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극판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6초

와이어 전극과 평행판에서 발생되는 이온풍 특성 연구 (A Study on an Ion Wind Created by a Wire Electrode and Parallel Plates Assembly)

  • 안영철;황필재;이재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18-323
    • /
    • 2004
  • When a strong electric field is applied between a sharply curved electrode and a blunt surface, the corona may result in a gas movement in the electrode gap which is directed toward the blunt surface. That is called the corona wind. It enhances heat and mass transfer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rrounding gas. Moreover such enhancement causes no noise or vibration, which can be applied in complex, isolated geometries, and allows simple control of surface temperatur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ona wind and the relative humidity. The facility consists of high voltage power supply thin tungsten wire, plate electrode, multimeter, microammeter and flow meter. Gas velocity is a linear function of voltage, relative humidity and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current. The maximum velocities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corona discharge are 1.9 m/s (2.74 CMM/m), 1.5 m/s(2.15 CMM/m), respectively.

질소레이저의 제작과 질소기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출력특성 연구 (Studies on the Constructions and Gas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Output Power in a Nitrogen Laser)

  • 양준묵;김원호;김기덕;이치원;추한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29
    • /
    • 1995
  • 질소 기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질소 레이저의 동작 특성을 조사하고 실험에 의해 얻은 E/P값을 이론치와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 관의 길이가 200mm이고, 다중 평행판 축전기형 전송 회로 및 질소 기체의 온도 조정 장치로 구성된 질소 레이저를 제작하였다. 반복률 20Hz에서 스파크 갭의 전극 거리 4mm일 때 최대출력을 얻었으며 최적동작 조건은 질소 기체 온도 $30^{\circ}C$, 기체 압력 70torr이었다. 이때의 E/P는 411V/cm.torr이었다. 한편 질소 기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적 동작 조건은 높은 압력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때 E/P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과 어느 정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프린팅 법으로 MgO레이어를 적용한 평면 형광 램프의 방전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flat fluorescent lamp with printable MgO layer)

  • 김선호;안성일;이성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443-443
    • /
    • 2008
  • 차세대 LCD back light 시스템으로 Xe plasma plat lamp를 주목하고 있으나 자외선 여기 효율이 떨어져 램프의 휘도 및 광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MgO는 AC-PDP에서 방전전압의 저하, 방전의 안정성, 동작마진과 같은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이번 연구 에서는 졸겔법으로 제작한 MgO를 프린팅 방법으로 flat fluorescent lamp에 적용하였다. 실험시 사용한 flat fluorescent lamp의 경우 ITO 전극과 MgO layer 그리고 형광체층을 가진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Ne-Xe기체를 채운 단순한 구조로 제작하였다. 실험은 압력과 방전거리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MgO layer 채용한 경우 방전 전압의 감소 및 static margin의 증가를 알 수 있었다.

  • PDF

잉여 전기 저항 측정을 이용한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의 파손 측정 (Self-Diagnosis of Damage in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Using Electrical Residual Resistance Measurement)

  • 강지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3-3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 저항 측정을 통한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의 파손 감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복합재 적층판에 특정 파손을 인위적으로 모사하고 전기 저항의 변화와 모사된 파손과의 관계를 정립하려 하였다. 많은 량의 측정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전기 저항 측정을 위하여 시편 표면에 전극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쿠폰과 평판형태의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 적층 시편에 인위적인 파손을 부과하고 전기 저항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후처리하는 과정으로 파손을 검출하였다. 쿠폰 형태의 시편은 제작시에 다양한 크기의 테플론 필름을 삽입하여 층간 분리를 모사하였다. 전기 저항 측정 결과 층간 분리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 저항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층간 분리의 존재와 그 크기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평판 시편은 초기에는 인위적인 파손 없이 제작하여 전기저항을 측정하고, 이후 특정 위치에 원공을 뚫고 원공의 직경을 증가시켜 가며 전기저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평판은 각 변에 6개의 전극을 설치하여 총 24개의 전극을 갖도록 하였으며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의 전극간의 전기 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 구조물의 파손 검출을 위하여 전기 저항 측정법의 가능성을 보였다.

전기분해에 의한 고농도 질소 제거의 특성 (Removing High Concentration Nitrogen by Electrolysis)

  • 길대수;이병헌;최해경;권동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5-277
    • /
    • 2000
  • 전기분해에 의한 암모니아의 제거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극판은 티타늄에 이산화이리듐을 전착한 $IrO_2/Ti$ 극판으로 하였으며, 음극판은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사용하였다. 전류밀도, 체류시간, 전극간격 및 $Cl^-/NH_4{^+}-N$ 비 등의 운전조건에 대한 암모니아 제거 특성을 조사하여 전기분해의 최적 운전조건을 결정하였다. 판형태의 양극판과 망형태의 양극판을 사용하여 동일 전류밀도에서 암모니아의 처리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효 극판면적이 적은 망형태의 극판을 사용함으로써 전력비를 감소할 수 있었다. 암모니아성 질소에 대한 염소첨가비 $20.0kgCl^-/kgNH_4{^+}-N$에서 약 73 %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암모니아를 완전히 제거하는데 $27.6kgCl^-/kgNH_4{^+}-N$이 필요하였다. 암모니아의 제거는 전류밀도, 체류시간 및 $Cl^-/NH_4{^+}-N$ 비에 따라 높았으며, 전극간격은 좁을수록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인자와 암모니아 제거율과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NH_4{^+}-N_{re}(%)=14.5364(Current\;density)^{0.7093}{\times}(HRT)^{1.0060}{\times}(Gap)^{-0.9926}{\times}(Cl^-/NH_4{^+}-N)^{1.0024}$$ COD와 알칼리도를 첨가한 경우 암모니아 제거는 더 높게 나타났으며, 운전인자와의 관계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NH_4{^+}-N_{re}(%)=9.8408(Current\;density)^{0.6232}{\times}(HRT)^{1.0534}$$ 유기물질과 질소를 동시에 전기분해할 경우 두 물질간은 경쟁관계에 있으며, 암모니아 제거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 제거는 유기물질 및 알칼리도를 주입함으로써 높게 나타났다.

  • PDF

양이온의 전기화학적 분리를 위한 페리시안니켈 이온교환체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Nickel Hexacyanoferrate Ion Exchanger for Electrochemical Separation of Cations)

  • 이지현;황영기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52-57
    • /
    • 2010
  • 중금속 이온이나 방사성 양이온을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화학약품에 의한 침전법이나 일반 이온교환법을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이 공정들은 약품의 과다 투여, 유효 금속의 폐기, 고형 폐기물에 의한 2차적인 토양 오염 유발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해환원 전착반응과 이온교환 반응을 결합시킨 전기화학적 이온교환법을 대체 신기술로 개발하고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이온교환체 중의 하나인 nickel hexacyanoferrate (NiHCNFe)의 최적 제조조건을 규명하기 위해, 기지금속인 니켈판 표면에 화학적 방법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NiHCNFe 막을 생성하였으며, NiHCNFe의 구조 형태와 조성을 각각 SEM과 EDS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NiHCNFe 막이 생성된 니켈판을 운전전극으로 설치한 단일 평행평판 이온교환 전극반응기에서 산화-환원 전위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순환전위곡선을 측정하고 피크 전류의 변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화학적으로 제조한 NiHCNFe가 전기화학적으로 제조한 경우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118 h 화학반응시킨 NiHCNFe 이온교환체의 조밀도, 밀착성, 내구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두부제조공정(製造工程)중 Calcium 염(鹽)의 행동(行動)과 분포(分布) -제1보(第一報). 전기전도도법(電氣傳導度法)에 의한 두부 및 순물의 Calcium 농도 측정방법(測定方法)- (Transport and Distribution of Calcium Salt in Tofu Manufacturing Process -Part I. Conductometric Measurement of Calcium Salt in Tofu and Drained Solution-)

  • 임상빈;이춘기;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1호
    • /
    • pp.8-12
    • /
    • 1985
  • 두부의 제조공정중 Ca염의 농도를 전기전도도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전극을 제작하여 화학분석 방법과 비교하였다. 전극은 구리판을 재료로 3가지 종류로 제작하여 $CaCl_2$용액, 순물, -agar gel 및 두부에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전기전도도와(Y, mho)와 Ca농도 (C, Mole $\bar{C}$, mg% 습물기준) 간에는 직선적 비례관계를 보였고, 순물과 두부에서 실험적으로 얻어진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순물 = 0.6364C+0.0775 Y두부$=7.1503{\times}10^{-5}\bar{C}-2.9895{\times}10^{-3}$ 이들 관계식은 두부에서 r=0.91(두부)에서 r=0.99(순물)에 이르는 신뢰도를 나타냈다.

  • PDF

Scanned Point-Detecting System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의 3차원 시간 분해 측정 (The three-dimensional temporal behavior measurement of light emitted from plasma display panel by the Scanned Point-Detecting System)

  • 최훈영;이석현;이승걸;김준엽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9-56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직접 고안한 scanned point-detecting system(SPDS)을 이용하여 PDP 방전 셀 내에서 방출되는 광을 3차원 적으로 시간 분해하여 측정하였다. PM tube를 통해 검출된 광 신호를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파형을 확인하고 PC제어를 통해 결과를 얻었다. Ne-Xe(4%) 혼합가스가 400 ton압력으로 채워진 패널에서 측정한 시간 분해 결과를 살펴보면 패널의 전면판(top view)에서는 방전이 cathode전극의 안쪽 edge에서 시작되면서 cathode전극 바깥쪽으로 호의 형태를 이루면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패널의 측면(side view)에서 측정한 시간 분해 결과를 살펴보면 약 150$\mu\textrm{m}$의 높이까지 방전에 의한 광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구동전압 펄스가 인가된 후 730 ns에서 가장 큰 intensity가 나타났다.

주석-니켈 나노입자 복합체의 리튬 이차전지 음전극 특성 (Anode Properties of Sn-Ni Nanoparticle Composite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 김광만;강근영;최민규;이영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846-850
    • /
    • 2011
  • 주석과 니켈 나노입자를 함량별로 혼합하여 습식법으로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체 음전극을 제조하고 그 물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음전극은 초기 방전시 최대 700 mAh $g^{-1}$의 우수한 방전용량을 나타내었지만 사이클 특성은 심각한 열화를 보였다. 이것은 나노입자간 단순혼합만으로는 전극판의 기공성과 Ni 성분이 충방전에 따르는 Sn성분의 팽창/수축에 대한 기계적 완충제 역할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차후 이를 보완하는 나노구조체 Sn-Ni 음전극의 설계와 시험이 필요하다.

대면적 분리판의 운전 환경 불균일성을 고려한 MEA 성능최적화 방법 (Optimization Method for MEA Performance Considering the Non-Uniformity of Operating Condition in a Large-area Bipolar Plate)

  • 김성민;손영준;우승희;박석희;정남기;임성대
    • 신재생에너지
    • /
    • 제17권2호
    • /
    • pp.50-58
    • /
    • 2021
  • We proposed an MEA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accurately measures intrinsic MEA performance while considering the uneven reaction environments formed inside a large-area BP. To facilitate measurement of the inherent MEA performance, we miniaturized the active area of the MEA to 3 cm2, and prepared two MEAs with different ionomer contents of 0.65 and 0.80 (I/C). By simula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100 cm2 BP at the inlet (I), center (C), and outlet (O),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relative humidity were determined to be 20.7, 13.8, 11.7%, and 50, 66.1, and 70.1%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performance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of the prepared MEAs under the three simulated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valuated MEA performance data, I/C 0.65 MEA had a higher average performance and lower performance deviation than I/C 0.80 MEA.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an I/C 0.65 MEA is a more effective MEA for large-area BP.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roces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A development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