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방견인 효과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CT상의 HU 수치에 따른 상악골 전방견인 효과의 유한요소 분석 (Stress distribution following face mask application using different finite element models according to Hounsfield unit values in CT images)

  • 정동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12-421
    • /
    • 2006
  • 유한요소분석의 결과는 표현된 물성과 구조, 유한요소의 밀도, 그리고 경계 및 하중조건에 의존하게 된다. 상악견인장치의 사용에 있어 상악의 실제 구조와 밀도를 물성으로 반영하여 새로이 개선된 유한요소 모텔과 기존의 방식을 따른 유한요소 모델을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대상이 된 환자는 13세 6개월된 남자 환자였으며 전산화단층사진 촬영으로 얻은 DICOM 영상정보를 개인용 컴퓨터로 옮긴 후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제작하였다. CT상에서 Gray scale을 표현하는 수치인 Hounsfield unit (HU)값을 이용하여 24단계의 물성을 가진 모델(모델1)과 고전적인 방법에 따라 2가지의 물성만을 가진 모델(모델2)을 구성하였다. FH plane하방 $45^{\circ}$ 방향에서 500g의 힘으로 견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골하 능선 후방에 있는 상악골의 부위는 전방부보다 더 넓고, 낮은 밀도를 가진 해면골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같은 견인력을 적용하였음에도 24개의 물성을 가진 모델1의 제1소구치가 모델2의 제1소구치보다 전방과 하방으로의 더 많은 이동이 가능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상악골은 시상면과 전두면상에서 휘어졌고, 소구치를 포함한 전방부위의 상악골이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었다. 고전적인 방법의 2개의 물성을 이용한 모델의 경우, 제1소구치 골 주위에서의 전하방 이동이 작게 나타났으며 상악결절 부위에서는 상방으로의 이동양상을 보여 결과적으로 이 모델에서는 상악 제1대구치의 전방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의 회전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물성 지정의 차이에 따라 유한 요소분석의 결과에 차이를 보였으며 HU 값을 이용했을 때 좀 더 역학적 구조가 잘 표현해 내리라 고려된다.drilling microscrew implants가 더 많은 골접촉을 보였으나 5주에서는 두 군사이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두 방법이 모두 microscrew implant의 식립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나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의 경우 초기에는 약한 힘을 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와이어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은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과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부하-변위 곡선이 상방 이동되었으며,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부하-변위 곡선을 나타냈다. $0.018"\;{\times}\;0.025"$ 그리고 $0.0215"\;{\times}\;0.028"$ 와이어에서 $A_f$ 온도는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낮게 관찰되었고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 그리고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으나, 인공습지와 저류지의 적절한

FACE MASK의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고찰 (RETROSPECTIVE STUDY OF FACE MASK THERAPY)

  • 김태우;장영일;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 mask를 이용하여 상악골을 전방 견인하였을 때, 골격 및 치아관계와 연조직 측모의 변화를 관찰하고 face mask사용전후의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골 열성장에 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face mask를 사용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인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face mask사용전후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고 face mask 사용전 계측치와 face mask사용후의 계측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와 상악골의 실제 길이인 Co-A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여(p<0.001), 상악골은 face mask에 의한 치료후 상당량 전방위치 되었다. 이는 face mask의 orthopedic effect에 의한 것이다. 2. 상, 하악골의 실제길이를 나타내는 Co-A, Co-Gn이 face mask 사용후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3. 하악골의 위치는 상당량 후하방 회전되었다. FMA(p<0.001), SN-GoGn(p<0.01), Y-axis(p<0.01) 등이 face mask 사용후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상악전치, 하악전치의 face mask사용후 치축의 경사도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연조직에 대한 변화에서 상순의 위치가 전방으로 변화하여 정상적인 측모의 평균치에 가깝게 변한 것이 인정되었다(p<0.01).

  • PDF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 조절을 위한 MAS(Molar Anchoring Spring)의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F THE MOLAR ANCHORING SPRING(MAS) DURING RETRACTION OF THE MAXILLARY CANINE)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1-348
    • /
    • 1996
  • 저자는 마찰견인법으로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심 경사된 구치를 직립시키는 Molar Uprighting Spring의 작용기전을 응용하고 마찰견인법의 장점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며 저항원상실이나 견치의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인 Molar Anchoring Spring(MAS)을 고안하였다. MAS를 임상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에 장치를 소개하며 MAS의 저항원 조절능력과 견치의 이동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탄성 모형을 제작한 후 주호선에 diameter 0.009" lumen size 0.030" NiTi closed coil spring만을 장착하여 250gm의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한 경우와, 같은 NiTi closed coil spring으로 동일한 견인력 이 발생하도록 하고 .017" X .025" TMA wire로 $60^{\circ}$의 tip-back bend를 부여하여 수직교정력이 60-70gm이 되도록 제작한 MAS를 제1대구치 auxiliary tube에 삽입하고 견치 전방에 걸어준 경우를 비교실험 하여 견치견인시 초기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호선(main arch wire)에 저항원 조절을 위한 조치없이 견치에 수평견인력만을 가했을 때 구치부에 심한 저항원상실은 물론 견치의 원심이동양상도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으로 나타났다. 2. 구치부의 저항원 조절을 위해 사용한 MAS는 견치의 원심이동 초기에 구치부 저항원 조절효과와 견치의 정출없는 조절된 경사이동(controlled tipping)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 나타났다.

  • PDF

O. M. A (후두돈부(後頭頓部) 고정장치(固定裝置))의 치료(治療) 효과(效果)에 대(對)한 고찰(考察)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EFFECT OF OCCIPITO-MENTAL ANCHORAGE)

  • 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4
    • /
    • 1984
  • 저자(著者)는 골격형(骨格型)의 Angle씨(氏) III 급(級) 부정교합(不正咬合)으로 판단(判斷)되는 여자(女子) 및 남자환자(男子患者) 각(各) 2명(名)씩을 occipitomental anchorage를 이용(利用) 하여 치료(治療)하였다. 전방견인력(前方牽引力)은 200gm으로 6개월(個月)에서 11개월간(個月間) 치료(治療)한 후(後) 각(各) 환자(患者)의 치료전후(治療前後)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側貌頭部放射線規格寫眞)을 중첩(重疊)시켜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상악골(上顎骨)의 전방성장(前方成長)이 일어났다. 2. 하악골(下顎骨)은 후(後), 하방(下方)으로 전위(轉位)된 형태적(形態的) 변화(變化)를 보였다. 3. 구치부(臼齒部)에서 牽引時는 상악골(上顎骨)의 counterclockwise growth가 일어났고 전방부(前方部)에서 牽引時는 clockwise 혹(或)은 downward and forward growth가 일어났다. 4. 상(上) 하경골관계(下頸骨關係)의 개선(改善)으로 보다 양호(良好)한 측모(側貌)를 얻었다.

  • PDF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pattern of mov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using a 3-D finite element method)

  • 정애진;김운수;이수행;강성수;최희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13
    • /
    • 2007
  •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건조 두개골을 전산화 단층 촬영에 의해 3차원 영상화한 유한 요소 모델 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의 시행 여부와 고정원, 힘의 작용점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8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통상적인 T-loop을 이용하여 공간폐쇄를 하는 경우 전치부는 후하방으로 경사이동 하였으며, 구치부에서도 약간 전방 이동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을 동반하여 전치부를 견인한 경우, 전치부 골편에서의 응력 분포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었으며, 전치부 경사의 정도가 적은 반면에 변위량은 훨씬 더 많았다. 협측에서의 견인 시 상악 협측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와 견치 Power arm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미니 임플랜트로 고정원이 강화된 제2소구치와 견치 브라켓 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적었다. 구개측에서 Powerarm에 대한 견인 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에 식립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상악 제1, 2대구치 간 구개면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써 치아이동 시 피질골 절단술의 효과와 저항중심에 대한 교정력 벡터 조정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about Impact of Smart H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 김규남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97-126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상진;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49-366
    • /
    • 1994
  • The method of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ust be chosen according to an etiology and timing of the treatment. Maxillry protrac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 efficacy of maxillary protraction has been viewed as a result of downward-backward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compensatory dental displacement during the treatment rather than forward -downward growth of maxilla itself. In this study, 104 subjects treated with maxllary protraction, and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known annual growth amount have been chosen longitudinally as treated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nd changes in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and denti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y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reated group showed mor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compare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andible displaced backward compare to the normal group. 2. Downward movement of maxilla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gicance in female 12 year old group and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3. In treated group, maxillary central incisor moved more forward than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8, 10 year-old groups and female 8, 9, 10 year-old groups. In treated group, downward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7,8 year-old group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due to maxillary protraction was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growth amount of the normal group.

  • PDF

Horseshoe Appliance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접근 (ORTHODONTIC MANAGE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WITH HORSESHOE APPLIANCE)

  • 한지혜;백병주;양연미;서정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5-681
    • /
    • 2005
  • 성장기 아동의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는 많은 악기능 정형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발전되어 왔다. Horseshoe appliance는 Schwarz에 의해 소개된 장치로서 elastic의 견인력으로 장치의 free sliding 효과를 통해, 하악와와 과두의 관계를 재정립시켜, 악골 주위의 연조직이나 muscle matrix와 조화되는 새로운 위치에 하악골을 repositioning 시켜 악골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하악의 후하방 회전 효과를 극소화시켜 전안면고경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구외장치에 비해 환자의 협조도가 좋다. 저자들은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Horseshoe appliance를 사용한 결과 하악골에 대한 상대적인 상악골의 전방 성장과 교합평면의 반시계방향 회전, 상악 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악 전치의 설측 경사로, 3개월 내에 전치부 반대교합이 해소되는 효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