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원공급시스템

Search Result 56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평판형 급집전코일의 공진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접촉식 무선충전 시스템

  • Lee, Byeong-Hun;Kim, Hyeon-Jae;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60-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등에 적용하기 위해, 평판형 급전코일과 집전코일의 접촉 유무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는 접촉식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급집전코일에 대해 코일의 형상과 위치별 급집전효율 및 EMF(ElectroMagnetic Field)의 영향을 연구했다. 평판형 집전코일은 어레이 형태로 바닥에 설치되는데, 입력전원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집전코일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진주파수가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크게 벗어나서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최소화된다. 집전코일이 급전코일 어레이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급전코일의 공진주파수가 입력전원의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어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집전코일이 덮고 있는 부분만 급전코일 어레이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급집전 효율이 높고 인체에 대한 자기장 노출이 작아져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 PDF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와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

  • Jang, Seong-Su;Ju, Gwang-Hy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6.2-196.2
    • /
    • 2012
  • 본 논문은 달착륙선의 개념설계를 위하여 고려한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달착륙선의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달착륙선의 임무특성을 고려하여 전력시스템의 구조를 검토하고, 극한의 온도환경에서 달착륙선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배열기와 배터리의 용량, 그리고 전장품의 용량을 설계하였다. 특히 경량의 달착륙선 개발을 위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 배열기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검토하였다. 극한의 우주환경에서 태양전지배열기의 동작특성을 검토하고 생성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분석하여 최적의 태양전지 배열기의 면적을 분석하고, 장시간의 월식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방전특성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유럽에서 개념설계 중인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사양과 용량에 대해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현재 개발중인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설계와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의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지상검증용 전력시스템은 태양전지배열기의 장착 없이 배터리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달착륙선 지상시험모델의 비행시간과 임무에 따른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선정하였으며, 부하의 전력을 고려하여 간단한 보호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지상검증용 전원시스템은 추력기의 밸브구동을 위한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DC/DC 컨버터 전원 모듈, 모니터링 모듈, 그리고 위급상황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Emergency STOP"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Security of Emergency Power for Fire Fighting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Lee, Won-Kang;Choi, Chung-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3-1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것으로서, 과부하 조건 회피를 위한 인터록 시스템 및 기타 방법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최근 제도적으로 도입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에서 어느 한쪽의 용량으로만 택일하여 설치할 경우 정전 및 화재 발생 시 발전기 용량 초과로 비상전원 공급 중단과 소화설비의 미작동의 위험이 초래된다. 소방시설에 비상전원의 안전한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는 과부하에 도달되면 소방전원보존용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발신하여 소방부하는 남겨두고 비상부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특징을 가진 시스템이다. 소방 안전을 확보하는 제도는 안전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와 기준을 지킴으로써 기술적인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는 확인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임의의 구두 진술로나 이와 다름없는 임의적인 서류로만 인정할 수는 없는 것이며, 그럴 경우 제도에 의한 소방 안전 확보의 보장성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 PDF

Development of Power Supply System and DC Lamp Module of all-in-one using the Solar Energy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일체형의 전원공급시스템과 DC 램프 모듈 개발)

  • Ahn, I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2
    • /
    • pp.23-29
    • /
    • 2012
  • To recently, light of the sun and fuel cell etc. which is new and renewable energy is developed with the direct current energy source mostly.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utilization plan which does supply it properly. In this case, the direct current illumination system can be a typical alternative of it. The system similar to the development system is composed of type which connects to each other the photovoltaic pannel, the charge kit, and the battery bank. I develop all-in-one system which the power supply system and photovoltaic pannel which can charge and use efficiently. Additionally, I exploit the DC lamp module of three wave which can separate the electronic ballasts from the module. Developed the DC Lamp module of all-in-one which can turn on or can turn off, by operation of ON/OFF button.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changing just only electronic ballasts.

Design of Autonomous Independent Power System for USN Sensor Node Using Power CT (Power CT를 이용한 USN 센서노드용 자율독립전원 시스템 설계)

  • Son, Won-Kuk;Jeong, Jae-K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6 no.12
    • /
    • pp.101-107
    • /
    • 2018
  • In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which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the power supply and the power management of sensors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this reason, a new concept of power supply and power management de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utonomous independent power supply system that supplies the stable power to a sensor node without an additional external input by applying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by utilizing the current flowing in the transmission line. The proposed autonomous independent power supply system consists of a power supply using Power CT and a pow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harging circuit. The power management device uses a voltage limiter circuit and a monitoring circuit of charging voltage and current to ensure the safety of charging of the battery.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applied it to the SVL diagnostic system and confirmed that it operates stably.

Development of Power Supply for Ka-band Tracking Radars (Ka-대역 추적 레이더용 전원공급기 개발)

  • Lee, Dongju;An, Se-Hwan;Joo, Ji-Han;Kwon, Jun-Beom;Seo, Mihui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5
    • /
    • pp.99-103
    • /
    • 2022
  • Millimeter-wave tracking radars operate in various environmental restrictions, thus they demand stable power sources with low noise level under high fluctuation of input voltage.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act power supply with max power of 727 W for Ka-band tracking radar applications. To meet requirements of voltage accuracy and system efficiency for transceiver circuits, upper plates of buck converters are attached on the covers of power supply for efficient heat dissipation. The proposed power supply achieves system efficiency of 88.4 %, output voltage accuracy of ±2 % and noise level of <1% under full load conditions.

3[kW] DC/AC Hybrid Power Supply System in Domestic (3[kW]급 가정용 직류/교류 Hybrid 급전시스템)

  • Lee, Young-Jin;Han, D.H.;Choe, J.M.;Kim, D.H.;Kim, D.J.;Choe, Gyu-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9.11a
    • /
    • pp.277-279
    • /
    • 2009
  • Hybrid 급전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와 상용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DC 및 AC 전력을 공급해주는 시스템으로 상용전원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편의성을 올리며 가정에 AC와 DC를 동시에 공급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논문을 통해 DC 및 AC 동시 배전을 위해 가정용 부하의 특성을 분석하고 시스템의 동작특성을 해석한다.

  • PDF

소형 스마트 항법 시스템 설계

  • Im, Jeong-Bin;Kim, D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3-15
    • /
    • 2011
  • 전원 공급이 제한되거나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소형 요트, 작업선, 바지선 등에도 항해 안전을 위한 다양한 항법장치가 필요하고, 해양사고 발생 시 사고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상선 및 수상레저용 개별 항법 장치는 고가, 대용량 전원공급, 조작의 어려움, 넓은 설치 공간의 필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축 반도체 가속도 센서와 3축 반도체 경사 센서 및 다양한 기상 측정 센서와 CCD 카메라, 방수 캡슐에 내장된 메모리 등을 이용한 소형 스마트 항법 장치(Multi-Tasking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MINS)를 설계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기술과 상용 센서 등을 이용하면 MINS 개발이 가능함을 알았고, 이러한 MINS 개발에 필요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pgrade Reliability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P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독립제어 고속절환장치)

  • Jung, Hyun-Chul;Hyun, Dong-Seo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3 no.4
    • /
    • pp.278-286
    • /
    • 2008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ult generation type and the cause of output interruptionsin bulky with $30^{\sim}500[KVA]$ double conversion UPS, and proposes the fault detection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ower supply used in the critical load in industry. Identifies its existing way of detecting a quality of inverter output it to bypass when exceeds its expectation. Under a UPS managing system, when an inner (Power device, Controller, CPU) fault occurs it disrupts the power supply and these occurrences has been verified by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application resul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independently a fault-detection, a bypass-control device and a triple power supply apart from the conventional UPS operation. Also the detection point is changed to the preceding of a circuit breaker, a reference of fault detection is modified to avoid any clash and the breaking equipment is attached to intercept a spread of accident. As a result of applications of these developed systems to 242 UPS which was installed purposefully to the communication power supply, the service errors has not occurred in the UPS for two years since 2006.

Operation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DC Micro-grid with Detail Model of Distributed Generation (분산전원 세부모델을 적용한 DC Micro-grid의 동작특성 분석)

  • Lee, Ji-Heon;Kwon, Ki-Hyun;Lee, Hye-Yeon;Han,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51-153
    • /
    • 2008
  • DC 마이크로그리드는 태양광과 연료전지와 같은 DC 출력의 분산전원, 풍력이나 가스엔진과 같은 AC 출력의 분산전원이 이차전지나 수퍼커패시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직류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최근 급증하고 있는 디지털부하에 고품질, 고신뢰도 전력을 공급하는 새로운 직류배전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DC 마이크로그리드의 한 시스템 구성을 가정하고, 이들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의 컨버터를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분산전원의 세부모델을 구현하고, 이를 DC 마이크로그리드로 구성한 후 분산전원의 생산량, 에너지저장의 저장량, 부하의 소모량, 연계 계통의 공급량을 타당한 시나리오로 가정하여 전체 마이크로그리드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