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전위법

Search Result 3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콘크리트에 매입된 철근부식에 대한 전기특성 고찰

  • 최종범;김찬오;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7-152
    • /
    • 2001
  • 국내외적으로 철근부식에 영향을 받아 콘크리트가 변하는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논문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기존 연구에서 시행된 부식촉진방법, 주로 전기적인 방법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최적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 중에는 "전위차 부식촉진법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내부식성 예측을 위한 새로운 기법 연구"에서는 20V 직류전원장치를 NaCl용액에 직류회로를 구성한 후 양극과 음극의 전위차를 이용 전류량을 측정한 방법이 있었으며, 철근부식을 일으키는 많은 원인은 염소이온에 의한 것이다. 철근의 부식반응은 전기화학적 반응이다. 부식콘크리크 실험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자연전위법, 분극저항법, 콘크리트저항법들이 있다.(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Conducting Polymer-based Urea Sensors with Planar Pt Electrode on Silicon Substrate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요소 측정용 반도체 바이오센서의 특성)

  • Park, Sung-Ho;Jin, Joon-Hyung;Min, Nam-Ki;Hong, Su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454-1456
    • /
    • 2001
  • 신장병 진단에 중요한 요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 센서를 반도체 위에 개발이 연구의 목적이다. 센서의 감도 측정은 선형 전위 주사법(Linear sweep voltammtry)을 이용하였다. 선형 전위 주사법은 가역적이든 비가역적이든 관계없이 cottrell 식에 의한 전류와 농도의 직선관계로부터 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저 농도에서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기존 전위차 측정형 바이오 센서(Potentiometric biosensor)에서 규명할 수 없는 감도 문제를 선형 전위 주사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센서전극은 p-type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전극을 제작했다. 그 위에 cyclic voltammetry 법을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전기 중합 하였고, 그위에 다시 chronoamperometry법을 사용하여 우레아제를 고정화 하여 작업전극으로 제작하였다. 센서의 감도는 phosphate buffer 용액(pH7.4)속에서 온도 35$^{\circ}C$를 유지하며 측정하였다.

  • PDF

제주도 비위생매립지 주변 수리지질환경 파악을 위한 전기, 전자탐사 적용

  • 송성호;용환호;김기표;안중기;김창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2-115
    • /
    • 2003
  • 쓰레기매립장의 침출수 누출 탐지를 위한 물리탐사법은 침출수의 전기전도도를 대상으로 한 전기탐사법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이 연구는 제주도에 위치한 비위생매립지를 대상으로 주변 수리지질환경 파악을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와 더불어 매립장 경계부와 토양층을 통한 침출수 누출 영역을 효율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주파수를 이용한 소형루프 전자탐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아울러 오염지역의 천부 지하수 유동 방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침출수의 유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자연전위를 모니터링 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및 자연전위 모니터링 결과 매립지 주변을 통한 침출수의 누출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하천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한 수질 분석 결과와 일치된다. 또한 소형루프 전자탐사 자료에 대하여 공간 필터링 및 1차원 역산법을 적용한 결과 매립장 경계부의 위치 및 매립장 내부의 심도별 매립물에 의한 저비저항 이상대를 효과적으로 도출 할 수 있었다.

  • PDF

Crack Detection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by Electric Potential Method with Bridge Circuit Concept (브리지 회로 개념이 적용된 전기 전위법을 이용한 탄소섬유복합재료의 균열검출)

  • Hwang, Hui-Yun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1
    • /
    • pp.9-14
    • /
    • 2009
  • This paper suggested the electric potential method with a bridge circuit concept for the detection of the location and crack growth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to reduce the measurement numbers. 2 pairs of electrodes were fabricated on the center cracked thin composite plates, and potential changes at one pair of adjacent electrodes were observed while external voltage input was applied to the other pair of adjacent electrodes. The effects of the size and interval of electrodes, location and propagating direction of center cracks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analyses. Detectable crack size was influenced by the electrode interval rather than the electrode size, and crack detection was enhanced as the size and interval of electrodes were smaller. Besides, output potential changes were larger as the crack grew and was nearer the voltage input electrod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Supervision by Geophysical Prospecting (지구 물리탐사에 의한 시공감리성 연구)

  • Shon, Ho-Wo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2 no.1
    • /
    • pp.165-174
    • /
    • 1997
  • It is not possible to define the earth's interior because of it complicity.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directly and/ or indirectly. Geophysics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o study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supervision by geophysical method, geophysical prospecting was performed and studied at the SamYang pumping well area in Cheju Island, where, although underground dam was constructed, the saline water invade the pumping well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by electrical measurements. Two electric resistivity survey lines are installed in the pumping well site, and at each line electric survey was conducted at ebb and flow tides. To increase the data quality SP (self-potential) survey was also performed. As a result the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s explained the defect of construction well, and It shows that geophysical probe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 PDF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Kim, Yeong-Seong;Sin, Jong-Il;Park, Su-Yeol;Jeon, Geun;Son, Yeo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22
    • /
    • 2009
  • 최근, 헵타메틴 시아닌색소(heptamethinecyanine)는 그 적용 범위가 넓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photo-sensitizers, dye lasers, optical recordings와 storage media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의 주된 특징은 polymethine 사슬에 연결된 cyclohexene 고리에 의하여 근적외선 부근에서 흡수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근적외선 색소의 흡수 특성을 HOMO와 LUMO 에너지 전위를 사용하여, 수치화 함으로써 분자간, 분자내 상호작용을 분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의 치환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과 분자 모델링을 통하여 HOMO와 LUMO의 에너지 준위를 구하고, 치환체 효과가 헵타메틴 시아닌색소에 미치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UV-Vis와 계산으로부터 얻어진 에너지준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Uv-Vis 스펙트럼 측정은 Agilent 8453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고,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인 순환 전압-전류법은 Versa STAT 3 (Princeton allied research in USA)를 사용하였다. 순환전압-전류법의 측정은 Acetonitrile 용액에 $TBAPF_6$ (Tetrabutylammonium hexafluorophosphate)를 전해질로 하고, Ag/$Ag^+$을 기준전극으로 사용하여 주사 속도를 50mV/s로 하여 측정 하였다.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자구조 최적화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3차원 분자입체 특성 및 에너지 준위 상태는 Materials studio 4.2를 사용하여 특성을 예측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의 기본 골격에 각기 다른 치환체를 치환 시켜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전기화학적인 방법인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와 분자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HOMO와 LUMO에너지 준위 값을 구함으로써 치환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환체로는 Dye 1과 Dye 2로 치환된 헵타메틴 시아닌 색소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HOMO/LUMO 에너지 준위 값으로부터 이온화 에너지($I_p$)와 전자 친화도($E_a$) 또한 구할 수 있는데, $I_p$$E_a$는 분자 오비탈과 전자전이에 관련된 값들이고, 이는 계산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순환 전압-전류법의 계산 방법은 봉우리 전위(peak postential)와 (onset potential)방법이 있는데, 이 계산을 통한 전위 값들이 봉우리 전위 계산 방법이 onset potential 방법에 비하여 작은 전위 값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현재 순환 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HOMO/LUMO 에너지 준위를 측정하는 방법에 쓰이고 있으며, 어떠한 계산 방법이 더 정확하다고는 말 할 수 없지만,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onset potential 계산 방법이 봉우리 전위 계산 방법에 비하여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Dye 1과 Dye 2를 순환 전압-전류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기 다른 전위를 나타내고 이것을 계산을 통하여 정량화하면 Dye 2가 Dye 1에 비하여 높은 전위 값을 갖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ethyl 에 비하여 surful 원자의 전자공여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Th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pace Charge of Polyethylene Film for use in Power Equipment by TSSP Method. (전력설비용 Polyethylene Film의 열자극 표면 전위법에 의한 공간전하에 측정에 관한 연구)

  • 국상훈;이경섭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4 no.4
    • /
    • pp.68-78
    • /
    • 1990
  • 절연파괴의 원인이 되는 절연체중의 공간전하의 여러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전극에서의 주입전하가 트랩되어 주로 공간전하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SSP측정법으로 컬렉팅 전위를 결정하고 바이어스의 시간, 전압, 온도에 따른 공간전하 변화량을 측정하여 공간적 분포의 깊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정상상태에 있어서 모델과 해석과 시험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 PDF

A Technical Review o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elf-potential Method Based on Streaming Potential (흐름 전위에 기초한 자연 전위 탐사법의 원리 및 활용)

  • Song, Seo Young;Nam, Myung 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1 no.4
    • /
    • pp.231-243
    • /
    • 2018
  • Streaming potential (SP) arises from fluid flow through effectively connected pores. From this potential, formation water information as well as fluid flow properties can be estimated. As micro particles being located in boundary between subsurface porous media and fluid are charged to form electrical double layer, fluid flow caused by several reasons generates SP, one of electrokinetic phenomena. Occurrence mechanism of SP is complex and signal strength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noise. However, application of self potential survey using SP to monitoring of formation fluid is expanding because of its' convenience of exploration without artificial source and repetitiveness of signal. This paper accounts for the occurrence mechanism of SP studied before, including governing equations and analyzes previous various case studies of SP according to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It helps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SP and also lays the foundations of the application of SP to fields.

A Study on the Computational Simulation of Cyclic Voltammetry using Semi-infinite Diffusion Model (반무한 확산모델을 이용한 순환전위법의 전산모사에 관한 연구)

  • Cho, Ha-Na;Kim, Tae-Yong;Yoon, D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4 no.3
    • /
    • pp.138-144
    • /
    • 2011
  • The transport phenomena of electron and ion around the electrode have been analyzed, herein the computational program to simulate the electrochemical signal of cyclic voltammetry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dominant mass-transfer system, the governing equation and its boundary conditions are confined to the semi-infinite diffusion model and the reversible reaction at the electrode. In order to obtain the numerical solutions of cyclic voltammetry, MATLAB was used for the explicit finite difference method.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cyclic voltammetry of electrochemical system(10 mM $K_3Fe(CN)_6$ and 0.1M KCl) upon the ITO glass substrate were compared with the numerical solutions. Present program explains the experimental results fairly well, where they approached the simulated ones closely with deceasing the scan rate. Furthermore, the effects of electrode area, electrochemical reaction constants and transfering coefficients in the cyclic voltammetry were discussed quantitatively.

Electromagnetic Analysis of ACPD Method Using Eddy Current Induction (와전류를 이용한 교류전위강하법의 전자기적 해석)

  • Lim, Geon-Gyu;Lee, Hyang-Be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888-889
    • /
    • 2007
  • 와전류를 이용한 전위강하법은 시험체에 와전류를 비접촉식으로 발생 시킬 수 있어 기존의 방식에 비해 결함 검출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물체의 결함 검출신호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와전류를 이용한 전위강하법의 전자기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해석과정에서 해석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각 영역별로 MVP, ESP, RMSP, TMSP의 미지수 변수를 부여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전위강하법에 와전류의 개념을 적용하기 위해서 결함의 깊이와 주파수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확한 결함검출을 위해 검사과정을 초기검사와 정밀검사로 나누어서 실시하여 결함의 위치를 $\pm$2[mm]까지 도출해 낼 수 있었으며 결함의 폭과 크기도 어느 정도 추측해 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