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시실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43초

전시공간 맥락화 구성 프로세스 사례연구 expo Comm Wireless Korea '99 -한국통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xtual Layout Process of Exhibit Space With a Focus on the expo Comm Wireless Korea '99-KT Pavilion)

  • 김준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21-130
    • /
    • 2000
  • 본 연구는 전시공간구성 실무진행 사례를 재집성한 것으로서 전시스토리라인상의 관람자-전시요소간 인터페이스의 적절한 조절, 연출을 통해 매혹적 전시공간의 한 전형을 도출하기 위해 음의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시구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시전달성 극대화를 위해 정연하게 함축된 전시언어의구조화 표현을 통해 양의 공간을 질의 공간으로 전이하며 풍부한 인터럭티브 요소가 내재한 체감형 전시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전시구성 프로세스에서 산발적으로 부연되어 있는 (다듬어지지않은, 원형그대로의) 가변적 전시구성요소(전시 Item, 전시 Text)들은 총합적 전시시나리오의 맥락적 흐름(Contextual Flow)으로 재집성할 때 주어진 조건하의 최저화 과정에서 더욱 완성도 높은 적정해를 도출하려고 하였다. 전시개체요소들을 새로운 이야기로 재구성하는, 즉 전시텍스트를 전시컨택트화 하여 맥락적 전시 시나리오 안에서 전시효과를 극대화하여 전시에 활기를 유도하였다. 프로젝트 수행시 이러한 맥락화는 가능한한 전시설계자의 구심적 역할 수행을 통해 체계화하였다. 전시환경의 시공간적 다양성에 일관적으로 부응하는 전시구성 방법의 전형이 있을 수 없는 바, 본 논고에서는 매년 개최되는 정보통신전시회인 Expo Comm Wireless Korea의 한국통신관 전시계획 내용을 중심으로 디자인 발의 , 조사, 분석에서부터 종합, 개발, 제안, 전달, 관리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실무적 연구결과의 사례로서 제시하였다.

  • PDF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 역사기록전시 - 기록으로 보는 한국불교와 조계종 - (The Archival Exhibition organized by the Archives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 Korean Buddhism and Jogye Order through the archives -)

  • 김재훈;이경훈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287-320
    • /
    • 2006
  • 기록을 관리하는 궁극의 목적은 이용 제공에 있다. 기록물전시회는 기록관 및 기록관리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고, 이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또한, 미지의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아키비스트에게는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에 대한 개괄적인 분류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록전시의 기능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록물전시회를 개최한 기관 및 단체는 아직 많지 않은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중앙기록관의 역사기록전시 사례를 바탕으로 전시기획, 기록물 선별 및 전시 실제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기록전시의 참고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보호 위한 신기술 여기에 모였다 - KISA 정보보호 연구성과물 전시 및 발표회 개최

  • 정보보호뉴스 취재팀
    • 정보보호뉴스
    • /
    • 통권137호
    • /
    • pp.20-25
    • /
    • 2009
  • 지난 3월 10일 삼성동 코엑스 3층 컨퍼런스홀에서 KISA가 '정보보호 연구성과물 전시 및 발표회'를 가졌다. 그동안 KISA는 민간기업과 일반 사용자를 위한 침해사고 대응, 정보보호 인식제고, 정보보호 정책수립 기관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KISA가 이번 발표회를 통해 정보보호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스스로 입증했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신규 융합서비스 보호기술,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기술, 개인정보 유출 방지기술 등 3개 분야의 10개 핵심기술 전시와 설명회가 460여명의 산 학 연 보안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이뤄졌다. 기업 정보보호 담당자들에게는 최신 보안동향 및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보안 실무에 직접 적용 가능한 기술들이 선보인 이번 발표회의 주요 내용을 지면을 통해 소개해 본다.

  • PDF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 박소라;김선영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21-1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실무 및 위기대응훈련 강화를 위한 변전종합실습장 구축 (Establishment of the power substation training center for intensifying executive ability)

  • 정규원;김도원;이은혜;김재군;여근택;이봉희;박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349-3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송변전고장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근원적 고장예방대책으로 실질적인 위기대응훈련과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 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실설비와 연계된 옥내.외 변전소 형태의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앙교육원내 정진관을 개보수하여 실변전설비를 활용한 설비점검, 모의고장훈련, 계통시뮬레이터 실습 및 주요 변전설비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하여 변전분야 전 교육과정에 실습장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도입하여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자의 실무능력배양을 위한 변전분야 종합 교육센터로 전환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과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 및 관광목적지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 서울지역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Memorable Travel Experiences, Tourism Brand Equity and Tourism Loyalty - Focus on Foreign Tourists in Seoul -)

  • 왕가영;엄문연;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9권
    • /
    • pp.189-2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과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 및 관광목적지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방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며,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요인들 간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개인관심 이국적 즐거운 경험, 현지 가이드에 대한 경험, 개인자아 발견 경험, 예상하지 못한 즐거운 경험, 지역전통 고유문화 경험, 여행 동반자 유대강화 경험, 지역주민 환대경험연구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요인 중 개인관심 이국적 즐거운 경험, 현지 가이드에 대한 경험, 지역주민 환대경험만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실설비와 연계된 변전종합실습장 구축 방안 (Plans for power substation simulation system connected with real equipment)

  • 정규원;장성익;김기일;송충기;박휘나;민병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754-75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송변전고장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근원적 고장예방대책으로 실질적인 위기대응훈련과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 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실설비와 연계된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앙교육원내 정진관을 개보수하여 실변전설비를 활용한 설비점검, 모의고장훈련, 계통시뮬레이터 실습 및 주요 변전설비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여, 변전분야 전 교육과정에 실습장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도입하고 이를 토대로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자의 실무능력배양을 위한 변전 분야 종합 교육센터로 전환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시컨벤션 방문객의 참가동기가 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ttendees' Motivation of Convention & Exhibition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박종철;안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893-908
    • /
    • 2011
  • 본 연구는 COEX에서 개최된 2011 한국국제관광전(2011년 6월2일~6월 5일)을 관람하고 출입구로 나오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방문객의 참가동기가 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2.0과 AMOS 6.0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전시컨벤션 관리자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토대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동기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식추구, 친목성, 일탈성, 지역특성의 4가지로 차원 화 되었다. 둘째, 참가동기를 지각하는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추구, 친목성, 지역특성 탐구에서 재방문의도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추구, 친목성, 일탈성에서 추천의도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만족은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전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지능형 관객 감정 판단 모형 (The Intelligent Determination Model of Audience Emotion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Exhibition)

  • 정민규;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39-57
    • /
    • 2012
  • 최근 기존 전시 공간 내에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면서,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시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전시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전시가 보다 고도화되기 위해서는 전시물에 대한 다양한 관객 반응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대상 관객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의사결정지원 모형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전시 공간 내에서 수집 가능한 다양한 관객 반응 중 얼굴표정의 변화를 이용하여, 관객의 감정을 추론, 판단하는 지능형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은 무자극 상태의 관객의 표정과 자극이 주어졌을 때 관객의 표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해 해당 관객의 감정을 판단하는 모형이다. 이 때, 제안모형의 감정 분류체계로는 간결하면서도 실무에 적용이 용이하여 그간 기존 문헌에서 널리 활용되어 온 매력-각성(Valence-Arousal) 모형을 사용한다. 제안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1 서울 DMC 컬쳐 오픈 행사에 참여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얼굴 표정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이 느끼는 감정 상태를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 자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을 적용해 보고, 제안모형이 비교모형으로 설정된 통계기반 예측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이 비교 모형인 중회귀분석 모형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관객 감정 판단 모형을 실제 전시장에서 활용한다면 전시물을 관람하는 관객의 반응에 따라 시의적절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객의 몰입과 만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복합시대의 관광지 문화마케팅에 관한 연구 : 세분집단별 브랜드태도 및 자산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ultural Marketing Factors of Tourism Destination in the Era of Convergence : Focusing on the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Differences by segmented groups)

  • 윤영혜;김미성;강화;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2호
    • /
    • pp.205-217
    • /
    • 2019
  • 본 연구는 산업생산의 시대가 가고, 문화생산 시대가 도래하며 융복합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점차 문화마케팅의 중요성이 늘어나며, 이를 브랜딩에 적용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분야에서 융복합적 성격의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되는 문화마케팅요인이 브랜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방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마케팅요인에 따른 세분집단별 관광지 브랜드 자산 및 태도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문화마케팅 요인을 확인할 설문지 작성 및 배포와 분석을 통해 해당 집단을 저관여인식집단, 고관여인식집단, 중관여인식집단 총 3개로 군집화하였다. 둘째, 세분시장별 브랜드 태도를 확인한 결과 관광지 브랜드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군집 2가 높은 값을 보이고, 군집 3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세분시장별 브랜드 자산인식의 차이에서는 관광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존 선행연구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가설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마케팅의 관광 분야 적용이 적고, 관광지 대상으로 확대가 필요한 시점에서, 요인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했다는 특징을 가지며, 각 세분 시장별 브랜드 태도와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측면에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