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원공급시스템

Search Result 56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Fault Analysis of AC/DC Converter for ITER Superconducting Magnet (ITER 초전도자석 전원공급장치의 고장해석)

  • Park, H.;Lee, S.;Jo, S.;Chung, I.;Hwang, K.;Liu, H.;Oh, J.S.;Choi, J.;Suh, J.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43-244
    • /
    • 2012
  • ITER 초전도자석 전원공급장치에서 고장의 종류는 단락, 단락 외 컨버터 내부고장 그리고 여러 외부요인에 의한 고장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여기서 단락 외 컨버터 내부고장과 외부요인에 의한 고장은 보호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으로 인해 피해가 축소된다. 하지만 단락시에는 보호시스템이 동작하더라도 단락전류가 매우 커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ITER 초전도자석 전원공급장치는 운전 중 발생 가능한 부하의 단락으로부터 초전도자석 및 다른 장치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ITER에서 요구하고 있는 FSC(Fault Suppression Capability: 고장 억제 능력)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FSC 조건에서 전원공급장치는 출력에서 300 kA의 단락전류가 흐를 경우에도 80 ms(50 Hz, 4주기)동안 전기적 고장 없이 견뎌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원공급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요 단락 항목을 소개하고, 최악의 조건에서 단락전류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의 고장해석을 통해 FSC 요건을 만족하는 소자 선정 및 구조설계의 적합성을 검증한다.

  • PDF

Hybrid System Design for Emergency Power Supply of Ground Robots (지상 로봇의 비상 전원 공급을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설계)

  • Jo, Yeong-Min;Choi, Ju-Yeop;Choy, Ick;Cho, Sang-Yoon;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54-55
    • /
    • 2014
  • 일반적으로 지상 로봇의 주 전원으로 사용되는 대용량 배터리가 예상치 못한 시점에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지상 로봇의 위치 확인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 통신용 비상 전원 공급을 위한 태양광 및 연료전지 전원 공급 장치와 이 장치를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충 방전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 및 분석하도록 한다.

  • PDF

무인등대용 소형풍력발전 시스템 연구

  • An, H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07-410
    • /
    • 2013
  • 최근 3년간 평균 일조시간은 겨울철 은 11월부터 ~ 2월은 1.8 ~ 3.4시간, 여름철 5월부터 ~ 10월은 4.6시간~6.6시간으로 일조시간이 겨울철이 여름철 대비 50%이하로 일조량이 적어서 태양전지만으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부족한 동절기에 환경 친화적 무공해 청정 대체에너지인 풍력발전을 항로표지 전원공급 시스템에 도입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항로표지에 공급하고자 함.

  • PDF

Control Algorithm of Two Phase Orthogonal Power Supply for Electromagnetic Stirring System (전자기 교반 시스템용 2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위한 제어 기법)

  • Kim, Byung-Jun;Moon, Dong-Ok;Kim,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419-42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 교반 시스템용 2 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류 정상상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제어 기법을 제안하다. 2 상 직교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단상 풀브리지 인버터 2 대 대신 3 상 전압원 인버터 1 대를 사용하여 인버터의 레그 숫자가 줄어들고 인버터 스위치의 도통 손실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좌표계로의 변환(dq 변환)을 통해 출력전류 정상상태 오차를 0 으로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제어 기법의 유효성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Driving Control Scheme for High-Load Radar Platform using the Embedded System (임베디드시스템 적용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 구동 제어)

  • Yushin Chang;Byeol Han;Sungy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05-506
    • /
    • 2023
  • 본 논문은 임베디드시스템을 적용한 대용량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의 구동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군사적 방어 목적용 지대공 유도 미사일 시스템의 구성품인 다기능 레이다 시스템은 고중량의 안테나를 구동해야하는 대용량 고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이 필수이다. 이 다기능 레이다 시스템은 360도 방위각 전방향을 일정한 속도로 방위각 회전하며 감시정찰 및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여기서 대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은 방위각회전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360도 방위각 방향으로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구동 제어한다. 본 구동 제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기 위해 임베디드시스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포함된 제어모듈은 구동모듈에 회전구동 명령을 인가하여 일정한 회전각속도로 구동하도록 회전구동 모터를 실시간 제어한다. 고부하 레이다 플랫폼은 직구동모터타입의 회전구동모터, 회전체에 신호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슬립링,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회전센서로 구성된 방위각회전구동장치와 전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 목적에 맞게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모듈, 구동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모듈, 회전구동 명령에 따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 구성된 제어장치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부하 레이다 구동 플랫폼을 시뮬레이션 모델링으로 구현하고 제안하는 구동 제어 방안은 구동제어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한다.

  • PDF

Application of Batteries for DC Power System in Korea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 적용사례)

  • Kim, Dae-Si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73-1174
    • /
    • 2011
  •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직류전원계통은 발전소 운전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축전지는 교류전원 상실시 전원이 회복될 때까지 발전소의 계통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계측제어설비의 전원공급과 발전소의 안전정지 등에 대비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에 대한 설계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국내 외 기술기준과 축전지 용량 및 동작책무 그리고 안전등급 축전지가 공급하는 부하, 축전지의 점검 및 성능시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축전지와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 보상용 축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축전지의 연구개발로 축전지 형식이 납축전지에서 기타 다른 우수한 방식의 축전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될 축전지의 특성, 배터리관리시스템, 축전지에 대한 원자력발전소용 기술기준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 Grid-connected PV-WT-BESS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하이브리드 분산전원 시스템 개발)

  • Jeon, Jin-Hong;Cho, Chang-Hee;Kim, Seul-Ki;Ahn, Jong-B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517-518
    • /
    • 2006
  • 본 논문은 태양광과 풍력, 축전지 시스템으로 구성된 계통연계형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구성과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축전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태앙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축전지 시스템은 모두 공통 직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통과 연계운전을 위한 계통연계 인버터 시스템을 공통 직류단과 계통 연계점 사이에 적용하여 연계점의 출력을 제어하였다. 또한 분산전원 통합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전체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출력과 각 모듈의 상태를 감시, 제어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에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 결과의 제시를 통해 제작된 시스템과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복수의 에너지원을 이용하므로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상용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도서지역 등에 단독 운전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PDF

층방전조절기의 성능 평가 연구

  • Lee, Seung-Jae;Kim, Jong-Guk;Yu, Chung-Hyeon;Jeong, Ja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55-356
    • /
    • 2014
  • 항로표지 장비 용품 중 충방전조절기의 특성을 성능 평가 결과를 토대로 알아보았으며, 기존 제품들의 불합격 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제품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태양전지 전원공급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통신용 전원설비 계통의 실시간 감시제어 및 방식구조 연구개선

  • 전수균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07 no.11
    • /
    • pp.43-50
    • /
    • 1999
  • 통신시설은 과거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현대에서는 데이터, 영상,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광대역 통신기술로 발달되어 대용량화 및 광역화로 정보통신 네트워크에 무 순단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으로써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전원시설의 운용관리를 종합적으로 집중관리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관리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주요기능 중의 하나인 제어기능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원격제어와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전원집중 관리 시스템의 제어구조를 제시하고 방식에 대한 성능개선과 구축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new high efficiency rectifier system (고효율 신형 정류시스템에 대한 고찰)

  • Kim, Gue-Hong;Jeong, Jae-Hoon;Cho, Man-Hyun;Ahn, Che-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3172-3174
    • /
    • 1999
  • 교환기나 전송장치 등 각종 통신설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정류기, 축전지 및 발전기 등의 전원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정류기는 통신설비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다른 전원설비 보 다도 신뢰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 장치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사내전화국에 설치 운용중인 정류기는 교환 기별로 종류가 다양하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망의 광대역화, 대용량화에 대처가 곤란하며 정류기를 전력실 또는 통신실에 집중해서 설치 운용하는 집중공급방식으로는 축전지의 만충전이 곤란하다. 또한 현재의 이러한 급전방식은 통신장치의 광대역화, 고도화 등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첫째, 전력실에서 총괄하여 교류전력을 직류48V로 변환해서 급전하기 때문에 급전전류가 크게되고, 또한 전력실에서 통신실까지의 급전손실이 크다 둘째, 통신설비의 증감에 따른 전원설비의 증감이 어렵기 때문에 설비 가동율이 나쁘다 셋째, 전원설비의 고장에 의한 전화국 전체설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집중 및 분산급전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또한 모든 전원설비를 감시/제어하는 전원 집중관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등이 가능한 정류시스템을 1997년부터 개발하였다. 본고에서는 신형 정류기와 기존의 정류기와의 성능 및 특성에 대해 비교하였고, 특히 경제성측면과 설치상련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집중급전방식과 분산급전방식의 특성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