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술 데이터 링크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전술데이터링크 기술 표준화 동향

  • Kim, Han-Dong;Choe, Tae-B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0
    • /
    • pp.7-14
    • /
    • 2007
  • 미래의 전장환경은 기존의 플랫폼 중심전(PCW: 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센서로부터 들어온 디지털 정보를 타격체계에 곧바로 전달하는 Sensor-to-Shooter 개념의 네트워크 중심전 (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기본 패러다임이 급속히 바뀌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 능력의 기반이 되는 전술데이터링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술데이터링크는 196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보통신의 발전과 함께 무기체계의 디지털화 및 작전개념의 발전 등으로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미군은 최신의 전술데이터 링크인 LINK-16을 다양한 무기체계에 탑재하고 있으며 연합작전 및 합동작전을 위한 전술데이터링크를 구축하고 있는 반면 아직 우리군은 각 무기체계별로 일부 선진국의 전술데이터링크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을 뿐 모든 무기체계에 적용 할 수 있는 표준 전술데이터링크 및 한국군 단독으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데이터링크가 학보 되지 않아 미래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인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선진국의 주요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한국군의 전술데이터링크 구축 현황 및 미래 한국군 전장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본다.

A Study on the Multi-Tactical Data Link Data Management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 데이터 관리에 대한 연구)

  • Hwang, Jung-Eun;Lee, Kang;Jung, Suk-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457-464
    • /
    • 2020
  • ROK Forces operate Link-11, Link-16 and Korean Tactical Data Link System with Link-K(JTDLS: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As the change from Link-11 to Link-22 approaches, in the JTDLS Completed Business will be added tactical data link processing such as Link-22.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ata management structure for data from multiple tactical data links. Also, we simulate to find ways to process a lot of data quickly using Shared Memory, In-Memory DB, Self Development DB in DLP, and then we confirm the result.

VMF 전술데이터링크 기술

  • O, Haeng-Rok;Gu, Heung-Se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0
    • /
    • pp.15-23
    • /
    • 2007
  • 현대 미래전에서 디지털화된 네트워크 중심의 합동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NCW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미군에서는 NCW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 기술개발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특히 감시체계에서 타격체계에 이르기까지 물흐르듯이 정보 유통을 보장하기 위하여 VMF 전술데이터링크를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그리고 기존 무기체계의 다양한 전술데이터 링크를 표준화된 VMF 전술데이터링크로 점진적으로 전환 중에 있다. 한국군도 이러한 전장양상에 대비하고 NCW를 조기에 구현하고 복합 무기체계간에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국형 VMF 전술데이터링크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무기체계간의 원할한 정보유통을 보장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미군의 VMF 전술데이터링크 기술을 분석하고, 한국군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VMF 전술데이터링크 확보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nsmission Speed of Data Link Processor (전술데이터링크 처리기의 전송 속도 개선에 대한 연구)

  • Lee, K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6
    • /
    • pp.1069-1076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ilitary's battle environment is changing greatly to network centric warfare in where weapon system is connected in a network and carries out mission by exchanging the real-time data. The core of the network centric warfare is Tactical Data Link(TDL) system, and subscribers of TDL exchange tact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wireline, wireless and satellite network to share the battlefield situation. The amount of data sent and received through TDL inevitably increase as military's weapon systems equipped with TDL systems increase over time and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s equipment improves. This study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transmission speed and processing capacity of the TDL system by improving the Data Link Processor.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 구축을 위한 Link-16 PHY/MAC 기술 분석

  • Park, Hyeong-Won;No, Hong-Jun;Im, Jae-S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3
    • /
    • pp.60-68
    • /
    • 2009
  • 미래의 전쟁은 적 보다 더 나은 상황인식(SA: Situation Awareness)을 통한 정보우위를 기반으로 전쟁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작전 수행 개념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중심전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전술데이터 링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한국군은 자주 국방을 이루기 위한 한국형 전술데이터 링크를 개발 및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 구축을 위해 현재 미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최신 전술데이터링크 기술인 Link-16 시스템의 핵심 요소기술인 PHY계층과 MAC계층에 관하여 살펴본다. 먼저 PHY 계층의 송 수신기 구조를 분석하여 전술웨이브폼의 성능을 알아본다. 다음으로는 MAC 계층에서의 자원할당방식을 알아보고, 최근 해군에서 개발중인 Link-22 시스템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Link-16 MAC 계층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술 분석과 함께, Link-16의 PHY 및 MAC 계층 기술들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전술데이터 링크 구축을 위해 필요한 기술요소들의 실질적인 성능에 대해 알아본다.

Interoperable XML Messaging System for Tactical Data Link (전술데이터링크 상호운용을 위한 XML 기반 메시징 시스템)

  • Kim, Hong-Jae;Oh, Sang-Y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3
    • /
    • pp.75-87
    • /
    • 2011
  • Tactical Data Links are standardized radio communication data links for military armed forces and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cause they are the core elements of achieving information superiority in a NCW environment, various kinds of TDL are used by the Korean armed forces. Operating various types of TDL is very helpful in getting more information; however, at the same time, it is hard to integrate and make them co-operate with other TDLs or C4ISR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XML based messaging system to make various types of TDL interoperable in a NCW environment. For the messaging system between TDL and C4ISR systems, we define XML message processing interfaces and suggest binary XML for serialization to save transmission loads over constrained military communication bandwidth. Our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TDL message can be transformed into generalized XML data that is interoperable with other TDLs and binary XML serialization, and it saves parsing and transmission time.

The System Simulator connecting Multi-Tactical Data Link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체계 시뮬레이터)

  • Yun, Keun-Ho;Kim, Sung-Yong;Shim, Shin-Woo;Lee, D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2-145
    • /
    • 2011
  • 무기체계의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전술데이터링크는 전장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또한 비용 절감을 위해 M&S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연동이 가능한 체계 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 그래서 M&S 장비로써 전술데이터링크인 Link-11B와 ATDL-1 연동이 가능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 체계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이것은 Link-11B와 ATDL-1 전술데이터링크간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M&S의 표준 인터페이스인 HLA/RTI와의 연동을 통해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A Algorithm for a effective MAC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전술데이타링크에서의 루핑방지 알고리즘)

  • Lee, Jung-Chul;Park, In-Hye;Lee, H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71-74
    • /
    • 2011
  • 현대의 전술데이터링크는 전장인식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복잡한 다중 전술데이터링크가 운용되는 추세이다. 동일 정보를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해 수신하거나 자신이 전송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링크의 중 계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데이터 루핑이라 하는데 루핑은 이중 표적 전시현상 또는 표적 점핑현상을 유발하고 처리기의 부하 증가로 인한 시간/자원적 낭비 등 전술데이터링크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루핑 방지 알고리즘를 제안하였고, 제안한 알고리즘이 전술 데이터링크상에서의 루핑 현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하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루핑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essage Analysis and Development Situation on the Tactical Data Link of Combat Management System in Naval (함정 전투체계 전술데이터링크 개발현황 및 메시지 분석)

  • You, Hojeong;Choi, Byeongg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2
    • /
    • pp.21-27
    • /
    • 2017
  • The combat systems in Korea navy have been operating some kinds of tactical data link systems such as Link-11, ISDL and JTDLS. Each tactical data link system has the ability to transmit and receive tactical information like track, engagement, weapon information by using unique message of theirs. And each unique message has their own format. But a number of tactical data link system make combat effectiveness worse because their major functions are duplicated unnecessarily. So, many advanced countries are trying to make united data link system. Similarly, the combat systems in Korea navy will operate C4I data link system, and it is combined version current ISDL, KNCCS and JTDLS data link system.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development current tactical data link systems in Korea navy. Als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message used in ISDL and Host-Interface message used in C4I. From these results, we analyze advanced points about C4I data link system.

Mobility Prediction Based Autonomous Data Link Connectivity Maintenance Using Unmanned Vehicles in a Tactical Mobile Ad-Hoc Network (전술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무인기를 이용하는 이동 예측 기반의 데이터 링크 연결 유지 알고리즘)

  • Le, Duc Van;Yoon, Seok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B no.1
    • /
    • pp.34-45
    • /
    • 2013
  • Due to its self-configuring nature, the tactical mobile ad hoc network is used for communications between tactical units and the command and control center (CCC) in battlefields, wher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not available. However, when a tactical unit moves far away from the CCC or there are geographical constraints, the data link between two communicating nodes can be broken, which results in an invalid data route from the tactical units to CCC.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erarchical connectivity maintenance scheme, namely ADLCoM (Autonomous Data Link Connectivity Maintenance). In ADLCoM, each tactical unit has one or more GW (gateway), which checks the status of data links between tactical units.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link breakage, GWs request ground or aerial unmanned vehicles to become a relay for the data link.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actical scenario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network performance with respect to data delivery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