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합도 검정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Monte Carlo Comparison of the Small Sample Behavior of Disparity Measures

  • Hong, Jong-Seon;Jeong, Dong-Bin;Park,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9-150
    • /
    • 2003
  • 소표본 분할표 자료에서 적합도 검정통계량들의 카이제곱 근사 적용 가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소표본에서 세 가지 검정 통계량(피어슨 카이제곱 $X^{2}$, 일반화 가능도비 $G^{2}$, 그리고 역발산 I(2/3) 검정통계량)에 관하여 비교한 Rudas(1986)의 연구를 확장하여, 최근에 제안된 차이측도(BWHD(1/9), BWCS(1/3), NED(4/3) 검정통계량)를 포함시켜 비교 분석하였다. 독립모형의 이차원 분할표, 조건부 독립모형과 한 변수 독립 모형을 따르는 삼차원 분할표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생성된 90과 95 백분위수와 이에 대응하는 95% 신뢰구간을 살펴보고 실제 백분위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X^{2}$, I(2/3), 그리고 BWHD(1/9) 검정통계량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통계량들이 기존에 제안된 검정통계량들보다 적은 표본크기에서도 카이제곱 근사방법에 적용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 PDF

A Study on Verification and Test Plan of Communication Protocol for Railway Signalling Systems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검정 및 시험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ae-Ho;Hwang, Jong-Gyu;Seo, Mi-Seon;Kim, Sung-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4a
    • /
    • pp.262-265
    • /
    • 2004
  • 프로토콜 명세의 검정과 적합성 시험은 프로토콜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명세에 규정되어진 시스템 기능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상호 보완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상태 레이블 천이시스템(LTS:Labeled Transition System)으로 명세화된 철도 신호제어용 프로토콜 Type 1 모델의 안전성 및 필연성 특성을 모형검사 기법에 의해 검정하였고, 실제적으로 교착상태의 유무나 초기 상태에서 임의의 상태로 도달 가능한지의 검사를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구현되어진 형식 검정기는 Modal mu-calculus를 사용하며 Modal 논리로 표현된 특성이 명세에 대해 올바른지 아닌지를 검정할 수 있다. 또한 검정되어진 프로토콜 명세로부터 HO(Unique Input Output) 방법fl 의한 적합성 시험 계열 생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um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Rainfall Frequency Analysis (강우빈도해석 시 최적분포형 선정에 관한 연구)

  • Choi, Hong-Geun;Kim, Jin-Young;Kwon, Young-Ju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2-412
    • /
    • 2017
  • 강우빈도해석을 위해서는 확률분포선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상의 편리상, 기존 해석결과와의 연속성 등을 이유로 Gumbel 확률분포가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포형 선정에 따른 확률강수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해석상의 편리성을 기준으로 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강우빈도해석 시 분포형 선정은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주로 KS검정, 검정 등 적합도 검정을 통해 고려된 분포형의 통계적 유의성만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적 분포형 선정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유의성 검정보다는 정량적인 지표를 기준으로 확률분포형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자료의 설명력이 가장 우수한 분포를 정량적 지표를 기준으로 추정하는 것이 수문통계학적으로 적합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도함수, BIC 및 AIC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주요 강수지점에서 대해서 최적 분포형을 선정하고, 기존 Gumbel 분포를 기준으로 산정된 확률강수량과의 양적차이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 PDF

Model Validation Methods of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s (집단 약동학 모형을 위한 모형 진단과 적합도 검정에 대한 고찰)

  • Lee, Eun-Ky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5 no.1
    • /
    • pp.139-152
    • /
    • 2012
  •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can directly influence the decision of the dose level applied to the targeted patients. Therefore the validation procedure of the final model is very important in this area. This paper reviews the validation methods of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s from a statistical viewpoint. In addition, the whole procedure of the analysis of population pharmacokinetics, from the base model to the final model (that includes various validation procedures for the final model) is tested with real clinical data.

Improving a Test for Normality Based on Kullback-Leibler Discrimination Information (쿨백-라이블러 판별정보에 기반을 둔 정규성 검정의 개선)

  • Choi, Byung-J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0 no.1
    • /
    • pp.79-89
    • /
    • 2007
  • A test for normality introduced by Arizono and Ohta(1989) is based on fullback-Leibler discrimination information. The test statistic is derived from the discrimination information estimated using sample entropy of Vasicek(1976)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of the variance. However, these estimators are biased and so it is reasonable to make use of unbiased estimators to accurately estimate the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 this paper, Arizono-Ohta test for normality is improved. The derived test statistic is based on the bias-corrected entropy estimator and the uniformly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of the variance. The properties of the improved KL test are investigated and Monte Carlo simulation is performed for power comparison.

Affects on Implementation Level of IMS Activity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IMS directivity and Fitness of Firm's Culture (IMS지향성과 기업문화 적합도가 IMS활동의 이행수준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Kyung-Ihl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1 no.1
    • /
    • pp.1-8
    • /
    • 2011
  • With a sample of 147 Korean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degree of information orientation, corporate culture, degree of information 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selected business performance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MS(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orientation is defined as company-wide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underlying philosophy, principles, approached, and tools of information improvement programs. It is assumed tha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improvement programs requires a information-oriented mind-set of the employees. It is also assumed tha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improvement programs require strong support from s corporate culture that emphasizes continues improvement. Adopting the competing values model of Quinn and McGrath(1985), corporate culture is classified into 'flexible' versus 'controlled culture' and 'outer-directed' versus 'inner-directed culture'. This study examined how such fitnes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innovation programs and business performanc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innovation programs was measured through various factors, such as leadership, strategic information planning, human resources focus, customer and market focus, process management,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Business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m such as employee results, process results, information results, and customer results, and through perceived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 PDF

Analysis of the tsunami hazard area in Jumunjin port (주문진항의 지진해일 위험지역 분석)

  • Kim, Yong-Cheol;Kim, Chang-Hee;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9-82
    • /
    • 2012
  • 최근 지진해일 발생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로 인해 지진해일 방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진해일 방재연구는 주로 실제 발생하였던 역사지진해일과 발생가능성이 높은 가상의 지진해일에 대해 해당지역의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여,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해정보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을 선정하였다. 지진해일 위험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가상의 지진해일을 수치모의 하였으며, 지진해일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진해일 범람 높이를 선정하여 선정한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지진해일 수치모의는 지진해일 전파모의와 범람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지진해일 전파모형은 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며, 지진해일 범람모형은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주문진항에서의 가상의 지진해일에 대한 범람영역 및 범람 높이를 얻었다. 수치모의를 통해 얻어진 범람 데이터를 이용해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 발생 확률을 계산하였다. 확률 계산을 위해선 해당 데이터의 확률분포를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합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적합도 검정 기법 중 하나인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을 사용하였으며, 범람 데이터의 확률분포로 Normal, Log-normal, Exponential, Gumbel 분포를 가정하여 검정을 수행하였다. 각 지점별로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을 수행하여, 해당 지점의 확률분포를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로 해당하는 확률분포의 누적확률분포 함수를 이용해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였다. 얻어진 확률을 지도상에 도시하여 기준 높이 이상의 범람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을 주문진항에서의 지진해일에 대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지역으로 선정하였다.

  • PDF

Using Various Order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of Appropriate Distribution Functions (여러 차수의 확률 가중 모멘트를 이용한 적정 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 Lee, Kil Seong;Kim, J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35-639
    • /
    • 2004
  • 댐과 같은 구조물의 설계시 큰 강우량에 내한 분포함수의 적합성을 놀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Wang (1997a and b)은 큰 설계량에 내한 적합성을 놀이기 위해 LH 모멘트와 고차 PWM(higher Probability Weighted Moments)방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 지역별로 대표적인 4개 지점의 일 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여 제안된 고차 PWM 방법의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으로 가장 낮은 차수인 일반적인 PWM 방법과 더 높은 차수의 PWM 방법을 이용하여,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와 Gumbel 분포에 대한 매개변수를 추정한 후 이 추정치를 확률지에 실측치와 함께 도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PPCC(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적합도 검정결과를 통해 추정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지수분포의 검정을 위한 수정된 W-통계량

  • 김남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146
    • /
    • 2000
  • Shapiro와 Wilk(1972)는 위치모수와 척도모수가 미지인 경우 지수분포의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그것은 척도모수의 일반화 최소제곱추정량과 표본분산의 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검정통계량은 일치성을 갖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척도모수의 두개의 점근유효추정량으로 구성된 통계량을 고려하고 이의 극한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두 개의 통계량의 검정력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통계량이 변동계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 분포에서 더 좋은 검정력을 가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Testing Exponentiality Based on EDF Statistics for Randomly Censored Data when the Scale Parameter is Unknown (척도모수가 미지인 임의중도절단자료의 EDF 통계량을 이용한 지수 검정)

  • Kim, Nam-Hy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5 no.2
    • /
    • pp.311-319
    • /
    • 2012
  • The simplest and the most important distribution in survival analysis is exponential distribution. Koziol and Green (1976) derived Cram$\acute{e}$r-von Mises statistic's randomly censored version based on the Kaplan-Meier product limit estimate of the distribution function; however, it could not be practical for a real data set since the statistic is for testing a simple goodness of fit hypothesis. We generalized it to the composite hypothesis for exponentiality with an unknown scale parameter. We also considered the classical Kolmogorov-Smirnov statistic and generalized it by the exact same way. The two statistics are compared through a simulation study.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he generalized Koziol-Green statistic has better power in most of the alternative distributions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