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열교환기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Rotor Development for Air-to-Air Heat Exchanger (전열교환기 성능향상 및 로터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Seok-Jeong;Park, Ban-Uk
    • 한국기계연구소 소보
    • /
    • s.16
    • /
    • pp.17-28
    • /
    • 1986
  • 전열교환기는 최근 대형건물 및 생산공장 등의 에너지 다소비 장소의 공기조화설비의 에너지 절감기기로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늄 박판에 실리카-겔 분말을 코팅한 Honey comb형 로터는 현열 및 잠열 즉 전열을 흡수할 수 있어 폐에너지 회수용 전열교환기의 전열소자로서 점차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열교환기의 핵심부품인 상기 로터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륜공업(주)와 공동출연으로 실리카-겔 분말 코팅된 알루미늄 소재 박판만 수입하여 성형공정 기술을 개선, 향상시켜 국산로터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여 수입로터와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국산개발 알루미늄 로터 시제품의 전열효율이 수입로터 보다 급배기 조건에 따라 1~5%정도 향상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로터의 최적운전조건(11-13 r.p.m) 및 급배기 공기량비에 대한 적정조건도 연구결과로 얻어졌다.

  • PDF

A Study on Rotor Development for Air-to-Air Heat Exchanger (전열교환기 성능향상 및 로타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S. C.;Park B. O.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15 no.3
    • /
    • pp.226-233
    • /
    • 1986
  • 전열교환기는 최근 대형건물 및 생산공장 등의 에너지 다소비 장소의 공기조화 설비의 에너지 절감 기기로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늄 박판에 실리카-겔 분말을 코팅한 허니컴형 로타는 현열 및 잠열 즉 전열을 흡수할 수 있어 폐 에너지 회수용 전열교환기의 전열소자로서 점차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열교환기의 핵심부품인 상기 로타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륜공업(주)와 공동출연으로 실리카-겔 분말 코팅된 알루미늄 소재 박판만 수입하여 성형공정 기술을 개선, 향상시켜 국산로타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여 수입로타와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국산개발 알루미늄 로타 시제품의 전열효율이 수입로타보다 급배기 조건에 따라 $1\~5\%$정도 향상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로타의 최적운전조건$(11\~13\;r.p.m)$ 및 급배기 공기량비에 대한 적정조건도 연구결과로 얻어졌다.

  • PDF

전열교환기 설치교화에 대한 검토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 s.166
    • /
    • pp.67-67
    • /
    • 1983
  • 다음은 정부에서 추진중인 에너지 소비절약 및 이용합리화시책의 일환으로 대형건물의 폐열회수장치(전용교환기)설치를 적극 권장하고 있는 바, 이에 폐열회수장치 효과에 대한 자료를 소개한 것이다. 공기조화설비를 대형건물의 설계시(신축시)에 폐열회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참고 바란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Perforated Type Total HEX Element (다공형 유로를 적용한 전열교환기 소자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Kwak, Kyung-Min;Bai, Cheol-Ho;Kim, Jee-Yong;Chu, Euy-Su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9 no.7
    • /
    • pp.529-536
    • /
    • 2007
  • The perforated type element for a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has been stud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Four holes of diameter of 6mm are punched out for each flow channel to break the boundary layer development and increase the turbulence. KS cooling and heating conditions and test procedures are applied for study. The efficiencies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typical element with smooth surface. For cooling operations, the temperature, latent and enthalpy efficiencies increase 2.5%, 18% and 8%, respectively. For heating operations, the temperature, latent and enthalpy efficiencies increase 3%, 5% and 3.2%, respectively.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Total Heat Exchanger in a Solar Air-Conditioning System (태양열 이용 냉난방 공조시스템 중 전열교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

  • Kim, K.H.;Choi, K.H.;Kum, J.S.;Kim, B.C.;Kim, J.R.
    • Solar Energy
    • /
    • v.19 no.4
    • /
    • pp.45-53
    • /
    • 1999
  • This report Introduces a total heat exchanger in a solar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Lithium Chloride(LiCl) solution. The hot and humid outside air is cooled and dehumidified by LiCl solution that is sprayed on the packed layer of the total heat exchanger. LiCl solution once diluted is concentrated again in a regenerator using solar energy. Three types as the packed material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nd the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value of $k_xa(kg/h{\cdot}m^3{\cdot}{\Delta}x)$,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based on a humidity ratio potential difference, the influence of inlet LiCl solution flow rate, air flow rate, packed layer height on $k_xa$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air flow rate, LiCl solution flow rate, packed layer height for all types had a great influnce on the value of $k_xa$.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Heat Recovery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Spacers (스페이서의 재질변화에 따른 전열교환기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 Lim, Tae-Kun;Jeon, Byung-Heon;Kim, Jong-Won;Jung, Sung-Hak;Lee, Seung-Kap;Ahn, Young-Chull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4 no.3
    • /
    • pp.224-229
    • /
    • 2012
  •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system is being emphasized by interest of indoor air quality. Especially,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has attracted attention as most effective ventilation plan. Because it can reduce hazardous construction materials, indoor air pollutions, and also can reduce air conditioning energy cost. In heat recovery ventilator, the element core is the most important part. The element core is composed of liner and spacer. And liner and spacer are stacked alternately. On the Liner, heat and humidity transfer are made between supply and exhaust air. And spacer plays a role as a tunnel of exhaust and supp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efficiency of a heat recovery ventilator, when the spacer's properties are changed. As a result, difference spacer's properties affect an efficiency of heat recovery venti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