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전도성

Search Result 1,514,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전기화학 중합에 의한 전도성 Poly(acrylonitrile-co-pyrrolylmethylstyrene)-g-Polyrrole 공중합체의 합성 및 성질

  • 장승한;이준영;김영준;박연흠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
    • /
    • 1998
  • 전도성 고분자의 취약점인 가공성, 유연성, 용해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불량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물성이 좋은 범용성 고분자를 matrix 물질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함으로써 두 가지 고분자의 복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만들어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도성 복합체의 경우엔 matrix로 사용된 범용성 고분자와 전도성 고분자 사이가 서로 물리적인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도성 고분자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 점진적으로 전기전도도의 상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열에 노출되는 경우 열적노화(thermal ageing)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게 된다. (중략)

  • PDF

Preparation of RGO coated TiO2 for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전기 전도성 향상을 위한 RGO가 코팅된 TiO2 제조)

  • Kim, Su-Deo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2.1-192.1
    • /
    • 2016
  • 타이타늄은 밸브 메탈의 일종으로, 다양한 전해질 조건에서 양극산화되어 이산화 타이타늄($TiO_2$)을 형성한다. 이산화 타이타늄은 저렴한 가격, 풍부함, 무독성, 높은 안정성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이후에도 구조적인 변화가 적은 성질과 비교적 높은 방전 전압(1.0-2.5 V vs Li/Li+)으로 인해 그래파이트를 대체할 리튬이온 전지의 전극재료로써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낮은 이온 및 전기 전도도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에 한계가 있어왔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 이산화 타이타늄에 전도성이 높은 탄소 계열의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래핀 산화물은 강한 산을 이용하여 그래파이트를 산화시킨 물질로, 많은 산소작용기를 함유하고 있어 탄소 고유의 전기전도성을 갖지 못한다. 환원 그래핀 산화물(reduced graphene oxide)는 빛, 열, 화학 작용울 통해 그래핀 옥사이드를 환원시켜 산소작용기를 없앤 물질로, 환원과정에서 전기전도성을 회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 타이타늄에 환원 그래핀 산화물(reduced graphene oxide)를 코팅하여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대한 활용 분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Poly(vinyl methylaniline)/Poly(aniline) Composite by Electrochemical method and Its Electrochemical Praperties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Poly(vinyl methylaniline)/Poly(aniline) 복합체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성질)

  • 양계용;박연흠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7-308
    • /
    • 2003
  • 유기고분자 재료는 일반적으로 전기가 잘 통하지 않아 절연체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l,2]. 근래에는 범용성 고분자와 전기전도성 고분자의 특성들을 함께 지니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어지고 있다[3-5]. 본 연구에서는 matrix인 비닐 고분자 내에 전기화학적으로 aniline을 중합시켜 전도성 비닐 고분자/Poly(aniline) 복합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ducting Composites Impregnated with Thick Polyheterocyclic Polymers (전도성 복합소재의 합성과 특성연구)

  • Park, Jun-Se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3
    • /
    • pp.342-347
    • /
    • 1998
  • Light-weight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were prepared by incorporating polyheterocycles such as polypyrrole and polythiophene into pores of a highly porous cross-linked polystyrene, host polymer, to form a conductive network. The highly hydrophobic and porous host polymer was synthesized by concentrated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Polypyrrole-based composites, prepared by employing ferric chloride-methanol system, showed a conductivity as high as 0.82 S/cm. Conductivity of polythiophene-based composites, prepared from ferric chloride-acetonitrile system, was 6.05 S/cm. Conductivity of compositivity was influenced by the initial molar ratio of oxidant to monomer as well. SEM micrographs of the composites showed that conducting polymer coated uniformly the inside wall of the porous host polymer. 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 polypyrrole-based composites and of the polythiophene-based composites were 15.2 dB and 22.5 dB at 2.0 GHz, respectively.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0 to 300K, a polypyrrole impregnated composite exhibited seimiconducting behavior and followed the variable range hopping(VRH) model for charge transport.

  • PDF

Study o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xpanded Graphit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팽창흑연/탄소섬유 혼합 보강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특성 평가)

  • Oh, Kyung-Seok;Heo, Seong-Il;Yun, Jin-Chul;Han, Kyung-Seop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6
    • /
    • pp.1-7
    • /
    • 2007
  • Expanded graphite/carbon fiber hybri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the preform molding technique. The conductive fillers were mechanically mixed with a phenol resin to provide an electrical property to composites. The conductive filler loading was fixed at 60wt.% to accomplish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Expanded graphites were excellent in forming a conductive networking by direct contacts between them while it was hard to get the high flexural strength over 40MPa with using only expanded graphite and phenol resin. In this study, carbon fibers were added in composites to compensate the weakened flexural strength. The effect of carbon fibers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 of carbon fiber. As the carbon fiber ratio increased,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d until the carbon fiber ratio of 24wt.%,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gradually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carbon fiber ratio. This was attributed to the non-conducting regions generated among the carbon fibers and the reduction of the direct contact areas between expanded graphites.

The Influence of Bonding Parameters on the Contact Resistance, Adhesion and Reliability of Anisotropically Conductive Film(ACF) (이방성 전도 필름의 접촉 저항, 접착력 및 신뢰성에 미치는 접속 변수의 영향)

  • Im, Myeong-Jin;Baek, Gyeong-U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5
    • /
    • pp.399-40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LCD패키지용 이방성 전도 필름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및 신뢰성에 미치는 접속 변수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방성 전도 필름을 통한 전기적 전도 현상을 각각의 도전 입자와 기판 사이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접촉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 주되는 전도 기구이다. 따라서 접속 압력에 따라 각각의 도전 입자의 변형으로 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이 변하는데 이방성 전도필름의 접촉 저항은 이런 접촉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접속 압력에 따라 초기에 접촉 저항은 감소하다가 점차 접촉 저항기가 안정화되는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높은 접속 압력에서는 오히려 저항치가 약간 증가함을 보였다. 이방성 전도 필름 접속의 접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필 테스트(peel test)를 시행하였는데, 접속 압력과 접속 온도를 증가 시킬수록 이방성 전도 필름 접속의 접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온 시효 시험, 온도 사이클링 시험, 고온 고습 시험의 신뢰성 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고온 고습 시험이 ACF접속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에 가장 악영향을 주었다. 또 큰 압력으로 접속된 것보다 작은 압력으로 접속되었을 때, 그리고 도전입자로는 금속 코팅 된 폴리머 입자가 사용될 때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것을 발견했다.

  • PDF

Development of a Bipolar Pulse Conductometric Detect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Electrochemical Experiments (환경수질오염 검증과 전기화학실험을 위한 양극펄스형 전기전도성검출기의 개발)

  • Kim, Haidong;Kim, Sun Tae;Kim, Taek-Jae;Kim, Young-S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 no.1
    • /
    • pp.79-82
    • /
    • 1992
  • A bipolar pulse conductometric detector has been developed for continuous on-line monitroring of the flowing sample streams. The conductometric detector was fast and easy to use due to the free of interferences by serial or parallel capacitances. The performance of the bipolar pulse conductometric detector was tested using dummy cells with $10^1{\sim}10^8$ ohm resistance range and found a linear response with a 0.01% relative standard deviation.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the bipolar pulse conductometric detector was discussed.

  • PDF

Effect of Surface-treated Nano-metals on the improv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of Organic Resin Coated Steel Sheets (EG수지피복강판의 전도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된 나노금속분말의 도입효과)

  • Lee, Jae-Sun;Jo, Jae-Dong;Sim, Sang-Eun;Lee, Jae-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108-108
    • /
    • 2009
  • 가전분야에서 EG강판 위에 피복된 크롬-프리 코팅은 내식성 및 심미성 이외에도 전기전도성이 요구되는데 이는 가전기기로 사용되므로 전자파 차폐성 및 용접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내식성의 관점에서 보면 코팅된 수지 부착량이 많을수록 부식인자의 침투를 방해하여 내식성이 향상되나 일정한 부착량 이상에서는 전기전도성이 취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지내에 나노금속분말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연구 및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수지두께 이상에서도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는 강판을 연구하였다.

  • PDF

The nitrogen doping effect on the Cr-C:H films deposited by the hybrid deposition proces (하아브리드 공정을 통한 Cr-C:H 박막의 질소 도핑에 관한 연구)

  • Jo, Yong-Gi;Kim, Gang-Sam;Jeong, D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5a
    • /
    • pp.192-192
    • /
    • 2012
  • 플라즈마 CVD와 아크방전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공정을 통하여 알곤과 메탄 그리고 질소를 인입하여 Cr을 타겟으로한 아크방전과 기판에 전극을 인가하는 방식의 플라즈마 CVD공정을 복합화하여 금속이 함유된 Cr-C:H 박막을 합성하고, 공정에 질소를 인입하여 박막에 질소를 도핑하여 부내식성과 전기적 전도성에 관한 고찰을 하였다. 내부식성은 동전위분극시험에서 $1{\mu}A/cm^2$을 보였고, 전기저항은 $1m{\Omega}-cm$ 이하로 측정되어 내식성과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갖는 박막을 합성할 수 있었다. 내식성과 전기전도성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하여 박막의 구조분석을 XPS, XRD, Raman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흑연화 탄소(Graphitic carbon)와 금속콤포짓(Metal composite)은 내식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전도성물질의 percolation효과와 질소와 탄소의 단일 결합과정에서 생성되는 잉여전자에 의한 단일 결합(C-N) 분율이 전기전도성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침투법(infiltration)을 이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복합체 전극 제조 및 평가

  • Park, Jong-Seong;Vohs, J.M.;Gorte, R.J.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57.2-57.2
    • /
    • 2012
  • 산소 이온 전도성 세라믹을 이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은 원활한 전기화학반응을 위해, 이온 전도도, 전자 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활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복합체 전극을 사용하며, 특히 음극의 경우 니켈(Nickel)과 Yttria-stabilized zirconia (YSZ)로 이루어진 복합체 전극을 혼합 및 소결을 통해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니켈의 경우 탄화 수소 연료에서의 탄소 침적 문제와 열악한 산화환원 안정성(redox stability)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니켈대신 전도성 세라믹을 사용한 세라믹 복합체 음극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침투법(infiltration method)을 이용한 복합체 전극 제조 방법을 소개한다. 실제로 니켈 금속과 유사한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Sr-doped Lanthanum Vanadate (LSV)을 이용해, YSZ-LSV 복합체 전극을 침투법을 이용해 제조하고, 소량의 촉매을 첨가하여, 이온전도도, 전자 전도도 및 촉매 활성을 갖는 복합체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 복합체 음극의 탄화수소에서의 연료전지 성능 및 redox stability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