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도성 섬유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1초

불량도체 표면의 전도성 부여가공 (Improving Surface Conductivity of Nonconductive Materials)

  • 박병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5-85
    • /
    • 1999
  • 불량도체 표면의 대전현상 즉 정전기(static electricity) 현상은 인류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주로 해로움이 많다. 따라서 뼈대의 물리적 기능이 탁월한 불량도체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해 주면 생활에 편리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익한 여러 가지 첨단기술 제품도 생산해 낼 수 있다. 유리, 종이, 섬유, 플라스틱과 같이 원래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불량도체의 표면에 전도성을 부여하려는 가공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절연체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기술은 복합(composite)화에 의한 전자기능의 출현을 목표로 한 기술인데 다음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중략)

  • PDF

전도성 카본블랙이 충진된 도전성 고분자 복합재료(II) -가공성을 중심으로 - (Conductive Carbon Block Filled Composites( II ) - Concentrated on Processabilily -)

  • 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2호
    • /
    • pp.113-120
    • /
    • 1999
  • 기능성고분자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꼽을 수 있다. 상업화된 전도성 고분자 제조법으로서 전도성 물질의 충진에 의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전도성 기능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아 연구 개발 중이다. 이러한 이유중의 하나로 카본블랙과 고분자수지의 컴파운딩에 대한 이해 부족이 지적되고 있어, 본문은 전도성 카본블랙을 이용한 컴파운딩에 대한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섬유모양의 카본블랙이 고무가공 면에서 쉽지가 않았으나 전도성 면에서는 구 모양과 막대모양의 카본블랙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섬유모양 카본블랙과의 가공성을 높이기 위하여 oil을 첨가하여 가공한 결과, 물성면에서는 약간 뒤떨어지나 가공성이 향상되었으며 전도성 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났다. 또한 용액가공에 대한 연구를 용융가공과 비교하면서 수행하였다.

  • PDF

나노 전도성 Filler를 이용한 박막 고분자 PTC 특성 연구

  • 강영구;조명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1-354
    • /
    • 2003
  • 최근 안전 분야에서 기능성 고분자 재료의 응용분야로서 첨단 전기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한 섬유상, 구형, flake 등 각종 형상의 금속, 흑연, carbon black, whisker 등의 전도성 filler를 고분자 matrix에 혼입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성형가공하여 복합성형체를 제조하고 electrical hazard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전기방지효과, 자기발열체, 전자기파 차폐효과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성형체상으로 가공된 소재로 화학공장, 산업설비, 각종 제조설비의 제조 공정용 제어, 과전류차단 및 외부 전자기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시스템 소재용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전도성 섬유 웨어러블 안테나를 기반으로 한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An ECG monitoring system using a conductive thread-based wearable antenna)

  • 정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15
    • /
    • 2017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들이 큰 관심을 끌면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무선링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기기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도성 섬유를 이용해 제작한 안테나를 옷에 부착하고 이를 심전도 센서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과 결합하여 심전도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용한 전도성 섬유는 40가닥의 은도금 한 실 묶음으로 직류 선저항이 30 ohm/m 이하, 도전율이 105 S/m 이상이다. 전도성 섬유 기반 안테나를 설계하고 제작하는데 있어 3차원 전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및 자수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으며, 제작한 안테나 시작품의 반사계수를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해 측정한 결과 지그비 2.4GHz 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10dB 이하의 우수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해당 웨어러블 안테나를 지그비 통신 모듈, 심전도 데이터 처리 모듈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연결하여 최대 220m 떨어진 수신기에 심전도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됨을 시연하였다.

u-헬스케어 응용을 위한 전도성 섬유 심전도 전극의 섬유적 특성 시험 연구 (A Study on Fabric Material Test of Conductive-Fabric Type ECG Electrode for u-Healthcare Application)

  • 강보규;황인호;유선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31-41
    • /
    • 2012
  • 의료기기의 발전과 IT융합기술의 접목으로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u-헬스케어 기기가 개발되어 일상생활과 가정에서 불편함이 없이 건강변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를 고려해 의복처럼 착용하고 생활하며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에 전도성 섬유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u-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우선되고 있는 반면 성능평가 기준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시판전의 시험검사나 시판후의 수거 검사 시에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 등에 따른 가이드라인 마련에 힘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적 특성 시험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착용형 u-헬스케어 기기에 전극으로 접목 가능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 PDF

전도성 카본블랙이 충전된 도전성 고분자 복합재료(I): 카본블랙이 전기전도성에 미치는 영향 (Conductive Carbon Block filled Composite(I): The Effect of Carbon Block on the Conductivity)

  • 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1998
  • 전도성 충전제인 카본블랙이 미치는 영향을 올바로 이해하므로서 전도성 카본블랙을 충전하여 도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고분자 수지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Polycabonate), PC/ABS 를 사용하여 전도성 카본블랙 3종류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섬유사슬모양의 전도성 카본블랙을 충전한 PC는 상당히 가능성을 보였다.

  • PDF

PET 섬유의 유전가열 접착에 전도성 섬유의 영향 (Effect of Conductive Fiber on the Polyester Fibers Bonding by Dielectric Heating)

  • Lim, Min-Soo;Kim, Dong-Cheul;Joo, Chang-Wha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86
    • /
    • 2001
  • For the common drier and heaters, the heat gradually transfers from exterior to interior in the materials, as it generally adopts radiant or/and convection heat. However, by using microwave,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fiber materials can be evenly heated simultaneously.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