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원 제어 및 관리 장치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Interface System for the Telecommunication Power Monitoring Equipment (통신용 전원감시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

  • Park, Byung-Hun;Kim, Hee-Jun;Youm, Jea-K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79-80
    • /
    • 2010
  • 본 논문은 기존 통신용 전원장비를 첨단 통신망에 접속하여 원격제어 및 감시가 가능하게끔 해주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이다. 인터넷, 휴대폰 등 각종 통신이 발전함에 따라 통신용 전원장비도 날이 갈수록 정밀해지고 고용량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장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비용 또한 상당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비용절감을 위한 연구와 다양한 운영방법들이 논의 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통신장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위한 원격 감시 제어 환경 속에서 원격지의 전원장비들과 첨단통신망을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발에 관하여 논하였다. 개발된 인터페이스 장치는 통신기능을 통하여 전원의 상태를 감시 및 계측할 뿐 아니라 최적온도 및 습도 등의 유지를 위한 제어도 가능한 다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의 계측 값들도 485통신을 통하여 바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전원감시장치로 보냄으로써 범용성에도 큰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PDF

Research on DC Power Simulator Considering the Battery Aging Characteristics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에 관한 연구)

  • Lee, Jong-Hak;I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09-410
    • /
    • 2016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PV), 풍력(WT)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출력안정화, 계통 전력품질 개선, 수용가 에너지효율화 등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에너지 저장 장치로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력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검증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전력변환장치에 연계하여야 하지만 배터리의 경우 고가에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DC전원 모의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어 배터리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현실적인 검증이 가능한 배터리 노화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C Power Simulator Considering the Battery Characteristics (배터리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 개발)

  • Lee, Jong-Hak;In, Dong-Seok;Heo, Nam-Eok;Park,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7-128
    • /
    • 2015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PV), 풍력(WT)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출력안정화, 계통 전력품질 개선, 수용가 에너지효율화 등의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변환장치와 에너지 저장 장치로 구성되며, 에너지 저장 장치로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력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검증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전력변환장치에 연계하여야 한다. 하지만 배터리의 경우 고가에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DC전원 모의 장치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장치 및 제어기의 설계 및 현실적인 검증이 가능하도록 배터리 특성을 고려한 DC전원 모의장치를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of 50KW Photovoltaic System (50KW 태양광발전의 원격 감시제어장치 구축 및 분석)

  • Park, Jae-Bum;Kim, Byung-Mok;Son, Bang-Won;Rho, Dae-Seok;Yoo, Jae-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88-6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배전지능화시스템과 정보 연계, 미래 지능형전력망 운용 및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등과 같은 신 에너지전원의 단지를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유 무선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특성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격 감시제어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감시제어장치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캠퍼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50KW급 태양광전원장치를 대상으로 유 무선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작한(AutoBase) 감시장치, PLC를 이용한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장치를 이용하여 태양광전원의 출력특성을 분석한 결과, 원격지에 설치된 대규모 태양광단지의 보수유지 관리에 필요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감시제어기술의 대안으로,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최신 무정전전원장치의 기술동향

  • 황용하
    • 전기의세계
    • /
    • v.44 no.11
    • /
    • pp.44-49
    • /
    • 1995
  • 간략하지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무정전전원장치에 대해 소개하였다. 전원 장치는 새로운 특성을 요구하는 부하가 지속적으로 출현함에 따라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고성능화, 고기능화, 저가격화, 소형화, 무소음화 등을 실현하기 위한 전력 전자 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 감시, 원격 제어 기능은 물론 운전 DATA 기록 및 관리 기능이 탑재되어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운용상 애로가 없도록 주변장치의 개발 및 보완 기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new high efficiency rectifier system (고효율 신형 정류시스템에 대한 고찰)

  • Kim, Gue-Hong;Jeong, Jae-Hoon;Cho, Man-Hyun;Ahn, Che-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3172-3174
    • /
    • 1999
  • 교환기나 전송장치 등 각종 통신설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정류기, 축전지 및 발전기 등의 전원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정류기는 통신설비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다른 전원설비 보 다도 신뢰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 장치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사내전화국에 설치 운용중인 정류기는 교환 기별로 종류가 다양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망의 광대역화, 대용량화에 대처가 곤란하며 정류기를 전력실 또는 통신실에 집중해서 설치 운용하는 집중공급방식으로는 축전지의 만충전이 곤란하다. 또한 현재의 이러한 급전방식은 통신장치의 광대역화, 고도화 등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첫째, 전력실에서 총괄하여 교류전력을 직류48V로 변환해서 급전하기 때문에 급전전류가 크게되고, 또한 전력실에서 통신실까지의 급전손실이 크다 둘째, 통신설비의 증감에 따른 전원설비의 증감이 어렵기 때문에 설비 가동율이 나쁘다 셋째, 전원설비의 고장에 의한 전화국 전체설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집중 및 분산급전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또한 모든 전원설비를 감시/제어하는 전원 집중관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등이 가능한 정류시스템을 1997년부터 개발하였다. 본고에서는 신형 정류기와 기존의 정류기와의 성능 및 특성에 대해 비교하였고, 특히 경제성측면과 설치상련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집중급전방식과 분산급전방식의 특성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 PDF

LED Line Lamp System for Intelligent Road (지능형 도로 LED라인조명 시스템)

  • Kim, Won-Sik;Kim, Jin-Hee;Yang, Jin-Young;Park, Chan-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15_1716
    • /
    • 2009
  • 본 연구는 지능형 도로의 라인조명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및 조광회로 설계와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연구로서 기본적으로 중앙관제센터에서 무선과 유선의 원격제어를 통하여 조명기구의 개별 전원 제어 또는 단전, 부분 점멸동작을 수행 하고 램프의 불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조명등의 절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차량의 유무에 따라 조도와 점멸 제어 기능을 추가 하였다. 또한 원격제어에 따른 중계 제어 장치를 등기구와 병열 구성 하여 통신선과 전원선 만으로 Line 형태의 램프에 전력 및 통신 제어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USN technology (USN을 적용한 강의실 조명 전원 관리 시스템)

  • Ha, Eun-Yong;Hong, Sung-Mo;Lee, Eun-Chul;Choi, Hyun-Jin;Son,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500-504
    • /
    • 2007
  • CPMS(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층별 강의실 조명 전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강의실에는 조도를 센싱하는 모트와 조명 전원을 제어하는 모트가 설치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센서 데이터 및 강의실 전원 상태를 주기적으로 CPMS서버에 보고한다. CPMS 서버는 베이스 모트를 통해 각 강의실의 방의 제어 모트들과 통신하고 전원을 제어하고, 윈도우즈 GUI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트의 상태를 표시하고, 강의실 사용에 대한 스케줄을 입력하여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 CPMS는 모트간의 통신은 IEEE 802.15.4/Zigbee모듈을 사용하여 구현했고 서버소프트웨어는 윈도우즈 시스템을 기반으로 C# 언어와 MS SQL Server로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장치들 간의 통신이 모두 무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쉽고, 유선 공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한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선 공사가 난감한 기존 빌딩에서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utonomous Control for AC Microgrid Connected with Distributed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System (분산전원 및 ESS가 연계된 AC 마이크로그리드의 자율적 제어기법)

  • Jang, Myeong-Jun;Kim, K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51-452
    • /
    • 2016
  • 최근 풍력 및 태양광 발전과 같은 분산전원 시스템의 설비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생산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발전량이 불규칙적인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전력 수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 ESS)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중앙집중 방식의 전력 시스템이 가지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분산 발전 요소들과 에너지 저장장치, 부하 및 계통을 상호 연결한 마이크로그리드의 개념이 제안되고 있다.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 분산전원과 계통에 ESS가 연계 되면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잉여전력이 발생할 때 전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력수요가 클 때 저장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여 전력설비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 시스템, 양방향 충/방전이 가능한 ESS, 부하 및 계통이 연계된 마이크로그리드를 대상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계통전력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자율적 제어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전력수급 상황에 따라 각 요소들의 운전 모드를 결정하는 기법이 제시되고 각 동작 모드에서의 분석 및 시뮬레이션에 의한 검증을 통하여 본 제어기법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 PDF

A Development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Platform Equipments of Unmanned Surface Vehicle (USV) (무인수상정 플랫폼 장비의 통합 제어 시스템 개발)

  • Hwang, Hun-Gyu;Kim, Hyun-Woo;Kim, Bae-Sung;Woo, Yun-Tae;Shin, Il-Sik;Shin, Ji-Hwan;Lee, Young-Jin;Choi, By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8
    • /
    • pp.1611-1618
    • /
    • 2017
  • Recently, the development for USV-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growing up in military domain. The USV (unmanned surface vehicle) conducts various missions for national defense at maritime environment. For succeed the missions, the USV essentially needs an automatic and remote control platform which includes propulsion system, steering system, control system, power system and so 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the platform equipments and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ystem. To do this, we designed a system architecture and implemented a main control system that processes and controls platform equipments by received command. Also we developed components of designed architecture such as engine control device, water-jet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device. For test and verify the developed system, we designed and made a test-bed of engine and water-jet with related parts, and proceeded a basin test for verifying the developed system based on the test-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