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단키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7초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of Precast Coping)

  • 김태훈;박세진;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23-12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로 단순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캐스트 코핑부 8개를 제작하여 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전단키와 수평전단철근을 선정하였다.

  • PDF

대형 콘크리트 판넬구조의 수직접합부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Strength of the Vertic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tructures)

  • 서수연;이원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119
    • /
    • 1994
  • 대형 콘크리트 패널구조 시스템의 수직접합부 저항요소는 접합부 충전 그라우트의 부착과 전단키에 의한 맞물림작용, 철근을 장부작용으로서, 이들 요인의 상관관계에 의해 그 내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수직접합부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이들 요인에 관한 연구로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수직접합부의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는 국외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여러 실험식이 제시되어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수직접합부에 관한 일련의 실험연구가 진행되어 설계식이 제시되었으나, 이들 설계식은 국부적인 실험결과만을 대상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실험결과를 근거로한 설계식이 요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험된 총 94개의 수직접합부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수정된 Mohr-Coulomb의 항복선이론을 적용하여 적합한 설계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설계식은 전단키의 효과와 횡보강근의 효과를 고려한 식으로서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를 그라우트로 사용하며 횡보강근으로 루프철근을 사용한 수직접합부에 적용된다. 실험결과의 희구분석과 항복선 이론을 이용한 수식의 전개로부터 제안된 설계식의 정확성과 경제성을 평가 한 결과, 본 제안식이 실험결과를 안전측으로 평가할 뿐만아니라 기존식에 비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가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MRS 연속단 접합부의 구조상세에 따른 하중저항 메커니즘과 거동 특성 (Load Resistance Mechanism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MRS Continuous Joints)

  • 오영훈;문정호;임주혁;최동섭;이강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47-254
    • /
    • 2010
  • 이 연구는 댑단부 설계방법, 덧침 콘크리트 접합면의 상태, 댑단부의 형상 등의 구조상세가 MRS 연속단 접합부의 하중저항 메커니즘과 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댑단부의 전단설계를 위한 계수하중으로서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고려한 실험체와 고정하중만을 대상으로 설계한 실험체는 모두 접합부의 연성적인 휨파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MRS 연속단 접합부의 댑단부는 시공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응력상태에 맞게 댑단부의 전단설계를 한다면 실제 사용상태의 하중은 연속단의 휨저항 메커니즘에 의해 저항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접합면의 거칠기는 MRS 연속단 접합부의 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MRS 단부에 전단키를 설치한 구조상세는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콘크리트 전단키에 의한 지하연속벽 수직시공이음부의 전단저항 성능 (Shear Resistance Performance of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in Slurry Walls Using Concrete Shear Keys)

  • 이정영;김승원;김두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99-400
    • /
    • 2023
  • Current building structural standards require the shear strength and rigidity in the design of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in a slurry wall. This paper proposes a shear key resistance method for shear connection of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and compares its structural performance with the currently prevalent method of shear friction rebar. The study fou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hear key resistance method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shear friction rebar method.

  • PDF

전단키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교의 내진성능 향상 방법 (Seismic Upgrading of Multi-Span continuous Bridges using Shear Keys)

  • 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 /
    • pp.313-318
    • /
    • 1999
  • The seismic performance of multi-span bridge without seismic detailing i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longitudinal direction. Shear keys and stoppers can b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enhance seismic capacity. The capacity curve of bridge with shear keys is obtained considering two extreme contact conditions of shear keys. Its curve is converted into ADRS spectra and compared with demand spectra. It is concluded that seis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effectively by shear keys and its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graphically on the ADRS specta.

  • PDF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강재 보 외부 접합부의 이력거동 (hysteretic behaviour of exterior HSC column-steel beam joints)

  • 조순호;선성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3-34
    • /
    • 2000
  • 반복하중을 지지하는 4개의 2/3 크리 접합부 실험을 통하여 콘크리트 기둥 및 강재 보로 구성된 골조에 대한 외부 모멘트 접합부의 이력거동을 조사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는 접합부에 배치된 후프근의 수, 콘크리트만의 전단강도 발현응ㄹ 유도한 접합부 상세, 강재 보 플랜지 상, 하부에 스터드 형태의 전단키를 사용한 상세 등이다. 실험 시 관측된 균열양상, 파괴형상 및 다양한 계측결과에 근거하여 접합부 상세에 따른 각 시험체의 거동이 자세히 기술되었으며, 항복 후 보유강도, 강성저하 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 등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이들 중 패널 및 인접 기둥 영역에 각각 2개의 후프근을 갖는 시험체 (CF3) 가 가장 우수한 이력응답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형태의 접합부 상헤는 우리나와 같은 약진 지역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콘크리트 수직시공이음 접합면의 전단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Interface Shear Strength of Concrete in Vertical Construction Joint)

  • 김욱종;김영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29
    • /
    • 2004
  • 수화열에 의한 균열은 대규모 콘크리트 타설시 흔하게 접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한 해결은 시공이음을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합면을 할석으로 처리 하나 이 작업은 번거롭고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접합면을 3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여 접합면의 전단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18개의 시험체에 대한 push-out실험을 수행하였다. 할석으로 접합면을 만든 시험체에 비해 리브라스를 이용한 시험체가 전단저항에 월등한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그리고 리브라스를 절곡하여 만든 전단키가 전단저항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강관말뚝머리의 구조 성능 평가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Pipe Pile Cap with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 구현본;김영호;강재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A호
    • /
    • pp.843-8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설계기준상의 강관말뚝머리 연결부 결합방법이 갖고 있는 전단키 용접, 철근 배근 및 정착길이 확보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결합용 구조 요소로 유공강판 전단연결재(Perforated Flat Shear Connector)를 활용한 새로운 보강방법을 고안하고 이에 대한 구조적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를 활용한 보강방법은 기존 방법을 대체할 만한 동등 수준 이상의 구조 안전성은 물론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갖는 구조 시스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강관말뚝머리 연결부 보강방법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면매입보강방법으로 콘크리트내에 매입된 FRP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거동 (Bond Behavior between Near-Surface-Mounted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 and Concrete in Structural Strengthening)

  • 서수연;윤승조;권영순;최기봉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75-682
    • /
    • 2011
  •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시 사용되는 FRP(fiber reinforced polymer)를 이용한 보강에서, 철근콘크리트의 피복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부에 FRP 바를 삽입한 후 에폭시 모르타르 등으로 보강하는 방법, 즉 표면매입보강(near-surface-mounted retrofit, NSMR)방법의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FRP 판을 철근콘크리트 표면에 매입보강시 FRP 판의 부착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FRP 판의 매입 길이, 전단키의 유무, 보강열수 등을 변수로 부착 실험을 실시하여 파괴 기구를 관찰하고 이를 근거로 콘크리트 할렬 파괴시의 인발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강도식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매입 길이가 길수록 인발 내력은 증가하며 FRP 판의 열수가 증가할수록 내력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의 할렬 파괴를 고려하여 내력을 산정한 결과 실험 결과와 좋은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래브 형식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의 종방향 연결부 형상 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ape of a Longitudinal Joint of the Slab-type Precast Modular Bridges)

  • 이상윤;송재준;김형열;이영호;이정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8-1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급속시공을 위한 단지간의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의 종방향 연결부 상세를 제안하고자 한다.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은 횡방향으로 분절되어 제작되므로, 분절된 프리캐스트 모듈 사이에는 종방향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에, 종방향 연결부의 형상과 제원을 결정하기 위해 전단키 개수, 폭, 높이, 경사각, 연결부 폭을 변수로 선정하여 해석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함께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서 연결부에 초기 균열이 발생하는 균열하중에 대한 경향을 검토하였으며, 종방향 연결부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효율계수(efficiency factor)를 제안하였다. 해석 및 실험에서 얻어진 균열하중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효율계수를 이용하여 연결부의 형상 및 제원을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