려는 미세프리스트레스의 영향을 고려하여 비선형 함수로 구성된 매개변수들을 전개하며 회복이 불가능한 점성변형에 대하여 습윤평형상태와 건조상태에서 모두 예측할 수 있는 유효점성계수를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예측모델은 실험결과와 상관계수 99%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다단계 재하시험에 의한 함안층 적색 셰일의 크리프특성 (Creep Behaviour of Red Shale in the Haman Formation by Multi Stage Loading Test)

  • 조래훈;김교원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165-175
    • /
    • 2009
  •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분포하는 함안층내 적색 셰일에 대하여 단일단계 크리프 시험과 다단계 크리프 시험을 수행하여 대상 암석의 크리프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획득된 전체 데이터를 회귀분석하여 Griggs(1936)가 제시한 수식 ${\epsilon}_t$=a+$b{\cdot}log$ t +$c{\cdot}t$의 각 크리프 상수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1차, 2차 크리프의 전이시간(Tt)은 d/dt($b{\cdot}log$ t)=d/dt($c{\cdot}t$) 되는 시간으로 하였다. 세 번의 다단계 크리프 시험으로 재하하중과 크리프 상수간의 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획득된 크리프 상수값과 시료파괴시의 최대 변형률에 따라 각 재하하중에서의 시료파괴 예상시간(Ft)을 예상하였다.

남해안 모래의 장기 크리프 침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Long-term Creep Settlements of Nam-Hae Sands)

  • 박언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9호
    • /
    • pp.21-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모래의 장기 크리프 침하 특성을 평가하고자 상대밀도별로 표준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최종 하중 단계에서의 누적 침하량은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간극비의 변화량도 감소하였다. 모래의 장기 크리프 침하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침하량에 대해서 상대밀도에 따라 4.7~11.0%의 크리프 침하가 발생하였다. 또한, Schmertmann et al. (1978)의 크리프 계수, Beta는 0.17~0.40(평균 0.21)로 평가되었고, 일정 하중단계 이상이 되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층두께에 따른 크리프 계수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어 실제 현장 층두께와 무관하게 크리프 계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공단계를 고려한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의 해석 (Analysis of Concrete Frame Structure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equences)

  • 곽효경;서영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1-184
    • /
    • 1999
  • 이 논문은 시공단계를 고려한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물의 거동 해석을 다루고 있다. 고층건물의 경우 하루에 시공이 완료되지 않으므로 각 시공단계에 따라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현상은 다르게 발생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프레임 해석기법에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 도입된 해석기법은 단면을 가상의 층으로 나누고 각층은 일축상태로 가정한 적층단면을 사용하였다. 요소는 평면 보요소를 사용하였으며 강성행렬은 변위법을 바탕으로 유도하였고 전체적인 구조해석은 비선형 구조해석 방법의 하나인 복합법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단면의 각 층에서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률을 계산하였으며 크리프는 크리프 Compliance의 전개에 기본을 둔 1차 순환적 단계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프레임해석 및 기둥축소에 관한 예제를 해석하였다.

  • PDF

잠실제2롯데월드용 고강도 콘크리트 크리프 및 건조수축 실험결과 및 예측결과 비교분석 (Creep and Shrinkage Strain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ncrete Test and Experimental Results of Lotte Super Tower)

  • 차한일;문형재;석원균;박순잔;이주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309-310
    • /
    • 2009
  • 본 연구는 잠실제2롯데월드 초고층 건축 프로젝트의 기둥축소량에 필요한 첫 번째 단계인 재료연구(일명 콘크리트 테스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18개월간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측정결과가 확보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강도와 하중재령별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회기분석을 실시하여 예측모델식에 따른 유도식을 제안하였다. 비교분석 시 사용된 예측 모델식은 ACI209R Model, Bazant-Baweja B3 Model, CEB MC99 Model, 및 GL2000 Model 등과 같이 네 가지 의 모델식을 활용하였다. 결과분석항목은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체 건조수축 변형과 단위 응력당 전체 크리프 변형(Compliance)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 PDF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거동 (Creep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Nylon Fibers at Elevated Temperatures)

  • 김영선;이태규;김우재;김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27-636
    • /
    • 2011
  •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방지용 보강 섬유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대신하여 나일론 섬유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고온에 노출된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및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주로 폭렬 특성,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에 대한 평가만이 수행되고 있으며, 열팽창 변형, 전체 변형, 크리프 변형 및 과도 변형과 같은 거동은 평가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W/B 0.30~0.15에 따른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열팽창 변형, 전체 변형, 크리프 및 과도 변형 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나일론 섬유는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성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으며,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는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보통 강도 콘크리트보다 큰 과도 변형을 나타냈다.

실험결과와 예측식을 통한 고강도 고성능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특성파악 (Creep and shrinkage properties using concrete test results and prediction models for high strength and high performance concrete)

  • 차한일;문형재;석원균;박순전;이주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09-712
    • /
    • 2008
  • 최근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건물이 계획 또는 시공 중에 있다. 콘크리트가 가지는 시간의존적인 재료특성인 크리프 및 건조수축 특성파악이 초고층 건물 시공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부등축소량 해결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잠실 제2롯데월드의 부등축소량 해결을 위한 사전단계인 재료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당사 프로젝트 코어부 콘크리트 배합 50, 60, 70MPa에 대한 재료연구의 첫 번째 단계로 진행 중인 콘크리트 테스트 프로그램의 결과 값과 예측 모델식에 의한 결과 값을 전체 건조수축 변형과 단위 응력당전체 크리프 변형(Compliance)에 근거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사용된 예측 모델식은 ACI209R Model,Ba${\check{z}}$ant-Baweja B3 Model, CEB MC99 Model, 및 GL2000 Model등과 같다. 그리고 사전설계 단계에서 재료실험 없이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특성을 간단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고성능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적절한 예측 모델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고감쇠 고무받침의 장기 크리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Long-term Creep characteristic of High Damping Rubber Bearings)

  • 오주;박진영;박건록;김씨동;박성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0
    • /
    • 2009
  • 지진격리 구조물은 하부구조에서 상부구조로 전달되는 지진력의 현저한 감소가 요구되는 경우 고감쇠 고무받침(HDRB)과 같은 지진격리받침을 사용하는 구조물로서 내진설계의 도입 이후부터 많이 설계, 시공되고 있다. 적층고무받침은 지진격리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부재이다. 적층형 고무받침의 기본 특성은 압축시험, 압축전단시험, 크리프시험 등을 통하여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축 응력 7.5MPa, 8.37MPa인 지진격리받침(고감쇠 고무받침)을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실험실에서 1000시간동안 크리프 시험을 실시하였다. 고감쇠 고무받침과 같은 지진격리받침을 실제 교량환경 상태에서 장기간 압축 크리프 시험한 결과 1000시간 후 최대크리프 변형은 전체 고무두께의 $0.3{\sim}1.92%$로 변형하였다.

다축응력 상태에 놓인 콘크리트외 크리프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Creep of Concrete under Multiaxial Stresses)

  • 권승희;김선영;김진근;이수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85-194
    • /
    • 2004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대부분 1축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부재가 다축응력 상태에 놓이는 경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다축응력 상태의 콘크리트 크리프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다축응력 상태에 놓인 콘크리트의 크리프 특성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였다. 세 가지 서로 다른강도를 갖는 배합의 콘크리트에 대해 각각 9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1축, 2축, 3축 응력 상태에서 크리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중이 가해지는 세 방향에서 시간에 따른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가압시점의 푸아송비와 크리프변형에 기인한 푸아송비 그리고 탄성변형과 크리프변형에 기인한 푸아송비를 구하였으며, 각 콘크리트에 대한 세 가지 푸아송비는 근사적으로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압시점의 푸아송비와 전체 변형에 대한 푸아송비는 콘크리트 강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 푸아송비는 응력상태에 따라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체적성분의 응력과 크리프변형률, 편차성분의 응력과 크리프변형률은 선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경사기능재료를 사용한 스마트 무인기 덕트의 열해석과 크리프 해석 (Thermal and Creep Analysis of an Exhaust Duct of Smart UAV with FGM)

  • 임종빈;박정선;윤동영;이정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5-73
    • /
    • 2006
  • 무인항공기는 엔진에서 연료의 연소, 배기관에서 고온의 연소 배기 가스등으로 인하여 많은 부분에 고온이 발생한다. 이는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이다. 경사기능재료는 고온의 환경에서 열에 저항하기 위해 한쪽 재료는 세라믹으로, 다른 쪽 재료는 가볍고 구조적 강성을 지닌 금속재료로 점차적으로 변화된 재료를 사용한 일종의 복합재료이다. 경사기능재료는 뛰어난 내열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고온 상태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경사기능재료를 무인항공기의 엔진 배기 덕트에 적용하여 열적 거동을 고찰하였고, 경사기능 층이 20개, 40개, 60개, 80개, 100개인 경사기능재료를 덕트 구조물에 적용하여 각각의 열 및 열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경사기능재료를 사용한 고온 내열 배기 덕트의 크리프 해석을 수행하여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