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에너지주택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imulation test model for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주택내 environment aware 기반 전력 에너지 콘트롤 알고리즘)

  • Park, Yong-Kuk;Kang, Jeong-Hun;Lim, Ho-Jung;Ko, Won-Sik;Choi, Tae-Jun;Lee, Min-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623-625
    • /
    • 2009
  • 주택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 관리 시스템의 경우는 단순한 전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전 정보기기의 증가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기에는 매우 미흡하였다. 또한 최근 에너지 고갈에 대한 우려로 인해 에너지 수급 불안 및 유가 급등 등으로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주택 내 에너지 절감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함께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처럼 해당 기기를 통해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거나 단순 제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거주자의 기능성과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주택 내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능적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of Energy Cost Adopting an Electric Residence using Historical Energy Consumption Data (에너지소비 데이터를 이용한 전전화 주택 도입시 에너지 사용량 분석)

  • Lee, Jun-Kyu;Shin, Hee-Sang;Cho, Sung-Min;Lee, Hee-Tae;Jang, Sung-Kyu;Kim,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131-137
    • /
    • 2010
  • Change of the energy used in a house can be separated from LNG, and electric power.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 house is more increasing than LNG. The interest for electric houses is rising due to energy saving and low carbon emission. Accordingly, the amount of energies and cost are analyzed consumed in a house using cumulative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 of analysis, amount of electric power, is more increase. In comparison, the use volume of city gas is more decrease. In this paper, the use volume of energy resource is analyzed using historical energy consumption data in the past 25 years. In addition, expected electrical power and heating energy is analysed adopting an Electric Residence.

환경공생을 고려한 주거환경기기$\cdot$시스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6
    • /
    • pp.52-58
    • /
    • 1999
  • 주거환경기기$\cdot$시스템에서는 점차 지구환경보호, 환경공생에 대한 고려가 대단히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생에너지성, 리사이클성, 프레온 규제 등에 대응하는 기술개발과 환경친화적인 성에너지의 실용화가 중요한 테마가 되고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이쓰비시전기의 기본적인 대처와 분야별 기술개발의 현황 그리고 전망에 대하여 소개한다. 또한 냉동$\cdot$공조기기에 대하여는 프레온규제에 대응한 HCFC 냉매에서 HFC냉매로의 대체, 생에너지화의 관점에서 요소기술 개발, 룸에어컨과 냉장고의 생에너지화 추이, 그리고 업무용공조기에 대하여는 자연순환사이클과 빙축열시스템의 실용화 및 고성능화에의 대처, 나아가서는 고기밀$\cdot$고단열 주택에 대응하는 가정용 환기시스템과 리사이클성에 대한 노력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주택설비 가전기기에 대해서는 형광등의 인버터화와 그것을 활용한 조광시스템에 의한 생에너지화의 추진, 전자동세탁기와 전자레인지 등의 생에너지화 연구, 가전제품 전반에 대한 주요과제인 대기전력 삭감에 대한 대처, 또한 전기온수기의 고성능화, 신에너지활용으로서의 주택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현황과 대처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PDF

건설기술-초에너지절약 주택 에코 3$\ell$ 하우스 개발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9 s.218
    • /
    • pp.59-61
    • /
    • 2008
  • 대림산업이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제로'에 도전한다. 대림산업은 대덕연구단지 내 건축환경연구센터에서 개최한 '친환경.저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오는 2012년 까지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한 ECO-3 House(에코 3$\ell$ 하우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ECO-3$\ell$ House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에 갖아 큰 영향을 미치는 열, 빛, 소음, 공기질 등의 요인들을 제어하는 최고 수준의 친환경.저에너지 건축기술들을 집약시킨 에너지 자립형 주택기술의 결정체이다. 이 기술을 완벽하게 적용할 경우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제로를 뛰어 넘어 자체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에 되팔아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마이너스 수준으로 만들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trol Simulation Method of Home Appliances Considering the Flexible Experimental Condition of All-Electrified Houses (전기에너지주택의 유동적인 실험환경을 고려한 가전기기 제어 시뮬레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 Hwang, Sung-Wook;Kim, Kang-Sik;Nah, Hwan-Seon;Cho, Byoung-O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 /
    • v.13 no.1
    • /
    • pp.57-64
    • /
    • 2011
  • Recently, all-electrified houses have constructed and some tasks are being carried out to monitor energy consumption patterns. The energy monitoring includes various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water flow, $CO_2$, and electricity. In this monitoring, electricity consumption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because the performance and energy saving levels are described by this physical quantity. This quantity depends on materials, structure, operation of the house, which operation means consumer's life style and usage patterns of home appliances furthermore.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ntrol simulation method which were developed a few years ago. And some different methods are proposed considering flexible experimental condition.

The Concept and Modeling of Zero Energy House(ZEH) (Zero Energy House(ZEH) 개념 및 설계 모델링에 관한 연구)

  • Jeon, Jeong-Pyo;Kim,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84_2185
    • /
    • 2009
  • 오늘날 세계 여러 국가에서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중 상당량을 차지하는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 특히 주택에서의 에너지 절감 대안중 하나인 Zero Enegy House에 대해 알아보고 설계시 고려사항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가정용 에너지관리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 and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 개발 및 발전성능 평가)

  • Kim, Hyo-Jin;Park, Ji-Young;Jin, Kyu-Nam;Noh, Myung-Hy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5 no.2
    • /
    • pp.99-10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ybrid energy blocks with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developed energy block is able to be applied to the housing and facilities in the city and is suitable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o develop the hybrid energy block,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various energy block types and drew improvement and application method to develop energy block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energy blocks and the developed hybrid energy blocks. According to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veloped energy block shows higher performance of 12.7 times for adding one vibration and 28.9 times for five consecutive vibrations than that of a existing prototype energy block. This is consistent with research purposes for W-level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Thus, the new energy block will likely be possible to apply to the housing and urban fac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