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 표본 수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Link Travel Time Estimating Methodology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Determination of an Adequate Sample Size)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구간통행시간 산출 방법론 연구 (적정표본수 결정방법을 중심으로))

  • 이영인;이정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55-67
    • /
    • 2002
  • 구간검지체계를 기반으로 한 첨단교통정보제공시스템(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은 그 기능 수행시 다음의 중요 고려사항을 지닌다. 첫째는 제공 정보의 신뢰성이며, 둘째는 정보수집비용에 관련한 수집자료수의 한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성 극복을 위해 보다 대표성 있는 교통정보 형태의 설정 및 통계적으로 신뢰성 있는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표본수의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고속도로(올림픽대로)와 도시간선도로(천호대로)의 실측 구간통행시간분포 분석결과 단일교차로 구간의 경우 다른 구간들의 단일봉(unimodal)의 정규분포형태와는 다른 두 개의 봉우리를 지닌 분포형태(bimodal)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교통정보 형태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모든 통과차량들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정의되는 한 개의 대표치가 아닌 신호주기에 의한 정지여부에 따라 분리되는 주행시간과 지체시간 또는 주행속도와 통행속도 개념의 세분화된 정보형태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심극한정리를 기초로 한 통계적인 표본수 결정식을 이용하여 설정된 신뢰수준 하에서의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표본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교통이 혼잡할수록 요구되는 표본수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적정 표본수 만큼의 표본추출을 하고 제안된 정보산출 방법에 의해 교통정보를 산출한 후 실측치와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산출된 교통정보는 신뢰수준 95%와 허용오차 5㎞/h를 만족하였다. 다음으로 구간검지체계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타시스템 교통정보와의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측치와 본 연구의 산출방법에 의한 교통정보, 로티스교통정보 및 차량번호판 인식시스템의 교통정보와의 비교 결과 제안된 교통정보형태의 타당성을 볼 수 있었다.

Study on Optimal Sample Size for Bivariate Frequency Anlaysis using POT (POT 방법을 이용한 이변량 빈도해석 적정 표본크기 연구)

  • Joo, Kyungwon;Joo, Kyungwon;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38
    • /
    • 2015
  • 최근 다변량 확률모형을 이용한 빈도해석이 여러 수문분야에 걸쳐 연구되고 있다. 기존 일변량 빈도해석에 비해 변수활용에 대한 자유도와 물리적 현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표본자료의 부족, 매개변수 추정 및 적합도 검정 등의 어려움으로 실제 분야에 사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pula 모형에 대하여 Cramer-von Mises(CVM) 적합도 검정 시 표본자료의 적정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Peaks-Over-Threshold(POT) 방법을 이용하였다. 서울지점의 기상청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Gumbel copula 모형에 대하여 매개변수 추정은 maximum pseudolikelihood method(MPL) 방법을 이용하였다. 50년의 기록 자료에 대하여 표본크기를 50개부터 2500개까지 조절하여 CVM 통계값과 p-value를 기준으로 적정 표본크기를 산정하였다.

  • PDF

An Application of Sampling to Determine a Proper Rate of Probe Vehicles for Macroscopic Traffic Flow Monitoring Indices (거시교통류 모니터링 지표산출을 위한 적정 프로브차량 비율 결정에 관한 연구)

  • Shim, Jung-Suk;Heo, Hyun-Moo;Eom, Ki-Jong;Lee, Chung-Won;Ahn, Su-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2
    • /
    • pp.33-40
    • /
    • 2010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ree macroscopic traffic flow monitoring indices, Travel Time Index(TTI), Acceleration Noise(AN) and Two Fluid(TF) and investigate how to determine a proper rate of probe cars for producing reliable values of these indices. For the analysis, we use classical sampling theories and provide numbers of probe rates using simulation data.

Appropriate Sample Size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Event using Peaks Over Threshold (POT) (강우사상 이변량 빈도해석을 위한 Peaks Over Threshold (POT) 방법을 이용한 적정 확률표본 선택 연구)

  • Joo, Kyungwon;Kim, Hanbeen;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4-304
    • /
    • 2018
  • 이변량 빈도해석은 일반적으로 고정지속기간 강우량에 대해 빈도해석하는 단변량 빈도해석에 비해 지속기간을 확률변수로 이용하여 강우량과 동시에 확률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확률분포형의 차원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 단변량 빈도해석에서 요구되던 표본크기보다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강우관측소의 경우 오래된 관측소의 경우에도 기록년수가 60년을 넘지 않아 연최대계열로 확률표본을 작성할 경우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aks Over Threshold (POT) 방법을 이용하여 적정 확률표본을 선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 기상청 지점의 강우자료로부터 최소무강우시간을 이용하여 모든 강우사상을 추출하였으며 각 강우사상의 강우량과 지속기간이 확률변수로 사용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POT 방법들과 Anderson-Darling 적합도 검정을 이용한 절단값 산정방법등을 적용하여 확률표본 개수의 변화에 따른 주변분포형의 적합도 검정과 이변량 확률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and Sampling Plan for Pink Citrus Rust Mite,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idae) in Citrus Orchard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공간분포 분석과 표본조사법 개발)

  • Song, Jeong-Heub;Hong, Soon-Yeong;Lee, Shin-Cha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1 no.2
    • /
    • pp.91-97
    • /
    • 2012
  • The dispersion indices, spatial pattern and sampling plan for pink citrus rust mite (PCRM), Aculops pelekassi, monitoring was investigated. Dispersion indices of PCRM indicated the aggregated spatial pattern. Taylor's power law provided better description of variance-mean relationship than Iwao's patchiness regression. Fixed-precision levels (D) of a sequential sampling plan were developed using by Taylor's power law parameters generated from PCRM on fruit sample (cumulated number of PCRM in $cm^2$ of fruit). Based on Kono-Sugino's empirical binomial the mean density per $cm^2$ could be estimated from fruit ratio with more than 12 rust mites per $cm^2$: $ln(m)=4.61+1.23ln[-ln(1-p_{12})]$. To determine the optimal tally threshold, the variance (var(lnm)) for mean (lnm) in Kono-Sugino equation was estimated. The lower and narrow ranged change of variance for esimated mean showed at a tally threshold of 12. To estimate PCRM mean density per $cm^2$ at fixed precision level 0.25, the required sample number was 13 trees, 5 fruits per tree and 2 points per fruit (total 130 samples).

Expansion of Sample OD Based on Probe Vehicle Data in a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의 프로브 차량 정보를 활용한 표본 OD 전수화 (제주시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 Jeong, So-Young;Baek, Seung-Kirl;Kang, Jeo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4
    • /
    • pp.123-133
    • /
    • 2008
  •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s and application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has emerged as a leading issue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 productive application example i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based on probe vehicl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stimation of hourly OD pairs using probe OD data is a possible target. Since probe OD data consists of sample OD pairs, which vary over time and space, computation of sample rates of OD pairs and expansion of sample OD pairs into static OD pairs is required.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d a method to estimate sample OD data with probe data in Jeju City and expand those into static OD data. Mean absolute percentage difference (MAPD) error between observed traffic volume and assigned traffic volume was about 22.9%. After removing abnormal data, MAPD error improved to 17.6%. Development of static OD estimation methods using probe vehicle data in a real environment is considere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Treatment Strateg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DSRC-Based Traffic Data under Interrupted Traffic States (DSRC 기반 교통정보의 가공방안과 신뢰성 분석 (단속류 구간을 중심으로))

  • Ren, Yu;Kim, Hoe 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6
    • /
    • pp.25-3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iability of DSRC-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on the typical urban arterial with the minimum sample size method. VISSIM has been employed to calculate the required sample size. After comparing the number of hi-pass vehicles recorded from DSRC and the required sample size,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rupted traffic state tends to generate more outliers than the uninterrupted one, the lack of the number of vehicles completely passing links with multiple driveways makes it difficult to estimate the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during peak hour is relatively more reliable than that during off-peak hour, and the reliability of DSRC-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depends on the significance level in calculating the sample size. The driveway density and traffic signal operation due to the individual link length significantly affects the required sample size, resulting in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DSRC-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한국의 적정인구 추세에 관한 연구

  • Kim, Hyeong-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6.12a
    • /
    • pp.193-230
    • /
    • 2006
  • 본 논문은 국가별 추계인구와 미래 9개년 인구관련 설명변수들의 추정값을 통하여 적정인구 모형을 구형하고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생을 고려한 생산함수 확장모형, 세계 176개국의 표본자료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고 그 추세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UN에 의한 세계각국의 추계인구이고, 설명변수는 9개 변수 즉 PPP GDP, 인접지역 경제통합율, 교육수준, 영어구사비율, 국토유효면적, 에너지량, 기온, 수자원량, 무역거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는 $4,350{\sim}4,950$만명으로 추정되며, 2000년${\sim}$2050년은 $4,700{\sim}5,010$만명, 2050년${\sim}2100$년은 $4,770{\sim}4,400$만명이 된다. 2125년 최저점 4,350만명을 통과한 후 점진적으로 2300년의 4,870만명으로 접근해 갈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네 가지이다. 첫째 한국의 적정인구가 2125년을 기준으로 이전은 감소 이후는 증가 추세일 것이므로 정책결정시 적정한 목표인구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현 추세로 진행되면 2050년 이후 적정인구가 추계인구보다 $500{\sim}600$만명 더 많아진다는 점이다. 셋째 2125년 이전의 적정인구는 좁게 $4,770{\sim}4,545$만명으로서, 출산율 향상을 통한 적정인구의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적정인구 추세의 기복은 출산기피로 인한 인구감소 때문으로 출산지원과 입양 및 이민 유입의 정책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SRC Traffic Information Considering Traffic and Road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Busan Urban Expressway - (교통 및 도로특성을 고려한 DSRC 교통정보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 Jeong, Yeon Tak;Jung, Hun 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535-1545
    • /
    • 2014
  •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SRC Traffic information considering Traffic and Road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SRC data on urban expressway and problems of outlier data occurrence. After then, this study produced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an optimal method of the Outlier-Filtering. After Outlier-Filtering, this study performed accuracy evaluation and appropriateness check for the number of samples per confidence level.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MAPE was between 2.2% and 9.7% and RSME was between 2.2 and 7.5 which are very similar figures to the actual average traffic speed. Also, The samples of both Am peak and Pm peak periods were analyzed to be appropriate at the confidence level of 95%, and 90% within the allowable error range of 5k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