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원부하

Search Result 76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troller for the load variation of 30kw distrivued-source diesel generators (분산전원용 30KW 디젤발전기의 부하변동에 따른 제어기 개발연구)

  • Han, Hoo-S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0a
    • /
    • pp.210-212
    • /
    • 2004
  • 일반적으로 비상시 전원으로 디젤 발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전원소스(상용 전원, 축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등)를 사용하여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최근 비상시 전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디젤발전기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며, 운영부하에 따라서도 유연하게 동작되어야 하며, 신뢰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부하 변동에 따른 최대전력 추종제어 기능이 가능하고, 고조파 억제 기능 및 안정주파수 유지기능이 가능하도록 부하 변동에 따른 디젤발전기의 제어기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Single Phase Dual Function Power Compensator(DFPC) with Source Condition (전원상태에 따른 단상 이중기능 전력보상기의 개발)

  • Park, Ga-Woo;Kim, Mal-Soo;Choi,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4a
    • /
    • pp.222-2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단상 H-bridge 구조의 VSC (Voltage Source Converter)를 이용하여 계통전원을 사용하는 부하의 고조파 전류 보상기능과 전원 Back-up 기능을 갖는 부하전력보상기를 보여준다. 이 두 제어 기능은 전원전압의 유무에 따라 APF의 컨버터 동작과 UPS의 인버터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기존 UPS에 부하 전류의 고조파 보상이라는 부가적인 이득을 갖는 이중전력보상기(Dual Function Power Compensator)라 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는 Battery 충전 동작과 APF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며, 인버터 제어는 정전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UPS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두가지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1. 전원전압의 신속한 검출과 판단, 2. 컨버터의 Battery 충전, 3. APF동작을 위한 부하전류의 고조파 전류계산, 4. 전원전압의 동기추종 등이 각각의 동작모드별로 순조롭게 연계동작 되어 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DFPC의 발생배경과 제안된 DFPC 제어모드의 구분을 결정하는 전원전압의 검출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제안된 DFPC의 실제 시스템을 제작하여 각각의 동작상황과 성능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Interconnection Analysis Algorithm for Dispersed Sources in Distribution Systems (부산형전원의 배전계통 연계 해석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Hyeon-Se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9-132
    • /
    • 2007
  • 최근,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체에너지 전원은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 풍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신${\cdot}$재생에너지전원은 일정한 출력을 내는 기존의 전원 보다 기후나 온도, 지형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간헐적인 전원이므로, 이들이 도입된 배전계통은 기존의 단 방향 공급형태의 배전계통과는 달리 부하와 전원이 혼재되어 운용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배전계통의 전압품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분산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은 기존의 부하만이 존재하는 배전계통과는 달리, 부하와 전원이 혼재되어 운용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분산전원의 연계에 따라 발생이 예상되는 문제점을 검토, 분석할 수 있는 분산전원 배전계통연계용 해석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산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되는 경우, 계통연계 기술요건 가이드라인 및 기술지침에 근거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분산전원의 배전계통 연계용 해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Security of Emergency Power for Fire Fighting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Lee, Won-Kang;Choi, Chung-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3-1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것으로서, 과부하 조건 회피를 위한 인터록 시스템 및 기타 방법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최근 제도적으로 도입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에서 어느 한쪽의 용량으로만 택일하여 설치할 경우 정전 및 화재 발생 시 발전기 용량 초과로 비상전원 공급 중단과 소화설비의 미작동의 위험이 초래된다. 소방시설에 비상전원의 안전한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는 과부하에 도달되면 소방전원보존용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발신하여 소방부하는 남겨두고 비상부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특징을 가진 시스템이다. 소방 안전을 확보하는 제도는 안전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와 기준을 지킴으로써 기술적인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는 확인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임의의 구두 진술로나 이와 다름없는 임의적인 서류로만 인정할 수는 없는 것이며, 그럴 경우 제도에 의한 소방 안전 확보의 보장성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Method of Emergency Power System with Reserved Firefighting Power (RFP)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RFP)의 작동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Won-Kang;Choi, Chung-Seo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6 no.3
    • /
    • pp.29-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ng method of a power generator used by the Emergency Power System in case of a simultaneous fire and of the limitations of the interlock system the power supply from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On the Emergency Power System with Reserved Fire-fighting Power (RFP), in case of an overload, the collective control Emergency Power System signals the main circuit breaker to shut off the supply to the emergency load, leaving the supply to the firefighting load uninterrupted to the end. The sequential control Emergency Power System signals the firefighting power supply to shut off the fire stage of the emergency load and continues to monitor the power supply. If an overload happens again from increased firefighting load, the sequential control Emergency Power System sends a secondary signal to shut down the second stage of the emergency load.

New Algorithm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Relay in Bidirectional Distribution System (양방향 배전계통에서 보호계전기 오동작 방지 알고리즘)

  • Shin, Dong-Yeol;Park, Min-Ho;Kwon, Tae-Ho;Kim, Dong-My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496_497
    • /
    • 2009
  • 분산전원 연계선로는 단방향 수지상 공급선로와 다르게 부하와 전원이 혼재된 양방향 전력공급의 형태로 계통이 구성되고 있어 전원계통에서 지락고장이나 불평형 부하발생시 변전소의 OCR계전기, 배전선로의 리크로저 또는 자동화 개폐기에서 잘못된 정보(거짓FI)에 의해 오동작 현상이 간혹 발생된다. 또한 분산전원 연계선로에 연계된 발전고객은 발전설비와 무관하게 한전 전원측 계통에서 지락, 전선단선, 불평형 부하발생시 보호계전기를 오동작 시키게 된다[1]. 본 논문은 양방향 계통에서 보호계전기 설치점 기준으로 전원측 고장인지, 부하측 고장인지 고장의 방향을 판단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기술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00
    • /
    • pp.72-77
    • /
    • 2001
  • 분산형전원은 대개의 경우 단독으로 운전되는 것이 아니라 계통과 연계되어 수요전력과 발전전력의 과부족 조정을 위해 사용된다. 현재 일본의 배전계통은 수용가에 대하여 1방향의 조류를 전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과 연계하는 경우 분산전원측이 계통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역으로 계통측의 사고 등에 의해서 분산형전원과 부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系統運系技術要件가이드라인''은 이 때문에 기술요건을 저압선에서 특별고압선까지 연계되는 계통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보호장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계통연계기술요건가이드라인은, 분산형전원을 도입하기 쉽고 사회적 요청과 기술혁신에 맞도록 개정되어 왔으며, 최근 증가된 반도체식 역변환장치를 통하여 분산형전원도 도입하기 쉽도록 개정되어 온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계통사고나 순시 전압강하로부터 분산형전원과 부하를 보호한다든지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분산형전원을 순간전압강하대책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계통과의 연계를 고속으로 분리하는 고속해열장치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기계식고속차단기와 고속릴레이의 조합으로 중요부하의 순간전압강하를 1사이클 이하로 할 수 있다. 분산형전원을 더욱 활용하여 큰 역조류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배전보호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어, 집중감시제어방식을 사용한 새로운 배전보호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 PDF

A Novel Parallel Communication Algorithm and Load Sharing Electronic Load (새로운 병렬통신 알고리즘 및 부하분담 기능을 갖는 전자부하기)

  • Ju, Hong-Ju;Lee, Sang-Hyuk;Kim, Seung-Ryong;Ahn, Kang-Soon;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534-535
    • /
    • 2010
  • 최근 전원장치의 대용량화가 요구되면서 하나의 전원에서 모든 전력을 부담하는 것보다 여러 대의 전원을 병렬 운전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연결된 전원장치에 부하전류 분배를 하는데 있어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여 고속 통신을 통한 제어를 이루어 시스템 비용을 낮추고 높은 수준의 제어 로직을 구성하여 부하 변동시 안정된 부하분담이 이루어지는 모듈화 된 일정 용량의 전원 장치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A New Load Sharing Method for Low-Cost PoE (새로운 부하분담 기법을 적용한 저가형 POE 전원회로)

  • Choi, Yoon;Jung, Young-Jin;Hwang, Min-Ha;Oh, Dong-Sung;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5-4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저가격형 PoE(Power over Ethernet)를 위한 새로운 부하분담기법을 적용한 스위칭 전원 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PoE 전원회로는 Ethernet 채널 당 제한된 전력용량으로 인해 보다 큰 전력이 요구될 경우 채널별 DC/DC컨버터의 출력을 서로 병렬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각 채널별 부하를 동일하게 분담하기 위해 부하분담 IC 및 부가회로가 추가됨에 따라 회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제안된 PoE 전원회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병렬 연결된 채널 간 부하분담을 별도의 부가회로 없이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안 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이론적 분석 및 50W 급 시작품 제작을 통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Synchronized AC Power Source Voltage Regulator of Voltage Fed Inverter using a Photovoltatic effect (PV효과를 이용한 전압형 인버어터 전원동기 전압 조정기에 관한 연구)

  • Hwang, Lak-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5S no.8
    • /
    • pp.120-129
    • /
    • 1998
  • In this paper represented uninterruptible power sypply(UPS) equipment maintaining constant output voltage,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PWM) voltage fed inverter, as power source disconnection, voltage variation and output current variation with load variation. This system is driven by being synchronized voltage fed inverter and AC source, and in the steady state of power source charge battery connected to DC side with solar cell using a Photovoltaic (PV) that it was so called constant voltage charge. In addition, better output waveform was generated because of PWM(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and it was Proved to test by experiment maintained constant output voltage regardless of AC source disconnection, load variation, and voltage variation of AC power sour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