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체론

Search Result 1,83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and Mereology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 Kang, Soo-Whe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3 no.2
    • /
    • pp.167-201
    • /
    • 2010
  •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possibility of mereology as philosophically satisfiable metalogic. Motivation for this is straightforward. As I see, a traditional approach to metalogic presented in the name of mathematical logic posi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entities such as sets, functions, models, etc. to give definitions of logical concepts like logical consequence. As a result, whenever logic is used in any individual sciences, this set-theoretical metalogic cannot but add these mathematical entities to the domain of them. This fact makes this approach contradict to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Mereology, however, has been alleged to be ontologically innocent, while it is a formal system very similar to set theory. So it may well be that some people thought of mereology as a good substitute for set theoretic metalanguage and concepts for ontologically neutral metalogic. Unfortunately, when we look into argument for the ontological innocence of mereology, we can find that mereological entities such as mereological sums or fusions are not ontologically neutral. Thus we can conclude that mereological approach to metalogic is not promising at all.

  • PDF

시스템 다이내믹스 접근법과 원자력 부문

  • Kim, Seong-Ho;Song, In-Jin;Choe, Gwang-Sik;Choe, Ye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7.11a
    • /
    • pp.1-8
    • /
    • 2007
  • 최근에, 에너지 부문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전체론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이 국내외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에너지 부문에서, 특히 원자력 시설과 같이 복잡 시스템은 전체론적 접근법 대신에 주로 결정론적 방법이나 확률론적 방법과 같은 기존의 분석적 접근법으로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같은 전체론적 접근법으로 문제들을 다루는 경우, 기존 접근법으로 얻을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작업의 목적은 한국원자력 부문에 시스템 다이내믹스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 그 현황을 소개하고, 앞으로 이러한 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과 분석적 방법론의 융합에 기반한 정보와 기술력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본다.

  • PDF

의미 전체론과 의미 불안정성 문제에 관하여

  • Lee, Byeong-D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7 no.2
    • /
    • pp.1-14
    • /
    • 2004
  • 현재의 언어철학에서 거의 지배적인 위상을 갖고 있는 의미 전체론이 직면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의미 불안정성 문제'이다. 의미 전체론에 의하면, 한 진술의 동일성 조건이 그 진술이 속한 이론에 상대적이기 때문에 전체 이론이 조금만 바뀌어도 그 진술의 의미가 바뀌게 되는 의미 불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 문제에 관한 기존의 해결 방식의 일부를 소개한 후 브랜덤이 그의 책 Making It Explicit (1994)에서 제시한 새로운 해결책을 소개하고 이를 옹호한다. 브랜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공통적인 것을 공유하는 것이라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기존 모델을 거부하고, "실천 속에서의 일종의 협동"으로서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제시한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브랜덤이 제시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적극 옹호한다.

  • PDF

A Geodesign Methodology for Landscape Design (조경설계를 위한 Geodesign 방법론)

  • Ko, Jae Yong;Kim, Eun 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6
    • /
    • pp.77-87
    • /
    • 2015
  • A design methodology for sustainable on the earth requires a synthetic, and holistic perspective to understand natural processes and urban environments. The apperceptive, holistic landscape design methodology includes one united environment combining analysis, planning and design. In addition, the individual process needs to provide enough spatial information and demands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impact of a design result. The perspective and vision of Ian Mcharg, as asserted in his book, Design with Nature (1969), that the earth is one superorganism is being realized with Geodesign technologies. This paper made the following research efforts which can overcome the limit of the present GIS technologies for the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es, analysis of foreign Geodesign cases and applied theories, suggestion of a Geodesign methodology for landscape design, selection of Geodesign tools and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ology, and finally the demonstration of effectiveness and potentiality by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Generalized Decoherence Model (일반화된 디코히어런스 모델)

  • 고성범;임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07-309
    • /
    • 2002
  • 지능은 창발적 현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주장이 맞는다면, 지능에 대한 현재의 환원론적 접근 방법은 제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지능에 속하는 주제들을 하나의 전체론적 틀 안에서 다툴 수 있을때, 지능의 본질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지능적 주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를 수 있는 일반화된 디코히어런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Decoherence Model (디코히어런스 모델)

  • Ko, Sung-Bum;Lim,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573-576
    • /
    • 2002
  • 지능은 창발적 현상이며, 창발적 현상은 환원론적 방법론으로 다루기에 적합한 대상이 아니다. 즉, 지능에 속하는 주제들을 하나의 전체론적 틀 안에서 다룰 수 있을 때, 지능의 간질에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지능적 주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일반화된 디코히어런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Algorithm for Partitioning the Simulation Models Based on DEVS-features for Distributed Simulation Environment (분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DEVS 특성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 분배 방법)

  • Kang, Won-Seok;Kim, K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513-518
    • /
    • 2007
  • 시뮬레이션 방법론에 있어서 모델기반 시뮬레이션과 프로세스기반 시뮬레이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재사용성, 확장성, 시뮬레이터 기술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모델기반 시뮬레이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컴퓨터 시스템, 항공, 자동차 등에서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모델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수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모델을 정의하는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형식론은 계층적이고 모듈화 된 형태로 이산사건 시스템을 기술한다. 대규모의 복잡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 할 목적으로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이 있는데, 이들은 크게 동기적인 방법과 비동기적인 방법이 있다. 동기적 방식보다 빠른 수행을 위해 비동기적 방법은 전체 Time-order 순이 아닌 로컬 Time-order를 가진다. 그러나 비동기적 방식에는 분산된 시뮬레이터들 간의 전체 Time-order를 유지하기 위해 전 처리된 시뮬레이터 결과들을 저장하는데, Time-order 상으로 현재의 시뮬레이션 시간보다 과거의 사건이 왔을 때 그 이벤트를 처리해주어야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동기적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에서는 전체 Time-order를 유지하기 위해 과거의 Time-order를 가지는 이벤트가 왔을 때 rollback operation을 수행한다. 그러나 rollback operation은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에서 성능 장애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rollback operation을 최소할 할 수 있는 DEVS 모델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entence-Frame based English-to-Korean Machine Translation (문틀기반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

  • 최승권;서광준;김영길;서영애;노윤형;이현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323-328
    • /
    • 2000
  • 국내에서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을 1985 년부터 개발한 지 벌써 15년이 흐르고 있다. 15년의 영한 자동번역 기술개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의 번역품질은 4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번역품질이 낮은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textbullet$ 입력문에 대해 파싱할 때 오른쪽 경계를 잘못 인식함으로써 구조적 모호성의 발생문제: 예를 들어 등위 접속절에서 오른쪽 등위절이 등위 접속절에 포함되는 지의 모호성. $\textbullet$ 번역 단위로써 전체 문장을 대상으로 한 번역패턴이 아닌 구나 절과 같은 부분적인 번역패턴으로 인한 문장 전체의 번역 결과 발생. $\textbullet$ 점차 증가하는 대용량 번역지식의 구축과 관련해 새로 구축되는 번역 지식과 기구축된 대용량 번역지식들 간의 상호 충돌로 인한 번역 품질의 저하. 이러한 심각한 원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틀에 기반한 새로운 영한 자동번역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문틀에 기반한 영한 자동번역 방법론은 현재 CNN 뉴스 방송 자막을 대상으로 한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다. 이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data-driven 방법론에 속한다. 문틀기반 자동번역 방법론은 규칙기반 자동번역 방법론보다는 낮은 단계에서 예제 기반 자동번역 방법론 보다는 높은 단계에서 번역을 하는 번역방법론이다. 이 방법론은 영한 자동번역에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쌍의 번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매자 주도 협상방법론을 통한 최적 공급사슬 구성 알고리즘

  • 조재형;김현수;최형림;홍순구;손정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11a
    • /
    • pp.409-416
    • /
    • 2004
  • 동적 공급사슬망은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구매자로부터 주문 의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므로 하위 구성원들은 경쟁적 관계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최적의 공급사슬구성을 위해서는 수평적 경쟁 관계를 고려하여 구성주체들간의 협력관계를 통해 이를 해결하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스케줄링 문제에서는 상위의 구성원이 하위 구성원들을 일방적으로 선택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졌으나 본 문제에서는 구성원간의 협력관계에서 에이전트를 통한 다자간 협상을 통해 공급사슬 전체의 최적화를 구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협상방법론은 단일기계에서 상이한 납기일, 조기생산(earliness), 지연생산(tardiness)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전체 공급사슬의 평균절대편차(Mean Absolute Deviation)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협상방법론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해 분지한계법(Branch & Bound)과 비교하고, 알고리즘 구현을 통해 구매자 협상방법론의 최적화 여부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 PDF

A heterogeneous Simulation Environment Based on DEVS Formalism and High Level Architecture (DEVSim-HLA: DEVS 형식론과 High Level Architecture에 기반을 둔 이 기종 시뮬레이션 환경)

  • 김용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03a
    • /
    • pp.38-4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DEVS 형식론과 High Level Architecture에 기반을 둔 이 기종 시뮬레이션 환경의 구축에 대해 기술한다. DEVS 형식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기술된 모델들을 동일한 형식론으로 간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즉, 이산사건 모델링을 위한 세가지 세계관(world view)으로 기술된 시뮬레이션 모델들을 DEVS 형식론으로의 변환을 통해 전체적으로는 DEVS 형식론만을 사용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였다. High Level Architecture는 시뮬레이션 수행시의 상호 연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때, DEVS 형식론과 High Level Architecture에서의 시뮬레이션 시간 진행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의 해결을 Synchronizer, EOS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