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 자동차

검색결과 1,908건 처리시간 0.025초

가솔린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 조사 (A Research on Energy Cost of Electric Vehicles and Gasoline Vehicle in On-road Use Condition)

  • 정도양;박성용;정태은
    • 에너지공학
    • /
    • 제8권1호
    • /
    • pp.95-100
    • /
    • 1999
  • 대우자동차는 1992년 이래로 전기자동차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1996년에는 전기자동차의 Fleet 운영시험을 위해 10대의 씨에로 개조형 전기자동차를 제작하였다. 이 씨에로 전기자동차에는 고성능 연축전지, 교류유도전동기, 탑재형 충전기 및 전동조향배력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고등기술연구원에서는 전기자동차의 Fleet 운영시험의 일환으로 시외 일반도로 운행조건에서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대의 씨에로 전기자동차를 용인시와 안성군 지역의 일반도로에서 1998년 4월부터 운행하였으며 이 운행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도로 주행조건에서 씨에로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비용과 동급의 가솔린자동차인 씨에로 1.5DOHC A/T 차량의 에너지비용을 계산하였다. 두 대의 전기자동차중 한 대의 연비는 5.7 km/kWh이었으며, 다른 한 대의 연비는 5.8 km/kWh이었다. 이에 비해 가솔린자동차의 연비는 13.7 km/l로 년간 20,000 km를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가솔린자동차의 년간 주행비용은 전기자동차의 3.4∼18.0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험을 통해 향후 전기자동차의 개발을 위해 유용하고 가치있는 많은 데이터를 얻었다.

  • PDF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에너지 최적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Optimization Algorithm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부창진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69-37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공용 사용목적으로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설비에 다수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시작과 종료시간이 정해진 조건에서 전력피크 제어와 전기자동차 충전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 과금정책으로 사용되는 계시별요금제기반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금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상태를 제약조건으로 설정하고 선형계획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 하였을 때 기존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보다 충전요금이 절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자동차 기술 개발 동향

  • 윤문수
    • 전기의세계
    • /
    • 제41권8호
    • /
    • pp.29-34
    • /
    • 1992
  •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개발되어 에너지 파동이 있을 때마다 그 중요성이 증대되어 개발에 적극적이었다. 최근에는 환경공해(대기오염) 해결책으로 전기자동차 기술의 개발 및 보급대책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 전기자동차는 핵심기술은 거의 전기분야 기술이고, 이로 인해 2차전지, 모터, 계기류 등의 기술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전기자동차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차량 기술자뿐만 아니라 전기기술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이는 불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STANDARDS PRISM (2) 표준시론(時論) - 전기자동차와 기술표준 -전기자동차 개발과 실용화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표준화 선행돼야

  • 허훈
    • 기술표준
    • /
    • 통권114호
    • /
    • pp.8-14
    • /
    • 2011
  • 대체에너지 개발과 탄소에너지 규제에 발맞추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실용화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8월호에서는 허훈 전기자동차 국가표준 코디네이터로부터 전기자동차의 개요와 현황, 세계 각국의 동향과 표준화작업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2012년 2월호에 게제될 다음 연재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표준화작업과 연구개발 실태와 현황에 관해 보다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 PDF

우리나라의 저공해 자동차 개발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 on the low emission vehicle in Korea)

  • 김은태
    • 오토저널
    • /
    • 제16권4호
    • /
    • pp.62-75
    • /
    • 1994
  • 최근들어 전기자동차 개발붐이 크게 일고 있다. 기존의 완성차 메이커뿐만 아니라 전기공업업체, 자동차 부품업체 등에서 관심을 가지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저공채 자동차 개념에서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자동차 구조와 형식이 아주 다르다. 이로 인해 30년이상 쌓아온 기존의 자동차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새로운 전기자동차 개발에는 충분히 참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1.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 2. 환경보전과 자동차 산업. 3. 비화석연료 사용 자동차. 4. 저공해자동차의 개발 동향.

  • PDF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정책 및 시사점 (Electric Vehicle Policy of Major Nations)

  • 전황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186-195
    • /
    • 2012
  •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그동안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오랜 역사를 갖고 있었으나 배터리 중량, 충전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만족시키면서 GM, 르노 등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가 시판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 중국과 국내의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전기자동차의 경제성분석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10호통권34호
    • /
    • pp.23-28
    • /
    • 1979
  • 만약 가솔린가격이 전력요금보다 급격히 상승할 경우 전기자동차가 비용 효과비율면에서 및 가격면에서 보다 유리해지며,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절약효과, 오염감소효과 등 사회적효과를 고려하면 전기자동차가 선호될 것이며 또한 선호되어야 한다는 실증적, 당위적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 PDF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연료경제성 및 배출가스에 관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for the Fuel Economy and the Emission of Diesel Hybrid Electric Vehicle)

  • 한성빈;장용훈;서범주;정연종
    • 에너지공학
    • /
    • 제18권1호
    • /
    • pp.31-36
    • /
    • 2009
  • 환경친화적인 자동차 제조 방법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일 것이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장치의 두 가지 동력을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연료소비와 배기가스 저감을 위해서 개발되었다. 저자들은 하이브리 전기자동차의 주요 동력원으로 디젤 기관을 선택했다. 테스트는 도심버스주행모드와 고속도로주행모드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직렬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병렬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직렬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병렬 전기자동차에 따른 중형디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료경제성과 배기가스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자동차와 전자기술 (Electronic technology for automobile in the 21st century)

  • 선우명호
    • 오토저널
    • /
    • 제18권1호
    • /
    • pp.24-33
    • /
    • 1996
  • 1. 한국자동차 산업 현황과 전망. 2. 자동차와 전기전자장치. 2.1 자동차 전기전자장치의 개발동기. 2.2 자동차 주요 전기저자장치. 2.3 자동차 전장산업. 2.4 자동차 관련 전자부품산업. 3. 자동차 전자화의 핵심 기술. 3.1 Microprocessor 기술. 3.2 Sensor 기술. 3.3 Multiplex Wiring System. 4. 21세기 자동차의 특성. 4.1 21세기 자동차 전기전자시스템의 특성. 4.2 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 (IVHS).

  • PDF

그린카 보급정책 동향 및 호남광역경제권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전략

  • 이준항
    • 전력전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31
    • /
    • 2011
  • 최근 10년동안 지구환경 문제는 인류가 하는 모든 활동에 있어 기본전제가 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해 자동차의 $CO_2$ 배출량을 줄이는 문제가 최근 수송기계 분야의 초미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문제와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 문제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큰 전환기를 맞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규제가 법제화되면서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기술은 그린카(친환경자동차) 기술로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린카는 전기자동차, 클린 디젤차, 연료전지차 정도로 대분류되며 전기자동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으로 분류된다. 이미 그린카의 양산이 수년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2~3년내로 각국의 major급 자동차 메이커에서 이에 대한 양산 계획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의 그린카 정책동향과 국내 그린카 활성화 정책 및 현정부의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으로 추진중인 호남광역경제권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