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수용

검색결과 1,062건 처리시간 0.034초

전자펜 하이테크 상품의 소비자 만족도와 기술수용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TAM of High Technology Electric Pen Product)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61-168
    • /
    • 2019
  • 전자펜의 소비자 활용도 및 제품 개선점 분석을 위해 Davies(1989)의 TAM 모형을 적용하여 전자펜 사용자들의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 및 기대가치를 통한 기술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업 설문내용에 기반 한 내용분석법과 고객들의 참여도인 Activity 분석을 통해 전자펜 제품의 기술수용정도와 제품 전략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펜의 활용도를 보인 고객들은 30~49세의 남성과 사무직과 연구원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사항에 대한 키워드 중심의 내용분석법의 분석결과 전원동작의 개선, App 연계 펜 기능의 확장성, 전자펜의 수정기능, 펜의 데이터인식 기능, 전자펜이 펜으로서의 필기감, 그립감, 펜 굵기 선택 등 세분화 기능의 개선, 타 스마트 기기와의 동기화 개선과 충전기능의 개선 필요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자펜에 TAM을 적용하여 전자펜이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확산되기 위한 제품속성 개선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된 전자펜 제품 확산과의 차이점 규명 통해 차별화 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퇴적 유기물 분해과정에 따른 물질 거동 변화 예측을 위한 수치모델 적용 (Application of a Numerical Model for the Prediction of Vertical Profiles of Electron Acceptors Based on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in Benthic Sediments)

  • 최정현;박석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5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유기물 분해과정 중 이용된 전자 수용체와 분해과정에서 생산된 환원 물질의 농도 변화를 적절히 파악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수치모델을 개발하였다. 퇴적물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전자 수용체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반응들은 전자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6가지 형태로 구분 할 수 있다: (1) 호기성 분해(Aerobic Respiration), (2) 탈질(Denitrification), (3) 망간 환원(Manganese Reduction), (4) 철 환원(Iron Reduction), (5) 황산염 환원(Sulfate Reduction), (6) 메탄 환원(Methanogenesis). 이와 같은 6가지 반응은 양론(Stoichiometry)적으로 표현되어지며, 여기에 관여하는 3개의 고형물질(침전성 유기물질, manganese oxides, iron oxides)과 8개의 용존물질 (oxygen, nitrate, sulfate, ammonia, dissolved manganese, dissolved iron, sulfide, methane)의 움직임은 1차원 물질수지 방정식으로 모델에서 재현되어졌다. 퇴적물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반응은 Monod 반응식을 이용하여 간단히 표현되어졌다. 퇴적물에 포함된 물질들에 대한 물질수지 방정식들은 Monod 반응식에 포함된 비선형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단계의 반복적인 수치해석법에 의해 안정적인 해를 구할 수 있었다.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weert et al.(1991a)이 Netherland의 Veluwe 호수의 퇴적물에서 조사한 자료에 모델결과를 비교하였고, 결과로써 산출된 전자 수용체와 환원 물질의 수직적 분포형태는 관측간과 비교적 잘 부합하였다. 그러나 모델을 통하여 예측된 $NH_4^+$의 농도는 측정된 농도보다 훨씬 낮은 것이 관찰이 되었는데, 이는 모델에서 유기물질을 표현할 때 사용한 Redfield의 유기물식이 본 연구에 적용된 퇴적물에서의 높은 질소 함유율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 결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퇴적물 깊이에 따른 전자 수용체와 환원된 물질의 분포변화는 중금속의 재용출과 생물이용도를 조절하는 주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관절 가동성 증진을 위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의 생체역학적 고찰 (A Biomechanical Study on the Hip Joint Flexibility Based o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장지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5-69
    • /
    • 2015
  • 작업치료에서 관절의 가동성은 치료 절차와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동적 스트레칭과 능동적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고관절의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굽힘/폄근의 근전도 활성정도 바탕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의 생체역학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10명의 20대 학생을 대상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을 실시한 결과 고관절의 가동성이 전담 보조자의 도움을 받았을 때, 평균 $18.9^{\circ}$ 증가하였고 넙다리네갈래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전도의 활성 또한 고유수용기의 생체역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소프트웨어 특허의 신조류 (New Era of Software Patent)

  • 이상무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2권5호통권47호
    • /
    • pp.107-120
    • /
    • 1997
  • 소프트웨어를 특허로 받는 데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논리적 사고로부터 비롯된 소프트웨어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성상 특허의 성립요건에 배치되어 많은 제약이 뒤따랐으나 점점 다양한 컴퓨터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이의 독창적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보호 요구가 심화되면서 그 수용의 폭이 결국 크게 확대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특허성에 대한 일반론을 소개하고, 어떻게 그 수용의 폭과 심사기준이 변천되어 왔는지 중요한 판례들을 통하여 분석하여 보고, 현재 주요국의 인정실태를 설명한다.

수용성 광리소그라피를 이용한 OTFT 공정에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OTFT Fabrication to use Water-Soluble Lithography Process)

  • 김광현;이명원;허영헌;김강대;송정근;황성범;김용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I
    • /
    • pp.991-9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수용성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패턴 형성 방법을 대신하여 유기 활성층을 리소그라피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핀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대면적 리소그라피를 가능하게 하고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선폭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고 기존의 방법으로 제작한 트랜지스터의 특성과 비교를 해보았다.

  • PDF

전력공급자 측면에서 DC 배전 기술개발 전망

  • 김주용
    • 전력전자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28-31
    • /
    • 2010
  • 전세계적인 에너지 효율 향상의 일환으로 직류전원공급과 이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부하가 밀집한 수용가를 중심으로 직류전원 기반의 수전설비를 확대하기 위한 연구와 실증시험이 진행중에 있다. 이와 같이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수용가가 증가할 경우 국가적인 차원에서 DC 전원을 공급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전력공급자 측면에서 DC 전원 수요증가에 대한 DC 전원 인프라 구축과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