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래 동화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4초

전래동화와 대학생의 편견 형성 판단 -백설공주, 콩쥐팥쥐,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 Judgement of Prejudice Formation: Snow White Kongjui Patjui and Changwha Honglyunjeon)

  • 류안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0
    • /
    • 1994
  • 아동기에 읽은 동화는 일생에 걸쳐 가치관과 태도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런데 아동이 즐겨 보는 전래동화에서 대부분의 계부모-자녀관계가 부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현재와 같은 이혼의 증가로 인한 재혼가족의 증가 추세에서 사악한 계모의 상을 제시한 전래동화가 계부모-계자녀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남녀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아동기에 읽은 계모-계자녀 관계를 다룬 3편의 전래동화가 그들에게 어떤 편견을 형성하였다고 판단하는 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chi2$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은 아동기에 백설공주라는 외국의 전래동화를 콩쥐팥쥐나 장화홍련전과 같은 한국 전래동화보다 더 많이 읽었고, 그 내용에 대해서도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이런 경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욱 그러하였다. 둘째, 대학생은 백설공주, 콩쥐팥쥐, 장화홍련전에서 계모-계자녀간의 적응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계모상을 연상하였다. 넷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여성 주인 彭?계모에 대한 편견과 인지에 더욱 민감하였다. 다섯째, 이들 동화가 편견을 형성한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절반 정도의 대학생은 이들 동화를 친지 아동에게 권하거나 선물하려고 한다.

  • PDF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 Studies in Korea)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3-26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규모와 정도를 조감하고 연구의 주제, 연구방향, 등을 조사, 분석하여 연구문헌 이용자들에게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해방 이후 생산된 전래동화연구문헌 총 263건을 SA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래동화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생산, 1990년대 중반이후 활성화되어 연구테마도 다양해졌다. 연구문헌은 전래동화자체를 분석하는 연구와 전래동화를 다른 용도에 이용하려는 연구로 대별되었다. 분석연구는 문학작품의 구성요소로서의 사건, 인물, 테마 등의 분석, 심리분석, 가치관분석, 국외 전래동화와의 비교분석 등이 주종을 이루고 이용을 위한 연구는 언어교육자료로의 이용, 삽화, 애니메이션, 전통문양, 복식, 테마공원 등 시각화를 위한 연구, 등이다. 그 외에 설화의 동화화연구,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조사연구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씰 단상(斷想) - 1984년 씰로 살펴본 초판 및 수정판과 천공의 다양성

  • 남상욱
    • 보건세계
    • /
    • 제58권1호
    • /
    • pp.26-29
    • /
    • 2011
  • 이번 호의 주제는 2011년 신묘년(辛卯年) 토끼의 해를 맞아 토끼 도안이 있는 1984년 씰로 선정하였다. 1984년도 씰(한국의 전래동화 시리즈)은 전래동화 5가지를 각 1행씩 구성하고 각 행은 전래동화별로 5칸으로 표현하여 5행${\times}$5칸의 총 25종(5${\times}$5)의 씰로 구성되어 있다. 여류화가이며 공예작가인 곽계정의 작품으로 1984년 씰은 다른 연도의 씰과 달리 변지의 천공(穿孔; Perforation)이 매우 다양하며 판형은 초판과 수정판이 존재하고 있다.

  • PDF

관람객과 상호 교감하는 전래동화-로봇의 수중무대 연출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f Fairy Tale - Robot Aquarium Display System with Visitor Interaction)

  • 신규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80-1187
    • /
    • 2018
  • 본 논문은 수족관에서 유사 3D 플로팅 홀로그램로 구현되는 전래동화를 배경으로 물고기 로봇과 관람객이 상호 교감하는 수중무대를 구현한다. 색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람객과 수중로봇의 개체 위치인식을 수행하였고, 관람객과 전래동화의 개체를 추종하기 위한 위치 추종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장치는 수중로봇 제어를 위한 물고기로봇, 카메라, KIOSK와 수중영상을 연출하기 위한 빔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본 실험은 전래동화와 수중로봇을 기반으로 관람객과 상호 교감하는 수중무대 구현을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수행한 결과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세계 전래동화의 구조 및 내용 특성 비교 -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지역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Analys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 Focused on Asian, European, American, and African Fairy Tales -)

  • 유안진;서주현;성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7-91
    • /
    • 2004
  • Characteristics of 154 traditional fairy tales (62 Asian, 34 European, 40 American, and 18 African fairy tal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ir corresponding cultural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adults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than other characters. The expression of time, such as 'long ago','once upon a time', and 'one day' was provided, and there was an extreme contrast, fixation, and reiteration of literary styles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less of the cultural area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that appeared in African fairy tal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cultures. Also in accordance to the cultural areas, these fairy tales illu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problem solving.

모바일 기반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3D전래동화 콘텐츠 연구 (Research of 3D graphic nursery contents for humanity education developed by mobile AR technology)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7-33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기술 기반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Digilog Book에 관한 연구이다.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콘텐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공간을 연결하는 SW기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전래동화를 외국어학습과 창의인성교육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AR게임(놀이)으로 재구성하였다. 재미있고 유익한 전래동화를 ICT기술을 접목한 융복한 콘텐츠로 재구성하여 경험하면서 첨단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첨단기술기반 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수용하며 생활주변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

  • PDF

동화속의 나 (Me in a FairyTale)

  • 김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43-646
    • /
    • 2020
  • 본 작품은 학생들의 캡스톤디자인 작품이다. 본 작품은 지금까지 내려온 전래동화에 나와 엄마, 아빠가 등장할 수 있는 있도록 동화속의 캐릭터 대신 독서자의 얼굴을 교체한 작품이다. 즉, 아이와 부모가 전자기기(갤럭시탭 등)에 등록된 사진을 동화속 주인공 대신 삽입하면 동화를 읽으면서 가족간 서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작품으로 아이가 동화속에 이입될 수 있고, 집중할 수 있도록 꾸민 작품이다. 본 작품의 개발은 플래시 기술을 활용하지만, 앱 형태로 제작되어 동화를 좋아하는 아이와 부모가 쉽게 접근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표현된 부모의 양육행동 연구 (Parenting Behaviors Represent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reative Stories)

  • 김정원;남규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9-3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renting behaviors which are represented i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reative stories. In this study the parenting behaviors of 44 traditional fairy tales and 52 creative stories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ies (KMBI).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active participation, affectionate behaviors, reasonable guide, and consistency were represented more in creative stories than i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authoritarian control was represented more in traditional fairy tales than in creative stories. Second, fathers in creative storie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ir children's teaching than fathers on traditional fairy tales. Third, mothers in creative stories showed more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showed more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Fourth, the parents in traditional fairy tales showed more achievement-oriented parenting behaviors, especially in father-son relationship than ot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