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계

Search Result 1,96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pendence of DC Volume Resistivity of Mass Impregnated paper on Temperature and Electric Stres (HVDC 케이블용 함침 절연지의 온도 및 전계 의존성)

  • Ahn, M.K.;Jeon, S.I.;Lee, T.H.;Kim, N.Y.;Choi, C.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7-178
    • /
    • 2008
  • 오늘날 DC 케이블은 도서간의 장거리 전력전송 및 서로 다른 주파수간의 계통연계를 위해서 널리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AC케이블의 전계는 절연체의 유전율에 의해서 결정되는 용량성 전계분포를 가지며, DC케이블은 과전 초기에는 절연체의 유전율 뿐만 아니라 저항율에 의해서 결정이 되며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에는 저항율에 의해서 결정되는 저항성 전계분포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 HVDC 케이블용 함침 절연지 절연저항의 온도 및 전계 의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저항율을 측정 하였으며 통계처리를 통해서 온도 및 전계의존성을 구하였다.

  • PDF

Field Emission from Free-standing Nanomembrane For High Energy Ion Detection (Free-standing 박막의 전계 방출 특성을 이용한 고에너지 이온 디텍터에 관한 연구)

  • Park, Jong-Ho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1 no.5
    • /
    • pp.163-166
    • /
    • 2011
  • We describe modified Fowler-Nordheim (FN) field emission equation for the free-standing nanomembrane cathode, which has mechanical degrees of freedom. The derived FN equation agrees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free-standing nanomambrane cathode demonstrates its unique ability to detect large biomolecure ions.

최근의 수직전계계산법 (1)

  • 박중근
    • 전기의세계
    • /
    • v.34 no.5
    • /
    • pp.299-304
    • /
    • 1985
  • 수직전계 계산방법의 정밀도 및 근사과도의 평가의 기준이 되며 전하중첩법의 전위 및 전계 소계수식에 형태가 남아있다. 또한 영상전하가 전하중첩 및 표면전하법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 Waveforms Radiated by Lightning Discharges (뇌방전에 의해 방사되는 전계와 자계파형의 특성)

  • 이복희;이경옥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7 no.4
    • /
    • pp.300-309
    • /
    • 1996
  •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radiated by lightning discharges are significantly changeable in amplitude and time, one of the topics concerning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of modern electronic systems is the efficient and economic protection against transient voltages caused by not only by direct but also by nearly lightning strokes. In this paper, in order to obtain the detailed informations about lightning electromagnetic impulse waveforms,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radiated by lightning discharges in the summer of 1995 were measured by a fast electric antenna and a loop-type magnetic field sensor, and their charac- teristics were presented and analyzed. The signals of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were re- corded continuously by a transient digitizer having a resolution of 12 bit and a memory capacity of 5000 point and using a sampling time of 200 ns.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 waveforms associated with lightning return strok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of intracloud discharges. The magnetic fields radiated by intracloud lightning discharges have essentially the same waveforms as the electric field when the lightning discharhes are at distance of 50 km or more. Also the main frequency components of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radiated by lightning discharges range from a few kHz to several hundred kHz.

  • PDF

The Electric Field Analysis of 2[MVA] Mold Transformer Considering the Void Effect in the Insulating Material (2[MVA] 몰드변압기 절연물내 기포 영향을 고려한 전계해석)

  • Kim, Chang-Eob;Jeon, Mun-Ho;Lee, Suk-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4
    • /
    • pp.177-184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the electric field analysis for 2[MVA] mold transformer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electric field was calculated for the voltage applied to the mold transformer without voids in the insulating material. Then, it was analysed the maximum electric field when the voids was in the insulating materials. And the starting voltage of partial discharge was predicted due to the voids. The effects of voids in epoxy resin on the electric field were investigated for different sizes, shapes, positions and arrangements of voids.

Study of carbon nanotube cathode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on field emission properties (스크린 인쇄법으로 제작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전계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 조영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27-27
    • /
    • 2003
  • 최근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 표시소자(FED, field omission display)용 에미터 재료로 사용한 캐소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캐소드전극으로는 투명전도성 반도체 박막인 ITO를 사용하고, 에미터용 재료로는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해서 스크린 인쇄법으로 2극(diode type)형 전계방출 소자용 캐소드를 제작하였다. 본딩재(bonding materials)의 종류와 공정변수를 달리해서 에미터용 탄소나노튜브와 ITO 캐소드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방법을 변화시켰을때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전계방출 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첫째로, 본딩재의 전기전도성 (electrical conductivity)을 변수로 해서 탄소나노튜브 에미터의 전계강화(fold enhancement) 효과를 연구한 결과 본딩재의 구성 성분중 부도체(insulator)의 분율이 높을수록 전계강화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ITO박막 캐소드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잉크 사이에 중간층(inter layer)을 형성시켜서 중간층이 전계방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중간층의 존재가 탄소나노튜브의 전계방출 전류의 균일성과 전류밀도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계방출 전류가 안정적이면서 동시에 전계방출 효율이 크게 개선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를 제작하는 공정기술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탄소나노튜브 캐소드의 진공패키징시 아웃개싱(outgassing)의 양도 현격하게 작았으며, 에미터와 캐소드 전극 사이의 본딩력(adhesion)도 우수해서 항후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 표시소자의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luminum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라믹 수율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aluminum-contained polycarbosilane은 20$0^{\circ}C$에서 1시간 동안 불융화과정을 거쳐 환원 및 진공 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어진 시료에 대해 XRD분석을 수행하였다. SEM과 T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100 duty로 구동하였으며, duty비 증가에 따라 pulse의 on-time을 고정하고 frequency를 변화시켰다. dc까지 duty비가 증가됨에 따라 방출전류의 양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전압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각 duty비에서 시간에 따라 방출전류를 측정한 결과 duty비가 높을수록 방출전류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각 duty비에서 방출전류의 양이 1/2로 감소하는 시점을 에미터의 수명으로 볼 때 duty비 대 에미터 수명관계를 구해 높은 duty비에서 전계방출을 시킴으로써 실제의 구동조건인 낮은 duty비에서의 수명을 단시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리 폐 관류는 정맥주입 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cisplatin 투여로 인한 다른 장기에서의 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 PDF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Single Phase Electrostatic Motor for Special Equipment (특수설비용 단상 정전모터의 제작 및 특성 해석)

  • 김광일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4
    • /
    • pp.74-81
    • /
    • 1997
  • I정전 모-터는 일반적으로 분극전하와 전계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것으로서 전계내에 축적되는 전계에너지(W=1/2 *ED)의 힘을 기계적 출력으로 도출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여 단상 정전 모터의 전계와 등전위분포 및 미소한 토오크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하고 해석하였다. 그 결과 이 모터는 특성상 정전, 역전이 가능하고 고전압에서 응용이 가능하므로 특수기의 서어보모터로 쓸 수 있겠고, 설비중 고압으로 인한 위험이 따르는 곳의 안전예고기, 고전압계, 위상 판별기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lectronic field distribution with Switch contact configuration (개폐기 접점 형상에 의한 전계 분포)

  • Cho, Kook-Hee;Cho, M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01-304
    • /
    • 2005
  • 본 논문은 개폐기의 접점 형상에 따른 전계 분포 특성을 2차계 전자계 해석 program인 Flux-2D를 통해 살펴보았다. 2개의 모델을 선정하여 전극간 이격거리를 115[mm], 120[mm], 125[mm]로 변화를 주었을 때 최고 전계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000[V] 인가시 최고 전계 강도는 (a)모델에서 115[mm]일 때 61.84[V/m], (b)모델에서 115[mm]일 때 66.90[V/m]로 나타났다.

  • PDF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제작된 다이아몬드상 카본 필름의 전계방출 특성

  • 안상혁;전동렬;이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8.02a
    • /
    • pp.62-62
    • /
    • 1998
  • 다이아몬드상 카본은 경도, 열전도 둥이 다이아몬드와 비슷하면서도 박막 성장이 쉬워 다른 재료의 표면보호용 코탱막으로 웅용되고 있다. 최근에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의 이러한 특성은 전계방출 음극 소자가 이온 충돌, 온도 상승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 하는데도 용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막 기능뿐만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용 편평한 기 판에 성장시켜 평판 전계방출 음극으로 이용하는 것도 시도되고 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온빔 스퍼트링 방법으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성장시켰다. 합성하기 전 챔버의 기 본 압력은 3.2 X 10-7 Torr이었다. 기판으로는 타이타니움 평판, n-타엽의 실리콘 평판, I ITO가 코탱된 유리 평판올 사용하였으며, 중착 전에 기판올 400 V, 15 mA의 알곤 이온 으로 1분간 스퍼트링하여 불순물 막을 제거하였다. 박막 합성시에는 챔버 압력이 3.5 x 1 10-4 To$\pi$가 될 때까지 알곤을 채우고 알곤빔 전류는 30 mA에 고정시키고 빔 에너지를 각각 750, 1000, 1250 eV로 바꾸면서 타켓올 스퍼트랭하였다. 질소를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애 첨가하면 n-타업 불순물 주입 효과가 있게된다. 질소가 첨가된 박막을 만들기 위 해서는 별도의 이온 총올 사용하여 탄소 타켓 스퍼트령과 동시에 기판에 질소 이온을 입 사시켰다. 만들어진 시료로부터 3 X 10-7 To$\pi$ 진공에서 전류-전압 특성올 조사하였다. 양극으로는 면평한 금속판올 음극 위 150 11m 높이에 셜치하였다. 박막의 물성은 전자 현미경, 오제 전자분광 둥으로 조사하였다.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다른 종류의 편명 한 기판에 합성 조건올 바꾸면서 성장시켜 박악의 특성파 기판이 전계방출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다이아몬드상 카본필름의 전자방출 특성은 기판의 종류와 필름 의 구조 및 필름의 두께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전자방출 거동으로부터 전계 방출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으로부터의 전계방출 은 전기장올 인가하는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장올 순환 인 가하면서 전계방출 전후의 박막 특성 변화를 조사하여 전계방출 메커니즘올 연구하였다.

  • PDF

Field emission properties of diamond-like carbon films deposited by ion beam sputtering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제작된 다이아몬드성 카본 필름의 전계 방출 특성)

  • 안상혁;이광렬;전동렬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8 no.1
    • /
    • pp.36-42
    • /
    • 1999
  • Field emission behaviors from diamond-like carbon films were investigated. The films were deposited on n-type Si wafer by ion beam sputtering method using 3 cm Kaufman type ion source. Regardless of the film thicknesses and atomic bond structure, the emission current was much enhanced by electrical breakdown between anode and the film surface. The effective work function was estimated to be about 0.1 eV. In order to identify the emission site, tungsten tip was scanned the damaged region damaged region but localized to a specific site. Analysis using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nd SEM shows that SiC compound wa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electron emiss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enhanced emission was mainly due to the changes in the chemical bond of the damaged region rather than the enhanced electric field caused by the morphological chan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