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 직접 이동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모바일RFID포럼

  • Lee, Hyeok-Jae
    • TTA Journal
    • /
    • s.102
    • /
    • pp.25-31
    • /
    • 2005
  • 국내 휴대폰 기술은 세계적인 이동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유지하고 있으며, 휴대폰을 통해 전자통장, 영화감상, MP3 음악감상, 증권, 텔레매틱스, 게임, 복권, 사진촬영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점차 유비쿼터스 정보단말로 진화하고 있는 휴대폰에 RFID 리더를 장착하는 기술융합을 통하여 약품 복용법 안내, 영화 미리보기, 상품정보 검색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물에 부착된 태그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정보 등을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모바일 RFID는 Off-Line의 사물에 On-Line을 접목시켜 사람과 사물의 직접적 정보소통 관계를 만들어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를 앞당기는 첨병으로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산업영역을 발굴하여, 경제적 부가가치 증대 및 국가경쟁력 향상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분야이다.

  • PDF

Port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IoT를 활용한 항만보안 시스템)

  • Jeong, Hong-Ju;Kim, Chae-Un;Lee, Dong-Min;Yun, Dong-Uk;Yoo, S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68-1070
    • /
    • 2022
  • 우리나라의 무역 활동을 처리하는 항만은 국가 주요시설로 보안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의 면적이 넓고 복잡하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사각지대에서의 불법행위 단속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항만의 보안 강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항만의 상황을 이동형 CCTV에 부착된 IoT 센서들로 인식하여 YOLOv5 딥러닝 모델로 분석한 후 웹 대시보드에 시각화하는 항만 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동형 CCTV는 특정 위치로 직접 이동할 수 있어 거리에 따라 해상도가 낮아지는 기존 CCTV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시스템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비들과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다른 보안장비들에 비해 효율적인 비용으로 높은 보안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본 시스템은 항만시설뿐 아니라 군사시설, 물류시설 등 보안을 중요시하는 다른 분야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alization for Moving Object Sensing and Path Tracking System using Stereo Line CCDs (스테레오 라인 CCD를 이용한 이동객체감지 및 경로추적 시스템 구현)

  • Ryu, Kwang-Ryol;Kim, Young-B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1
    • /
    • pp.2050-2056
    • /
    • 2008
  • A realization for moving object sensing and tracking system in two dimensional plane using stereo line CCDs and lighting source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ystem is realized that instead of processing camera images directly, two line CCD sensor and input line image is used to measure two dimensional distance by comparing the brightness on line CCDs. The algorithms are used the moving object sensing, path tracking and coordinate converting method. To ensure the effective detection of moving path, a detection algorithm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d distance is developed. The realized system results are that the performance of moving object recognizing shows 5mm resolution, and enables to track a moving path of object per looms period.

A New Vessel Path Prediction Method Based on Anticipation of Acceleration of Vessel (가속도 예측 기반 새로운 선박 이동 경로 예측 방법)

  • Kim, Jonghee;Jung, Chanho;Kang, Dokeun;Lee, Chang Jin
    • Journal of IKEEE
    • /
    • v.24 no.4
    • /
    • pp.1176-1179
    • /
    • 2020
  • Vessel path prediction methods generally predict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a future location directly. However, in the case of direct prediction, errors could be large since the possible output range is too broad. In addition, error accumulation could occur since recurrent neural networks-based methods employ previous predicted data to forecast future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a vessel path prediction method that does not directly predict the longitude and latitude. Instead, the proposed method predicts the acceleration of the vessel. Then the acceleration is employed to generate the velocity and direction, and the values decide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the future location. In the experiment,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makes smaller errors than the direct prediction method, while both methods employ the same model.

Research Trends of Two 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이차원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기술개발 동향)

  • Yun, S.J.;Lim, J.W.;Cho, D.H.;Chung, Y.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6
    • /
    • pp.43-52
    • /
    • 2014
  • 수 원자층 두께의 전이금속 칼코겐화물 이차원 반도체 소재는 스위칭 소자 등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며, 높은 이동도와 우수한 광반응성으로 인해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차원 소재이므로 dangling bond가 없다는 점, 구조적 안정성, 실리콘에 뒤지지 않는 고이동도, 직접천이 특성 등으로 인해 차세대 전자소자용, 더 나아가 실리콘 반도체 대체 소재로써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이금속 칼코겐화물 이차원 반도체의 소재 특성과 제조방법, 소자 응용면에서의 기술개발 동향, 시장전망 등에 대해 소개하고, 이 소재가 현재 기대하는 만큼 중요하게 활용되고 기술이 발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Indirect Channel Noise Measurement in Powerline Communications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방안 연구)

  • Son, Hyun-Il;Oh, Hui-Myoung;Lee, Jae-Jo;Lee, Won-Tae;Kim, Kwa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611-26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주위 환경에 의한 Noise 및 여러 통신매체에 의한 방해전파에 의해 전력선 통신 채널은 송신 측의 고출력 요구와 가능한 전력선 통신의 대역폭이 감소하는 악화된 통신환경을 보여 준다. 이러한 Noise를 측정하는 방법은 Coupling Capacitor를 이용한 직접 측정 방식과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간접 측정 방식이 있다. 전자는 광범위한 측정지역과 측정장비의 설치 등에서의 번잡함으로 효과적인 Noise 측정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식의 Noise 측정 결과의 비교 및 검토를 통해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식의 장점과 보완할 점을 검토였으며, 특히 직접 측정 방식과의 결과 값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상관관계 분석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 PDF

Facility Management Drone with Built-in Autopilot Function (오토파일럿이 가능한 시설물 관리 드론)

  • Park, Myeong-Chul;Kim, Jun-Young;Joen, Hwa-Yeol;Bae, Chang-Ho;Park, Sang-Mii;Han, D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87-488
    • /
    • 2021
  • 시설물 점검은 사람이 직접 들어가거나 올라가 확인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 점검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드론과 아두이노를 이용한 센서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어려운 조작의 드론에 건물 내부에서 호버링이 가능하게 하는 옵티컬 플로어 센서를 장착아여 조작을 보다 쉽게 한다. 또한, 외부 비행 시 GPS센서를 사용하여 좌표지정을 통한 자동비행을 가능하게 하고 아두이노의 센서와 펌프를 적용한 "오토파일럿이 가능한 시설물 관리 드론"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드론과 다르게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해 시설물 관리를 대신하고, 외부 시설물 관리나 농업 등에서 사용할 때 좌표를 지정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지정한 좌표로 드론이 이동하여 관리 및 임무를 수행한다. 센서들의 값을 앱으로 전송받아 핸드폰으로 받아 볼 수 있다.

  • PDF

Trend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증강현실(AR) 기술개발 동향)

  • Chun, H.W.;Han, M.K.;Jang,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54-61
    • /
    • 2017
  •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실제공간에 가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증강하여 사용자가 증강된 가상정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현실공간을 직접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로 활용하는 증강현실은 가상세계 구성을 위한 3차원 모델링의 부담을 줄인 반면, 사용자 이동과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 PDF

State of Solid oxide fuel cell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현황)

  • Song, Ra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5c
    • /
    • pp.1-5
    • /
    • 2002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무공해 고효율의 에너지 발전 장치이다. 연료전지는 형태는 1 세대 알카리형 연료 전지부터 인산형, 고분자전해질형, 직접메탄올형, 용융탄산염형 그리고 3세대인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들이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음극 및 양극 그리고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전해질 및 내부연결재 등이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이동형으로부터 소형발전 시스템 및 대형 복합발전시스템에 걸쳐 많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PDF

Stator-Flux-Oriented Vector Control of Five-Phase Induction Motors with Concentrated Windings (집중권 5상 유도 전동기의 고정자 자속 기준 직접 벡터제어)

  • Jeong, Geon-Hui;Lee, Dong-C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30-131
    • /
    • 2014
  • 집중권 5상 유도전동기에서 기본파 $d_1-q_1$와 3고조파 $d_3-q_3$ 공간의 비동기화시 자속밀도의 파형이 왜곡되어 자속이 포화되고 철손이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두 좌표축의 동기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속각의 동기화를 고려한 고정자 자속기준 벡터제어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