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리층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GS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한 한반도 상공 전리층 기울기 변화 분석

  • Heo, Yun-Jeong;Lee, Eun-Seong;Heo, Mun-Beo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5-165
    • /
    • 2012
  • 육상, 해양, 항공 등의 응용분야에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활용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정확성,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 요구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무결성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측위 오차 및 위협 요인들을 지상국에서 감시해야한다. 특히, 전리층 변화는 지역적으로 경향 및 세기가 달라 전리층 폭풍 발생 시 지상국과 이동체에서 받은 위성항법 신호에 포함된 전리층 지연 오차의 편차가 심하여 위성항법 사용자의 무결성, 즉 안정성이 위협을 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지역의 전리층 변화에 대한 사전 정보를 통해 지역별로 적합한 위협 모델을 구성하여 전리층 활동 감시가 필요하다. 전리층 기울기는 전리층 지연값 분포의 불균일 여부를 정량화한 값으로, 전리층 폭풍 발생시 기울기가 급증하여 전리층 폭풍 감지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육상 교통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무결성 감시에 전리층 변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 IGS에서 제공하는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에 대한 전리층 기울기 분포 및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전리층 기울기에 대한 보정정보 오차범위 설정이나 전리층 폭풍 발생 판단에 필요한 임계값 설정 등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Based on Multiple Reference Stations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Algorithm on Consistency of Local Ionosphere (협역 전리층의 일관성을 이용한 다중 기준국 기반 전리층 이상 현상 감시 기법)

  • Song, Choongwon;Jang, JinHyeok;Sung, Sangkyung;Lee, Young 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7
    • /
    • pp.550-557
    • /
    • 2017
  • Ionospheric delay, which affect the accuracy of GNSS positioning, is generated by electrons in Ionosphere. Solar activity level, region and time could make change of this delay level. Dual frequency receiver could effectively eliminate the delay using difference of refractive index between L1 to L2 frequency. But, Single frequency receiver have to use limited correction such as ionospheric model in standalone GNSS or PRC(pseudorange correction) in Differential GNSS. Generally, these corrections is effective in normal condition. but, they might be useless, when TEC(total electron content) extremely increase in local area. In this paper, monitoring algorithm is proposed for local ionospheric anomaly using multiple reference stations. For verification, the algorithm was performed with specific measurement data in Ionospheric storm day (20. Nov. 2003). this algorithm would detect local ionospheric anomaly and improve reliability of ionospheric corrections for standalone receiver.

국내 공항 주변환경에서의 전리층 폭풍이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및 비행 시험을 통한 Code-Carrier Divergence Test 결과 분석

  • Ju, Jeong-Min;Heo, Yun-Jeong;Jo, Jeong-Ho;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5.3-35.3
    • /
    • 2010
  •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은 지상에서 위성항법시스템에 대한 위치보정정보와 무결성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여 공항 주변 항공기의 정밀 이착륙을 돕는 지상기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성항법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리층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전리층 폭풍(Ionospheric storm)의 경우 공간적으로 급격한 위치오차 차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인 항공기의 정밀이착륙을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지상시스템(Ground Facility)과 항공기 탑재시스템에서의 전리층 폭풍에 대한 정확한 감시와 전리층 폭풍의 지배적 영향을 받는 위상항법신호를 제거하거나 보완하는 방식 등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들이 계속해서 연구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2001년과 2003년 미국에서 발생한 전리층 폭풍에 대한 위성항법데이터 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전리층 폭풍에 대한 모델링과 지상시스템과 항공기 간의 공간적 상이현상(Spacial decorrelation)을 고려하여 전리층 폭풍이 항공기 이착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전리층 폭풍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는 전리층 폭풍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전리층 폭풍 발생 시 획득한 위성항법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이 선행되며 이러한 분석결과와 항공기 이착륙에 절차를 반영하여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모델을 국내 공항에서 실제 비행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위성항법데이터에 적용하여 전리층 폭풍이 국내 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적 전리층 폭풍 감지기법 중 하나인 Code-Carrier Divergence Test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는 항공용 지역위성항법 보강시스템에 대한 전리층 폭풍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 연구의 기반이 되며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환경의 하나로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Determination of Ionospheric Delay Scale Factor for Low Earth Orbit using the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Model (IRI 모델을 이용한 저궤도 전리층 지연값 배율 결정)

  • Kim, Jeongrae;Kim, Mingy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2
    • /
    • pp.331-339
    • /
    • 2014
  • Determination of an ionospheric delay scale factor, which converts ground-based ionospheric delay into low Earth orbit ionospheric delay, using the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model is proposed. Ionospheric delay from international GNSS service model combined with IRI-derived scale factor is evaluated with NASA GRACE satellite data. At approximately 480km altitud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cale factor are 0.25 and 0.01 in 2004. The scale factor reaches high in night time and Spring and Fall seasons. Ionospheric delay error by the proposed method has a mean of 3.50 TECU in 2004.

GPS TEC 관측자료로 살펴본 우리나라 전리층 특성에 관한 보고

  • Jeong, Jong-Gyun;Lee, Ji-Na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25.2-125.2
    • /
    • 2012
  • 최근 아태지역 국제민간항공기구는 GPS의 항공이행을 위한 전리층 연구 태스크포스(Ionospheric Study Task Force, ISTF)를 결성하였다. 안전한 GPS 항공이행을 위해서는 지역적 그리고 전지구적 전리층 특성을 파악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전리층 모델이 필요하다. 한국천문연구원은 ISTF의 전리층 변화 특성 분석에 관한 기술분과를 담당하고 있으며 GPS 항공이행 실시간 전리층 모델개발을 위한 아태지역 전리층 분석방법 및 표준규범을 수립하고 있다. 아태지역 전리층 연구에 앞서 우리나라 전리층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국천문연구원이 1998년부터 운영 중에 있는 대전 국제 GPS 기준점으로부터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 11년 주기에 해당하는 GPS TEC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기간 동안 우리나라 양/음 전리층 폭풍 발생 빈도에 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GPS TEC의 태양 극자외선 플럭스와 10.7 cm 태양전파와의 상관관계 차이점, 연변화 및 계절적 변화 그리고 이에 대한 시간 변화에 대해 보고한다. 또한 GPS TEC의 27일 주기 변화에 특성에 대해 토의하며, 우리나라 상공 전리층 폭풍의 계절적 분포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끝으로 최근 한국천문연구원 GPS TEC 상시 관측자료에 나타난 태양 및 지자기 폭풍에 따른 전리층 폭풍 사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층대기 연구가 GPS로 대표되는 현업에 적용되는 최근 현황을 소개할 것이다.

  • PDF

The Real-Time Determination of Ionospheric Delay Scale Factor for Low Earth Orbiting Satellites by using NeQuick G Model (NeQuick G 모델을 이용한 저궤도위성 전리층 지연의 실시간 변환 계수 결정)

  • Kim, Mingyu;Myung, Jaewook;Kim, Jeongr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4
    • /
    • pp.271-278
    • /
    • 2018
  • For ionospheric correction of low earth orbiter (LEO) satellites using single frequency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receiver, ionospheric scale factor should be applied to the ground-based ionosphere model. The ionospheric scale factor can be calculated by using a NeQuick model, which provides a three-dimensional ionospheric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e ionospheric scale factor is calculated by using NeQuick G model during 2015, and it is compared with the scale factor computed from the combination of LEO satellite measurements and international GNSS service (IGS) global ionosphere map (GIM). The accuracy of the ionospheric delay calculated by the NeQuick G model and IGS GIM with NeQuick G scale factor is analyzed. In addition, ionospheric delay errors calculated by the NeQuick G model and IGS GIM with the NeQuick G scale factor are compared. The ionospheric delay error variations along to latitude and solar activity are also analyzed. The mean ionospheric scale factor from the NeQuick G model is 0.269 in 2015. The ionospheric delay error of IGS GIM with NeQuick G scale factor is 23.7% less than that of NeQuick G model.

광역보정시스템(WA-DGNSS) 전리층지연 오차추정 알고리듬

  • Yun, Ho;Kim, Do-Yun;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3-325
    • /
    • 2011
  •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과 달리 GPS 측정치 오차를 기준국을 기준으로 스칼라량으로 계산하지 않고, 전리층 지연 오차의 경우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고 위성관련오차의 경우 4차원(x, y, z, t) 보정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보다 적은 수의 기준국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광역보정사용자는 기준국과의 거리와 관계 없이 균일하고 우수한 수준의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보정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전리층 지연 오차 추정 알고리듬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준국 측정치를 이용해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기 위해 핵심적인 단계인 위성 및 기준국 수신기 IFB(Inter-Frequency Bias) 제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격자 알고리듬을 활용한 전리층 맵 생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ssessment of Positioning Accuracy based on Medium- and Long-range GPS L1 Relative Positioning using Regional Ionospheric Grid Model (중·장기선 GPS L1 상대측위에서 격자형 지역 전리층 모델 적용에 따른 측위 정확도 영향 평가)

  • Son, Eun-Seong;Won, Jihye;Park, Kwan-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5
    • /
    • pp.459-466
    • /
    • 2012
  • The ionospheric delay is the largest error source in GPS positioning after the SA effect has been turned off. The ionospheric error can be easily removed by using ionospheric-free combinations but it is only restricted for dual-frequency receiv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gional ionospheric grid model was developed for single-frequency receivers. The developed model was compared with GIM to validate its accuracy. As a result, it yielded RMSE of 3.8 TECU for 10 days. And L1 medium- and long-range relative position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positioning accuracy improvements. The positioning accuracy was improved by 46.7% compared with that without any correction of ionosphere and troposphere and was improved by 14.5% compared with that only tropospheric correction.

A Residual Ionospheric Error Model for Single Frequency GNSS Users in the Korean Region (한국지역에서의 단일주파수 GNSS 사용자를 위한 전리층 잔류 오차 모델 개발)

  • Yoon, Moonseok;Ahn, Jongsun;Joo, Jung -Mi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5 no.3
    • /
    • pp.194-202
    • /
    • 2021
  • Ionosphere, one of the largest error sources, can pose potentially harmful threat to single-frequenc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er even after applying ionospheric corrections to their GNSS measurements. To quantitatively assess ionospheric impacts on the satellite navigation-based applications using simula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needed. Thus, in this paper, we determine conservative statistical quantity that covers typical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or nominal days. Extensive data-processing computes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s from GNSS measurement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ference station networks. We use Klobuchar model as a correction to calculate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rom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 Finally, an exponential delay model for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presented as a function of local time and satellite elevation angle.

Analysis on Normal Ionospheric Trend and Detection of Ionospheric Disturbance by Earthquake (정상상황 전리층 경향 분석 및 지진에 의한 전리층 교란검출)

  • Kang, Seonho;Song, Junesol;Kim, O-jong;Kee, Changd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2
    • /
    • pp.49-56
    • /
    • 2018
  • As the energy generated by earthquake, tsunami, etc. propagates through the air and disturbs the electron density in the ionosphere, the perturbation can be detected by analyzing the ionospheric delay in satellite signal. The electron density in the ionosphere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olar activity, latitude, season, and local time. To distinguish from the anomal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spect the normal trend of the ionosphere. Also, as the perturbation magnitude diminishes by dist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algorithm to detect long-distance disturbances. In this paper, normal condition ionosphere trend is analyzed via IONEX data. We selected monitoring value that has no tendency and developed an algorithm to effectively detect the long-distance ionospheric disturbances by using the lasting characteristics of the disturbances. In the end, we concluded the $2^{nd}$ derivative of ionospheric delay would be proper monitoring value, and the false alarm with the developed algorithm turned out to be 1.4e-6 level. It was applied to 2011 Tohoku earthquake case and the ionospheric disturbance was successfully de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