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응집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9초

석탄-물 혼합연료의 제조와 유변학적 특성화 (Preparation and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oal-Water Mixture)

  • 김도현
    • 유변학
    • /
    • 제10권3호
    • /
    • pp.131-136
    • /
    • 1998
  • 아역청탄을 이용하여 제조된 CWM(Coal-Water Mixture)연료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 정함으로써 음이온 계면활성제 Temol-N, 안정제 Xanthan 및 전해질 등의 첨가제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첨가조성을 결정하였다. 계면확성제의 흡착으로 인해 석탄입자는 음전 하를 띠게 되었고 표면에 전기이중층이 생성되었다. 전기 이중층의 전기적 반발력이 입자의 응집을 막았고 CWA 슬러리의 점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Xanthan과 NaOH의 첨가로 인해 분산안정성 및 침강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WM에서 석탄입자가 차지하는 부 피비를 무게비로 전환하여 표현하고 분산계에서 입자의 부피비에 따른 점도변화를 예측하는 실험식인 Krieger-Dougherty 식과 Frankel-Acrivos 식에 적용하였다. 점도 실험값을 가지 고 식의 변수들을 결정해 본결과 CWM이 나타내는 점도의 석탄함량에 따른 변화를 위 식 들이 비교적 정확시 나타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전기응집-전기부상 2단계 공정을 이용한 TiO2 제거 (TiO2 Removal using Electrocoagulation-electroflotation Two-step Process )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5-394
    • /
    • 2023
  •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remove wastewater containing small-sized particles such as TiO2.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remove TiO2 wastewater using electrocoagulation-electroflotation two-step separation. The TiO2 wastewater was effectively removed via batch electrocoagulation-electroflotation separation. However, in the batch process,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electrocoagulation and electoflotation was challenging due to the high residual turbidity. In the continuous operation, electrocoagulation and electoflotation reactors were kept separate. The turbidity removal in continuous operation was similar to that in the batch process, nevertheless, the residual Al concentration was high,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counterterm ensures against residual Al were necessary.

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 및 슬러지 회수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and Collecting of Sludge from Hanji Production)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0
  • 한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과 최종 슬러지 회수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잿물삶기 공정에서 생긴 50 mL 폐수의 검은 색은 산화제인 $Ca(OCl)_2$를 2.0g 정도 가하면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었는데 이는 표백공정 중에 사용되는 과량의 표백제를 재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기분해적 산화에 의한 탈색은 전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최종 슬러지를 회수하는데는 현재 사용하는 고분자 응집제로도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지만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 필히 $Al_2(SO_4)_3$을 사용하여야 하고 슬러지를 제거할 때 함께 나오기 때문에 순수한 섬유질 형태의 슬러지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triethanolamine과 Triton X-100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을 때 슬러지 회수율은 85% 정도로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할 때와 거의 같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Al_2(SO_4)_3$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슬러지도 섬유질 형태이었기 때문에 재활용하기에도 좋으리라고 예상된다.

  • PDF

한국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병원성에 관한 연구 (Virulence characters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olated in Korea)

  • 이영희;정태화;이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2-269
    • /
    • 1988
  • 한국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병원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지가응집 시험, 칼슘 의존성 시험, HeLa 세포 침투시험, Sereny 시험, Crystal violet 결합시험과 plasmid의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병원성 Y. enterocolitica는 자가응집, 칼슘 의존성, crystal violet 결합시험에서 양성반을을, 비병원성 균주는 음성반응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러나 양성반응은 $37^{\circ}C$에서만 나타나 병원성의 발현이 온도에 의존됨을 알 수 있었다. Sereny 시험에서 혈청형 0:8인 표준균주만이 양성반응을 보인 반면에 혈청형 0:3, 0:9인 실험균주들은 대부분 음성반응을 나타내어 Y. enterocolitica의 병원성은 혈청형에 따라 실험동물에서 다르게 발현됨을 알 수가 있었다. HeLa 세포 침투시험에서 실험균주 모두가 양성반응을 보여 병원성 균주를 구분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대부분의 병원성 균주는 36-38Mdal의 plasmid를 가지고 있었으나 비병원성 균주는 없었으며, plasmid가 자가응집 및 칼슘 의존성, crystal violet 결합에 관여함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응집 공정상에서 플럭의 성장 특성 고찰 (The Characteristic Floc Growth in Coagulation and Flocculation Processes)

  • 허재용;강익중;이상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07-21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응집공정에서 생성되는 플럭의 성상을 가시화하여 PACC의 응집 특성을 고찰하였다. 인공 원수내탁질 입자의 제타전위는 pH 8~9에서 영으로 수렴하였고 이 영역에서 TDS와 전기전도도가 최소값을 나타내 주었다. 급속 및 완속 교반의 최적 혼화강도가 관측되었으며, 특히 탁도의 제거에 있어서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가장 낮은 $95.1sec^{-1}$에서 최대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급속교반 후에는 $3{\sim}5{\mu}m$의 작은 입자가 급격히 생성되었으며 교반강도가 클수록 더 많은 수의 입자가 생성되었다. 완속교반이 진행될수록 $3{\sim}5{\mu}m$의 작은 입자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7{\sim}21{\mu}m$의 중간 크기의 입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주었다. $23{\mu}m$ 보다 큰 입자의 경우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95.1sec^{-1}$에서 가장 많은 수가 생성되었고, $3{\sim}5{\mu}m$의 작은 입자의 경우에는 급속교반의 속도경사가 $760.7sec^{-1}$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용존 철(II) 제거를 위한 미셀형성 세라믹 정밀여과: 계면활성제 농도 및 질소 역세척의 영향 (Micellar Enhanced Ceramic Microfiltration for Removal of Aqueous Ferrous Ion: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N_2$-back-flushing)

  • 박진용;강성규
    • 멤브레인
    • /
    • 제19권2호
    • /
    • pp.136-14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공업용수 중에 미량 함유될 수 있는 철 이온 제거를 위해 철 용액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SDS를 주입하여 미셀을 형성한 후, 미셀 표면에 철 이온의 흡착 또는 결합으로 형성된 응집체를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으로 제거하였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일정한 1mM의 철 농도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0{\sim}10mM$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6mM 일 때 가장 높은 철 제거율 88.97%를 보였다. SDS 농도에 따른 미셀 응집체의 입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전기영동광산란분광광도계(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분석 한 결과, 6mM 일때 큰 응집체의 분포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세라믹 분리막에 대하여 주기적 질소 역세척을 실시할 경우 역세척 주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NCMT-7231 (평균기공 $0.10{\mu}m$) 분리막의 최적 역세척 시간(BT)는 20초이었다.

반응로내 전기-수력학적 분사에 의한 비응집 초미세 SiO$_2$ 입자 합성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Ultrafine SiO$_2$Particle Synthesized by Electro-Hydrodynamic Spray Injection in a Furnace)

  • 윤진욱;양태훈;안강호;최만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5호
    • /
    • pp.660-665
    • /
    • 2001
  • Ultrafine particles have been widely used in many high technology industrial areas. The spherical nonagglomerated and uniform nanometer-size SiO$_2$particles are synthesized by the direct injection of TEOS(Tetraethyorthosilicate) using electro-hydrodynamic spraying method. Electro-hydrodynamic spraying can generate submicron-size TEOS droplets having high electric charges by applying a high electric field between the liquid injection nozzle and the reaction tube. These TEOS droplets are evaporated, and thermally decomposed or oxidized to produce nanometresized SiO$_2$particles in the reaction tube. Spherical, nonagglomerated and ultrafine particles are generated in various conditions and examined by using SEM and SMPS. As the total gas flow rate in the furnace changes from 1.5 lpm, the mean diameter of SiO$_2$particle decreases from 120 nm to 68 nm. The synthesized particle charging fractions are also investigated.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사례

  • 신정엽;공준;김건우;전기식;황종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48
    • /
    • 2006
  • 혼합유류(등,경유)로 오염된 대상부지의 토양특성을 파악하여 세척공법의 적용성을 판단하고, 적용성시험을 통하여 장치별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시험결과 본 세척대상토양의 경우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제를 주입하지 않고 물리적인 탈착공정만을 거쳐도 90%이상의 오염물질이 토양입자표면으로부터 탈착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장치를 제작, 설치하였다. 세척대상 오염토량은 총 $12,225m^3$, 사업수행기간은 약 6개월, 세척장치에 주입된 세척토양의 평균오염농도는 약 3,152ppm 이었으며 세척 완료된 토양의 평균농도는 약 150ppm으로 약 97%의 제거효율을 보여 복원목표인 800ppm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세척토양의 입도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리시킬 토양입자 크기를 결정하여 현장 적용한 결과 세척공법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집슬러지를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발생되는 세척폐수 또한 세척수 처리시스템을 거쳐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세척공법이 다른 Ex-situ 공법과 비교하였을 경우 현장의 적용성, 경제성, 복원기간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성공적인 세척공법의 적용사례라 할 수 있다.

  • PDF

방울토마토 열매로부터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Isolated from Cherry Tomato Fruit)

  • 박나영;이삼빈;노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54-259
    • /
    • 2007
  • Neutral saline 추출, ammonium sulfate 침전 및 Sephadex G-200을 사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해 방울토마토 열매에서 분리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트립신을 처리한 사람의 ABO형 적혈구 모두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났으며, 이 중 B형 적혈구에서 가장 높은 응집반응이 관찰되었다. 전기영동 분석에 의해 분자량 10.7 kDa의 강도가 높은 밴드가 확인되었다. 분리된 lectin의 최적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40-60$^{\circ}C$ 범위에서 열에 대해 안정하였다. 또한 최적 pH는 7.2로 조사되었다.

용존공기부상법과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microplastics reduction effects using Dissolved Air Floatation and Brown-gas)

  • 김태경;정한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4-474
    • /
    • 2022
  • 미세플라스틱이 물 환경으로 배출되는 주요 경로로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강우유출수가 있다. 하수처리장 및 유역에서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하천과 하구역을 거쳐 해양과 같은 대규모 수역으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해양뿐만 아니라 담수호, 저수지 등과 같은 공공수역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다. 특히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은 적절한 처리 과정 없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공공수역 내 미세플라스틱 저감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플라스틱 관련 기존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등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및 환경위해성과 관련한 것이 대부분이며, 미세플라스틱 저감기술 관련 연구 또한 일부 정수처리 및 하수처리 공정을 대상으로 하는 초기 단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 공공수역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저감기술 개발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리·화학적 수처리 공정인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DAF)에 물의 전기분해 시발생하는 브라운가스를 활용하여 응집된 물질을 빠르게 부상시켜 수체 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수체 내 미세플라스틱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기술을 공공수역인 저수지에 적용하여 오염물질과 함께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