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단력

검색결과 1,661건 처리시간 0.033초

자갈하상하천에서 등가조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quivalent Roughness Estimations in Gravel Bed Stream)

  • 이신재;박상우;장석환;최계운;전병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8-412
    • /
    • 2007
  • 본 연구는 자갈하상하천에서 하상에 분포하는 입자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이용하여 등가조도를 산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등가조도는 기존의 연구들처럼 경험적으로 특정입도에 의해 산정하지 않고 하상에 분포하는 각 입자에 작용하는 입자 전단력을 산정하고, 하상 평균전단력과의 관계로서 산정하였다. 입자 전단력은 항력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이때 항력계수는 입자의 돌출 높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입자에 부딪히는 평균유속은 수치적분을 통해 입자의 돌출 높이에 따라 가변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식으로 제시하였다. 단위면적당 입자 전단력과 하상 평균 전단력과의 관계를 통해 등가조도의 함수로서 식을 제시한 후 수치해석방법의 하나인 증분 탐색법을 통해 등가조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산정된 등가조도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 및 흐름저항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PDF

소 도체등급 판정 항목과 전단력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hear Force and Grade Decision Factors on Hanwoo Cow Carcass)

  • 김동엽;김병도;백상국;정형진;김대곤;한기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4-3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단력과 도체등급 판정항목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육질평가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한우암소 200두를 대상으로 하였고, 세부적으로 성숙도와 전단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기계적인 연도 측정상에서의 성숙도와 연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육량등급이 낮아질수록 전단력이 낮아져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질등급 항목 중 육질 1차등급과 최종등급은 전단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근내지방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은 전단력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암소 성숙도는 육질등급판정에서 하향조정항목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도체 성숙도에 따른 전단력의 차이에서는 성숙도 4가 $452.04\;kg/cm^2$로 가장 높은 전단력을 나타낸 반면, 성숙도 5가 $413.11\;kg/cm^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성숙도 2가 $417.98\;kg/cm^2$이었던데 반하여 성숙도 9는 $428.80\;kg/cm^2$을 나타내어 성숙도와 전단력(기계적 연도측정치)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숙도와 관련하여 전단력 뿐만 아니라 보수력 및 관능 특성인 다즙성, 향미 등의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연구조사가 수반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육질등급 판정을 위한 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기계 조인트의 전단 컨택 특성 측정 (Measurement of Shear Contact Characteristics on Mechanical Joints)

  • 이철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849-855
    • /
    • 2008
  • 다양한 조임 조건에서 기계적 조인트의 컨택 특성 파라미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컨택 공진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적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계적 조인트의 전단 컨택 강성과 감쇠의 파라미터는 접촉 표면간의 표면 처리, 윤활 유무, 그리고 조임력과 전단력의 의한 영향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조인터 파라미터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제안된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 컨택 강성 값은 조임력과 전단력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컨택 감쇠 비 값은 대부분 조임력과 상관없이 일정 값을 나타내지만 전단력이 커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추가로, 전단 강성 값과 컨택 감쇠 비는 매끄러운 표면에서보다 거친 표면에서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PC 합성보의 수평접합면 전단력 전달성능 평가 및 설계법 분석 (Evaluation of Design Method and Shear Transfer Capacity on the Horizontal Interface of PC Composite Beams)

  • 문정호;오영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81-9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합성보의 수평 접합면에 대한 수평전단력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6개의 접합면 전단성능 실험체를 대상으로 접합면의 표면상태, 전단철근의 보강량과 상세 등의 구조변수에 대한 수평전단강도를 평가하였다. 휨압축파괴를 나타낸 SF-291B를 제외한 모든 실험체는 실험계획에서 의도한 대로 접합면의 수평전단력에 의한 전단파괴를 나타내었다. 설계기준식의 수평전단력 전달 또는 전단마찰 설계법으로 산정한 접합면 전단강도는 실험체의 수평전단 파괴를 초래한 접합면의 수평전단내력을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CI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전단철근의 배근상세와 정착길이는 접합면에서 요구되는 수평전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수직전단보강이 없는 PS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합성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PC-CIP Composite Beams without Vertical Shear Reinforcements)

  • 김철구;박홍근;홍건호;강수민;서정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533-543
    • /
    • 2014
  • 최근 들어, 지하주차장과 같은 모듈화 건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함께 사용되는 복합공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선 제작되기 때문에 재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프리텐션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현행 구조기준이 긴장력이 가해진 단일 단면의 전단 강도식은 제시하지만 긴장력이 가해진 프리캐스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합성단면의 전단강도식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긴장력이 가해진 합성 부재의 전단강도 실험을 통해 긴장력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합성부재의 전단강도 산정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변수로는 콘크리트의 면적비, 긴장재의 긴장력, 전단 경간비, 그리고 전단철근비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보면, 전단강도는 긴장력 크기와 긴장력이 가해진 단면의 면적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전단경간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순수 굽힘 모멘트 장치와 순수 전단력 장치에 관한 고찰

  • 황재석
    • 기계저널
    • /
    • 제32권6호
    • /
    • pp.536-553
    • /
    • 1992
  • 하중 종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하중 중의 하나인 순수 전단력과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 키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등방성체나 이방성체의 횡 전단계수 (G$_{12}$)와 횡 응력 프린지치(f$_{12}$) 등을 측정 하고자 할 때, 또는 모드 II (mode II)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그림 1, 그림 2, 그림 3 그리고 그림 4 등에 제시된 것 중에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 전단 력이 발생되는 면적이 크고, 순수 전단력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발생시키고자 할 때, 각 재료의 전단 물성치(shear properties) 측정, 모드II(mode II) 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본 연구자가 고안한 H.I.S.T. 장치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2) 직선 보에 순수 굽힘 모멘트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가하고자 할 대는 N.B.M.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N.B.M. 장치는 어느 보의 장치보다도 곡선보나 변형이 큰 보에도 더 정확하고 균일하게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 PDF

유체흐름에 의한 표면력 측정을 위한 탄성 표면파 센서 (SAW Sensors for Measurement of Surface Forces in Fluid Flows)

  • 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81-90
    • /
    • 1990
  • 유체 동역학에서, 난류에 의해 수중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과 전단력의 측정은 중요한 문제이 다. 이러한 유체의 흐름에 의한 압력과 전단력, 나아가 유체의 흐름방향까지 시간과 거리의 함수로 측정 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표면파 센서가 개발되었다. 센서는 압축 인장형 전단력을 받는 두 개의 표면파 와 흐르는 유체 속의 표면파의 속도차는 또한 유체흐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한다. 정지류 속의 표면파와 흐르는 유체 속의 표면파의 속도차는 또한 유체흐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한다. 이 센 서를 응력 로젯과 같이 배열하면 유체의 진행방향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표면파 센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므로, 적절히 설계하면 유체의 흐름에 의한 표면력과 유체의 진행방향을 동 시에 거리와 시간의 함수로서 국부적으로, 광역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PDF

침수식생 하도의 식생층 평균유속 (Mean Velocity in Vegetation Layer of the Channel with Submerged Vegetation)

  • 송주일;김경범;김주형;윤세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5-145
    • /
    • 2012
  • 일반적으로 식생하도에서는 다양한 흐름저항 발생으로 인해 통수능은 감소하고 홍수위는 증가할 수 있다. 식생하도 흐름해석을 위해서는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흐름저항이 합리적으로 산정되어야 한다. 하도 흐름에 식생을 고려하는 중요한 관점 중 하나는 식생높이에 대한 수심의 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이 식생높이보다 큰 즉, 침수식생 조건에서 식생층의 평균유속 산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 결과 식생층의 평균유속 산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흐름을 정상, 등류로 가정하고 전 수심에 대한 힘의 평형을 해석하는 것이고(Stone and Shen, 2002), 두 번째는 2층 구조로 분리하여 식생층과 표면층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을 힘의 평형에 포함시키는 것이다(Baptist et al., 2007; Huthoff et al., 2007; Yang and Choi, 2010). Stone and Shen(2002)의 경우 일부 유속을 과대 산정하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층간 전단력이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2층 구조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 식생이 차지하는 부피는 증가하는 반면, 바닥 전단력의 영향은 감소하게 되므로 식생의 부피는 고려하되 바닥 전단력은 무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식생층 평균유속식을 기존 연구의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한 것은 <그림 1>과 같다. 비교적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Dunn et al.(1996), Rowinski et al.(2002)의 실험결과에 대해서는 유속을 과대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들 실험조건의 특징은 침수비가 모두 2.0보다 작다는 것이다. 따라서 침수비 조건에 따라 전단력 ${\tau}_i$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비 2.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침수비에서는 전단력 ${\tau}_i$를 무시하고, 2.0이상에서는 ${\tau}_i$를 고려한 침수식생하도 식생층 평균유속 산정식을 제시하였고 수리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 <그림 2>와 같이 수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지반의 전단변형에 따른 마찰형 앵커의 긴장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ensile Force of Friction Type Anchor under Shear Deformation of Ground)

  • 유민구;권오일;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3-25
    • /
    • 2018
  • 앵커가 보강된 비탈면에 활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활동면을 따라 전단면에 전단응력과 휨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전단변형의 증가는 앵커의 긴장력 변화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에 따른 앵커의 긴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앵커의 수직방향으로 전단변형을 유발하여 앵커의 긴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형 직접전단시험기를 통해 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단시험은 앵커 설치 유무, 정착부에서 전단면까지의 이격거리(1D, 2D, 4D) 및 측압(0.1MPa, 0.2MPa)을 변수로 총 8가지 조건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단시험 결과, 이격거리와 주변지반의 측압은 앵커가 설치된 모형 지반의 전단력 및 앵커의 긴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력 변화는 앵커 두부 및 선단부의 축력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앵커 두부에서의 긴장력 변화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앵커 정착부에서의 전단변형에 따른 거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구성 햄 제조 시 Transglutaminase 첨가에 의한 텀블링 시간의 단축과 전단력 증진 효과 (Reduction of Tumbling Time and Improvement of Shear Value for the Manufacture of Restructured Hams using Transglutaminase)

  • 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TGase를 사용함으로써 재구성육 햄의 결착력과 텀블링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재구성 햄은 73.9∼75.7% 수분, 3.63∼4.18% 지방, 16.6∼20.6% 단백질로 구성되었고, pH는 5.95∼6.10 그리고 0.95∼0.96의 수분 활성도를 보였다. 텀블링시간의 증가나 TGase 첨가에 의한 발색과 기능성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TGase 무첨가구는 첨가구에 비해 텀블링시간에 관계없이 조직학적 성상이 낮게 나타났다. 전단력은 재구성육 햄에서 TGase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텀블링시간을 길게 하거나 또는 TGase의 첨가시 전단력이 향상되었다. 즉, TGase의 첨가는 1시간으로 텀블링시간을 줄인 대조구가 텀블링시간이 4시간인 대조구에 비해 조직학적 성상이나 전단력이 유의적 차이를 보여 저하된 것에 반하여, 유의차 없는 조직학적 성상과 전단력을 보여줌으로써 텀블링시간의 감소에 대한 보완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반면에 TGase를 첨가하고 4시간동안 텀블링하였던 처리구 TRT 4는 4시간 동안 텀블링만을 한 CTL 4와 조직학적 성상과 전단력의 향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즉, TGase 첨가에 의한 효과와 텀블링 시간의 증가로 인한 효과는 각각 나타났으나, 두 요인의 복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재구성육 햄의 제조에 있어서 0.3% TGase의 첨가는 전단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텀블링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냈고, 대조구(CTL 1)에 대해서는 조직감과 전단력의 보완적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