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시시스템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공연·전시 추천 시스템)

  • Heo, Yun-Hee;Kim, See-Jun;Park, Do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64-1066
    • /
    • 2013
  • 공연과 전시 정보의 공연 횟수가 10년 사이에 30% 이상이 증가함에 따라서 다양한 공연 전시 정보 속에서 어떤 작품을 선택해야 할지 난해하다. 현재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었고 IOS에 비해 적은 어플리케이션 숫자로 사용자에게 맞는 공연 전시 추천 시스템이 마땅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와 이해가 부족한 사용자에게 비슷한 성향을 가진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교차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에 맞춘 공연 전시 정보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Open API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연 전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간단한 회원 가입 후 예약을 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맞춘 공연 전시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Design and Integration of U Effect System with Multi-sensory Motional Display (다감각의 운동감을 갖는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설계 및 통합)

  • Yoo, Byoung-Hyun;Han, Soon-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99
    • /
    • 2005
  •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교육과 지식의 전달을 위한 도구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및 문화체험을 위한 첨단과학전시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역학적 계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컨텐츠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지식전달 및 흥미 유발을 위해서는 운동감뿐만 아니라 다감각을 동원한 체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운동감 생성 방법과, 다감각 동원 가상현실효과 시스템을 설계하고 통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시점변화를 기반으로 한 운동감 생성과, 미리 저장된 모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운동감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운동감 효과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관객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가상현실 효과를 위하여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다양한 다감각 효과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다감각 효과를 선정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체감형 전시를 위한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정립하였다.

  • PDF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al Content Display System (공간 증강 현실 기반 교육용 콘텐츠 전시 시스템)

  • Kim, Jung-Hoon;Lee, Young-Bo;Kim, Ki-Hyun;Yun, Tae-Soo;Lee, Dong-H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90-794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educational content display system based on spatial augmented reality with a multi-touch screen for effective learning with intuitive interaction. It is hardly expected that the existing display systems have major learning effects because the user-system interaction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buttons or switches, In contrast, the system proposed by this paper ensures more effective interaction through the user's movement, not through buttons or switches. This system uses a spatial augmented reality method to display images, thereby attracting the users' attention. In addition, it ensures the eff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by providing visual images that are more realistic.

  • PDF

An Agency System for Performance Analysis of WMS (WMS의 성능 분석을 위한 에이전시 시스템)

  • 박정윤;김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64-66
    • /
    • 2001
  • 현재 VoD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Corporation)에서 제공하는 WMS(Windows Media Server)를 사용하여 많이 구축하고 있다. 이 때 시스템의 QoS는 WMS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WMS 의 성능을 동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WMS 의 성능 분석을 위해 제안된 에이전트 시스템 모델(agent system model)에서 WMS와 인터페이스를 하는 에이전시(agency) 부분을 개발한다. 에이전시는 WMS가 클라이언트들에게 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성능 분파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WMS 가 성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실행하게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Ground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Ubiquitous Computing (Ubiquitous Computing을 이용한 전시회장 관리 시스템 개발)

  • Sim, Gab-Sig;Jang, Jae-Hy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7
    • /
    • pp.149-156
    • /
    • 2008
  • In this paper, we develope the Exhibition Grounds Management System utilizing the ubiquitous computing which integrates the RFID ubiquitous main technology, existing use technology Bar-c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IT main technology field.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he program for exhibition information. the visitor registration program, manager program and mobile program for the visitor's current location inquiry and the exhibition management. This system is realized and designed based on database, web program, mobile program,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utomation technology utilizing the developed RFID system and the Exhibition Grounds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ith the wireless packet tele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ould have a ripple effect on whole information industrial application fields.

  • PDF

TOKYO PACK 2010 (업계이슈 - 2010 도쿄 국제 포장전)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1
    • /
    • pp.118-130
    • /
    • 2010
  • 2010 도쿄 국제 포장전(TOKYO PACK 2010)이 10월 5일(화)~8일(금)까지 4일간, 도쿄 빅사이트(Big Sight)에서 개최, 1966년에 제1회가 개최되어, 이번으로 제 23회째를 맞게 되었다. 이번 회에는 "성장의 힌트는, 포장에 있다"를 테마로 내세워, 포장의 최신기술이 다수 출품됐다. 출품사는 514사(단체), 1904부스의 규모로 포장자재, 포장기계, 포장가공기계, 식품 환경관련기재, 포장디자인 서비스, 유통 물류 시스템기기 등 포장에 관련되는 온갖 분야에서 최선단의 제품 기술이 전시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생산에서 물류까지 일관한 시스템 전시가 특징이다. 이러한 토탈 시스템 전시는 수많이 개최되는 국내외의 포장전에서도 유례를 볼 수 없는 것으로 양 질 모두 세계 최고클래스의 전시회로써 주목을 모았다.

  • PDF

Visual SLA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opography and Architectural Heritage Model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 활용 Visual-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 Yoo, Eunji;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1-4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 사용되는 전시 매체 중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을 활용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활용을 제안한다. 현재 박물관에서 다양한 디지털 전시가 도입되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도입된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의 ICT 기술 활용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여 3D 객체를 증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문화유산 모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작을 제안함으로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기존 모형의 활용도 및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인터랙션 설정으로 추가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 PDF

Information provide and lear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of exhibition environment (전시 환경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제공&학습 시스템)

  • Lee, Jae-Young;Kwon, Jun-Si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6
    • /
    • pp.545-553
    • /
    • 2016
  •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nformation providing and lear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exhibition (museum, performance) environment. In a typical exhibition space, a description of a picture or a photograph is provided in a printed matter or a space in the form of an information space (explanatory space), or an auxiliary explanation using an 'audio guide' or a 'docent' program.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in the form of a fusion of these methods, and the description of the exhibi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such as text, picture, audio and image, thereby providing stereoscopic information and learning. We appl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a specific exhibition space and utilize it as a tool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learning using image description of pictures.

Trend on Technologies of Smart Space and Metaverse Exhibition Guide (스마트공간과 메타버스 전시안내 기술개발 동향)

  • Kim, S.H.;Lee, H.W.;Ryu, W.;Kim, K.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66-73
    • /
    • 2014
  •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전시공간 구축에 활용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일이다. 우선 메타버스에는 물리적 전시공간에 담긴 모든 콘텐츠를 담아 낼 수 있다.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 얼마든지 콘텐츠를 담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 형태와 구성방식도 전시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고, 물리적 전시공간 내 매체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로 제공된다. 메타버스 개념의 활용은 전시공간을 풍성하고 스마트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전시공간의 개념과 구축을 위한 기술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메타버스의 활용이 전시공간의 스마트화에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메타버스 개념 활용 과제의 내용과 의미를 찾아 이 후 과제 수행 방향을 바르게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S for Monitoring KSLV-I Flight Status in Space Center (나로호(KSLV-I) 비행상태 감시를 위한 우주센터 원격수신자료전시시스템 구축과 운용)

  • Choi, Kyung Jun;Kim, Jeong-Seok;Choi,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9-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나로호(KSLV-I) 비행상태의 실시간 감시를 목적으로 국내에서는 처음 개발된 우주센터 원격수신자료전시시스템(EDS)의 구축과 운용을 소개한다. EDS는 우주센터 발사통제시스템의 주요 시스템 중 하나이고 그 역할은 위성발사체의 비행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주요정보(QLM)와 궤적정보(TSPI)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탑재 서브시스템별 전문가들이 위성발사체의 비행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EDS는 3회에 걸친 나로호 비행시험에서 그 역할에 따라 매회 8대가 운영되었으며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시스템을 기반으로 추후 발전된 형태의 한국형발사체(KSLV-II) 비행상태의 실시간 감시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