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도성 재료

Search Result 6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tudy o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xpanded Graphit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팽창흑연/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특성 평가)

  • Oh, Kyung-Seok;Heo, Seong-Il;Yun, Jin-Chul;Han, Kyung-Seop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6
    • /
    • pp.1-7
    • /
    • 2007
  • Expanded graphit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the preform molding technique. The conductive fillers were mechanically mixed with a phenol resin to provide an electrical property to composites. The conductive filler loading was fixed at 60wt.% to accomplish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Expanded graphites were excellent in forming a conductive networking by direct contacts between them while it was hard to get the high flexural strength over 40MPa with using only expanded graphite and phenol resin. In this study, carbon fibers were added in composites to compensate the weakened flexural strength. The effect of carbon fibers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of carbon fiber. As the carbon fiber ratio increased,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d until the carbon fiber ratio of 24wt.%,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gradually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carbon fiber ratio. This was attributed to the non-conducting regions generated among the carbon fibers and the reduction of the direct contact areas between expanded graphit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ctric conductive glasses (전기전도성 new glass의 개발과 응용)

  • 강원호;이명원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6 no.6
    • /
    • pp.498-504
    • /
    • 1993
  • 현재 electronics와 광 electronics등 전자기 관련 분야를 제외하고는 모든 산업을 지탱할 수 없을 만큼 그 이용에는 가히 엄청나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높은 경도를 갖으며 우수한 성형성을 갖지만 전기를 잘 통하지 않는 glass를 기능재료로서 전도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기 자기적 기능을 가진 new glass의 개발과 전도성에 따른 분류, 즉 전자 전도성 glass와 이온 전도성 glass, 초전도용 glass등의 응용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전도성은 하전체의 종류에 따라 크게 전자전도와 이온 전도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그림 1에 여러물질의 전도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기체분리용 전도성 폴리아닐린의 복합막 제조

  • 이연근;하성룡;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75-76
    • /
    • 1997
  • 1. 서론 :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아닐린은 여러 흥미로운 성질을 지니고 있어 많은 연구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폴리아닐린 필름은 캐스팅이 용이하여 많은 응용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전도성을 부여하는 플라스틱 소자, 전자파 차폐재료 뿐만 아니라 분리용 전도성 고분자막, 의료용 히들로겔 제조 등 이제까지 재료의 제한을 받았던 분야에 응용이 기대되고있다.(생략)

  • PDF

Studies on PTC Properties of Carbon Black-Filled HDPE Conductive Composites Containing Elastomer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Carbon Black-Filled HDPE 전도성 복합재료의 PTC 특성 연구)

  • 서민강;김학용;이덕래;박수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0-323
    • /
    • 2001
  • 일반적으로 고분자 재료는 그 자체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전기절연체이나 여기에 카본블랙, 카본파이버, 금속분말 등 전도성을 가지는 입자들을 가지고 도핑할 경우 전기가 통하는 반도체 특성을 지니는 재료로 변화를 한다. 특히, 전기ㆍ전자재료 분야에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재료 중 하나인 PTC 소자는 나노 크기를 가지는 카본 블랙과 고분자 재료의 복합화를 바탕으로 하여 과전류에 의한 발열의 감지 및 전류를 차단함으로서 회로를 보호하는 소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현재 그 수요량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는 기능성 재료중 하나이다. (중략)

  • PDF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로 제작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 향상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02-202
    • /
    • 2012
  •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현대 전자산업의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소재로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면저항이 $100{\Omega}/sq.$ 전후이며 휘거나 접히고 나아가 두루마리의 형태로도 응용이 가능한 소재를 일컫는다. 이러한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 산업 및 유비쿼터스 사회의 중심이 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 신뢰성 유연성 투명 전도막 개발기술은 차세대 산업에 있어서의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및 전도성 유기고분자를 사용하여 투명 전도막을 제조하고 있으나, ITO 박막의 경우 인듐 자원의 고갈로 인한 가격상승 및 기판과의 낮은 접착력,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공정상의 문제, 산화물 특유의 취성으로 인한 유연소자로서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도성 유기고분자의 경우는 낮은 전기전도도와 기계적강도, 유기용매 처리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전기전도도와 투광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지니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재료로서 그래핀(graphene)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중심으로 하는 탄소나노재료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vapor deposition; TCVD)으로 합성된 그래핀 및 CNT를 이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래핀과 CNT합성을 위한 기판으로는 각각 300 nm 두께의 니켈과 1 nm 철이 증착된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였으며, 원료가스로는 메탄(CH4)과 아세틸렌(C2H2)등의 탄화수소가스를 이용하였다. 그래핀의 경우 원료가스의 유량, 합성온도, 냉각속도를 변경하여 대면적으로 두께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합성하였으며, CNT의 경우 합성시간을 변수로 길이 제어합성을 도모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은 식각공정을, CNT는 스프레이 증착공정을 통해 고분자 기판(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위에 순차적으로 전사 및 증착하여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탄소나노재료 복합체 기반의 유연성 투명 전도막은 물리적 과부하를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연성 투명 전도막의 구조적결함에 기인하는 전도성 저하를 보상하는 특징이 있어,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각각으로 제조된 유연성 투명 전도막보다 물리적인 하중이 반복적으로 인가되었을 때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40% 스트레인을 반복적으로 인가하였을 때 그래핀 투명 전도막은 20 사이클 이후에 면저항이 $1-2{\Omega}/sq.$에서 $15{\Omega}/sq.$ 이상으로 급증한 반면 그래핀-CNT 복합체 투명 전도막은 30사이클까지 $1-2{\Omega}/sq.$ 정도의 면저항을 유지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AN Nanofiber-PANI Composite (PAN Nanofiber-PANI 복합체의 제조와 전기 전도성)

  • 박준철;이승구;강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1-222
    • /
    • 2003
  •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는 범용 고분자에 비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지니는 반면, 가공이 난이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의 최대 단점인 가공성의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는 새로운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해 내거나 화학적 개질인 공중합(copolymerizaon)이 가능하고, 물리적인 접근법으로 블렌드와 복합재료화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것은 블렌드와 복합재료화를 통한 물리적 접근법인데 이는 기존의 물성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이다. (중략)

  • PDF

나노 전도성 Filler를 이용한 박막 고분자 PTC 특성 연구

  • 강영구;조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51-354
    • /
    • 2003
  • 최근 안전 분야에서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분야로서 첨단 전기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한 섬유상, 구형, flake 등 각종 형상의 금속, 흑연, carbon black, whisker 등의 전도성 filler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성형가공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하고 electrical hazard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전기방지효과, 자기발열체, 전자기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성형체상으로 가공된 소재로 화학공장, 산업설비, 각종 제조설비의 제조 공정용 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부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소재용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Transparent Conductive Polymer Sheets and Film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지용 투명 전도성 고분자 쉬트 및 필름)

  • 서광석;김종은;김태영;이보현;진영필;박현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1.07a
    • /
    • pp.219-219
    • /
    • 2001
  • 최근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전도성 고분자를 절연체 고분자 표면에 코팅하여 정전기 방지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투명 대전방지 고분자 쉬트 및 필름을 개발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정전기 방지 포장용 고분자는 폴리스티렌이나 폴리비닐에 카본블랙을 혼합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표면 에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카본블랙을 섞은 경우는 카본입자가 불순물로 작용하여 제품을 오염시키고 검은색 불투명이기 때문에 포장 후 제품을 확인 할 수 없으며 카본 혼합에 따른 기저수지의 물성 약화 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거나 코팅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도성이 소멸되며 입자가 표면으로 blooming out되어 제품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기술 개발에 의하여 얻어진 투명 전도성 고분자 쉬트 및 필름은 기저수지가 투명할 경우 550nm에서 투명도를 5% 이하로 감소시키며 전도성 물질로 고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전도성을 가지며 기저 고분자의 물성을 그 대로 유지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개발품은 전자 부품 및 반도체 포장용 트레이, 캐리어 소재 및 정전기 방지를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여 처리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장, 운반 목적 외에 여러 가지 정전기 방지 처리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Improvement of Nitrogen Oxide Removal of Concrete Sidewalk Block Using by Conductive Photocatalyst (전도성 광촉매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대기중 질소산화물 저감에 관한 연구)

  • Geun-Guk Bae;In-Sook Cho;Yong-Sik Ah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11 no.4
    • /
    • pp.493-500
    • /
    • 2023
  • The use of TiO2 photocatalyst in the production of concrete blocks for the purpose of nitrogen oxide reduction is an issue of controversy due to the conflicting evidence on its effectivenes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level of nitrogen oxides in the environment by using of titanium dioxide (Ti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corporating activated carbon into concrete blocks on the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 durability of the blocks. The efficiency of photocatalyst was enhanced through the addition of a surrounding conductive substance. The addition of activated carbon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hotocatalytic blocks and improved durability. The cement mixture using 5 % TiO2 and 15 % activated carbon exhibited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the purpose of nitrogen oxide removal.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conductive carbon to the photocatalytic blocks was discussed with the results of conductivity, flexural and comprssive strength and nitrogen oxide removal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dition of conductive carbon to the photocatalytic blocks and its resulting effects have been studied by several tests, including conductivity,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nitrogen oxide removal.

Self-Diagnosis Properties of Fracture in Reinforced Concrete Intermixed with Conductive Materials (전도성 재료 혼입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파괴예측 자기진단 특성)

  • Park, Seok-Kyun;Cho, Sung-D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0 no.3
    • /
    • pp.369-374
    • /
    • 2008
  • Two types of conductive materials are selected and their applicable properties are investigated so as to give the capability of self-diagnosis of fracture in composite mortar,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In this study, for giving selfdiagnosis capability, the powder of cokes and milled carbon fiber as conductive materials are selected and intermixed with mortar,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After examining change in the value of electric resistance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cracks at each flexural load-stage in composite mortar,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the relationships of each factors (electric resistance, crack and flexural load) are analyzed. As the results, it can be recognized that conductive materials with powder of cokes and milled carbon fiber can be applied for self-diagnosis of flexural fracture in composite mortar,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