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성 검토

Search Result 99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Manual of the Skyscrapers Curtain Wall Systems for Construction Managers (초고층건축 알루미늄커튼월 구조설계검토 프로세스와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멀리언과 트랜섬을 중심으로)

  • Cho, Ye-Won;Lee, Min-Cheol;Ock, Jo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3
    • /
    • pp.92-1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urtain-wall structure design evaluation manual that can easily examine the curtain-wall structural members (Mullion and Transom) stability from th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managers. Through analyzing the structural design reports in the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 with industry experts, the curtain-wall structural member design process was elicited. The manual, which consists of Microsoft Excel-based work sheet and its manual, was applied to a real curtain-wall design project to make sure its usability. A workshop with three curtain-wall experts and three construction manag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s and cons of the manual, thereby enhancing its applicability in the future.

Comparison and evaluation in Discharge coefficient of spillway within the Country (국내 댐 여수로 유량계수의 적정성 검토)

  • Choi, Byung-Kyu;Kang, Tae-Ho;Jung, Y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24-529
    • /
    • 2006
  • 실제유량에 대한 이론유량의 비로 정의되는 유량계수는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댐 여수로 또한 이러한 유량계수를 통하여 산정되는 방류량에 따라 여수로 월류부의 규모가 결정되며 이러한 수위별 방류량 산정에 있어서 유량계수는 $\ulcorner$댐 설계기준$\lrcorner$에 제시되어 있는 미국 개척국(USBR)의 여러 경험을 통하여 산정한 유량계수 그래프에서 독치하여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댐 여수로의 설계 유량계수를 수리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비교.검토하였으며, 이에 대한 적정 유량계수의 범위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유량계수의 범위를 기 건설 운영 중인 댐의 관측자료를 통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 상당수의 자료가 금회 산정한 유량계수 적정 범위 이내에 드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댐 여수로 유량계수는 적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dequacy Review System of Public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기록관리 공공표준의 적정성 검토 체계 고찰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Kim Boram;Kim Soon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5
    • /
    • pp.299-32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procedure of the adequacy review system of public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o explore improvements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to solidify the operation of standards. The study identified the shortcomings of the system with exampl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Korean industrial standards. It also analyzed the history of standardization promo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m are simple revisions, such as changes of terminology and standard names according to law amendment. The frequency of standardization by standard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equacy review process or results were not disclosed clearly. As such, the study proposes various improvements to solve these problems, namely, improving standardization for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detailed procedures for deliberation, and establishing evaluation standards for adequacy reviews.

Propriety Analysis for Flood Forecasting of Tributary (지천 홍수 예보 적정성 검토)

  • Park, Sang-Geun;Choi, Kyu-Hyun;Kim, Y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61-76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주요지천에 대한 홍수예보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실무적인 관점에서 2가지 사항에 대해 적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첫째는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주요지천 홍수예보 지점 및 기준홍수위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홍수예보 업무에 적용을 하는 것이다. 둘째는 홍수예보시스템의 정확도를 검토하여 아주 빠른 유출 특성을 보이는 도시 지역에의 홍수모의를 기존 저류함수법 기반의 홍수예보시스템으로 분석 하는 것의 한계를 파악하고 그 보완 방안으로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수집 검토였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하여 실무적인 관점에서 홍수예보업무와 관련되는 중요 사항을 파악하고 예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appropriateness of the Electrotehnical Regulation for 765 KV Overhead Line (765 kV 가공송전선로 현행 기술기준 적정성 연구)

  • Park, In-Pyo;Kim, Han-Soo;Kim, Gi-hyun;Lee, Joo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621-1622
    • /
    • 2015
  •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성 관련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6조제1항 및 동 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제4항제7호에 대하여 전선, 애자련, 강재, 송전철탑 및 기초에 대한 현행 기준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의 목적은 현재 765 kV 가공송전선로의 내력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검토 방법은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전의 765 kV 송전선로의 여유도(크기)을 파악하고, 또한 해외 기준과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검토 자료는 국내 765 kV Ca-32p형 샘플설계도, 한전 관련 시방서,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본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일본전기학회의 [송전용 구조물 설계 표준, JEC-127-1979]이다. 향후 다른 철탑형들의 추가 검토와 미국 및 유럽의 기준들과 대비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Integration of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Korea (전략환경평가와 개발계획 및 환경계획의 통합)

  • Lee, Jong Ho;Cho, Jae 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6 no.6
    • /
    • pp.433-446
    • /
    • 2007
  • 환경영향평가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확정후 사업 실시단계에서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방안을 중점 검토하는 제도인데, 사전환경성검토는 행정계획과 환경상 민감지역의 소규모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확정 이전단계에서 환경적 측면에서 입지나 개발의 적정성 타당성을 사전에 검토하는 제도이다. 사전환경성검토는 2006년 6월부터 대상 행정계획을 구체적 개발사업의 상위 행정계획으로 확대하고, 계획의 적정성, 입지의 타당성을 미리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검토과정에서 주민, 전문가, 시민단체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치도록 하는 전략환경평가 체제로 개편됨으로써, 환경갈등이나 사회 경제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기반을 보다 강화하였다. 환경부 주관의 사전환경성검토가 전략환경평가를 강화하는 동안 건설교통부가 중장기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를 시행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전략환경평가는 건설교통부와 환경부가 전략환경평가를 별도로 운영하는 데 따른 비효율성,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의 연계성 부족, 선거공약으로 제안된 대규모 개발계획 등에 대한 객관적 환경평가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정립을 위해, 환경정책패러다임의 변천,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의 발전, 전략환경평가의 현황과 선거공약으로 제안된 대규모 개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한계 등을 고찰한 후, 전략환경평가제도의 발전방향과 개발계획과 환경계획의 연계통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ropriety of Design Outlet Conduit of Dam by Hydraulic Model Experiments (수리모형실험을 활용한 댐 방류관 설계의 적정성 검토)

  • Choi, Byong-Kyu;Kang, Tae-Ho;Jung, Yo-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5
    • /
    • pp.811-821
    • /
    • 2003
  • In this study is if the design of outlet conduit was appropriate or not by analyzing flow characteristic of outlet conduit with performing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s the results of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he capacity of outlet conduit of elementary design was under estimated, and the designed values of the capacity of outlet conduit of preliminary design based on the values of elementary design was nearly equal to the values of experiments, so the propriety of design was identified. In addition, as the results of examinations of negative pressure of outlet conduit, and propriety of longitudinal sections, the resulting values were within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s, so it was proved that the design was appropriate. In the base of such processes, the propriety of scale and location of outlet conduit of preliminary design was examined.

A Study on the Ground Settlement and Reinforcement Measures in the Case of Tunnelling at the Yangsan Fault (양산단층대 터널시공에서 침하량 및 보강대책에 대한 연구)

  • Jung, Hyuksang;Kim, Hyeyang;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0 no.6
    • /
    • pp.35-48
    • /
    • 2009
  • An excessive ground displacement occurs with excavating tunnel in a fault zone because the fault has properties of soft ground in generally. It may have had a bad influence to adjacent structure. So, rapid reduction of ground strength by groundwater inflow should be prevented. It must be established for an impervious and reinforcing effect of ground to ensure a tunnel stability. The ground settlement and reinforcing effects were estimated by numerical analyses on tunnel through 570 m sector in Yangsan fault zone of Keongbu high-speed railway. Settlements evaluated by numerical analysis is similar to those calculated by using equation of Loganathan & Poulo. It was shown that reliable estimate of ground settlement by applying a prediction equation is possible. Applicability of adopted tunnel reinforcement method in fault zone was investigated by results of pilot construction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dopted reinforcement method make tunnel displacements and member stresses restrain in design criteria.

  • PDF

A Study on Setting Rule and Analysis for Loss of Generator Exciter (발전기 계자상실 현상 분석 및 정정검토 기준 고찰)

  • Lyu, Young-Sik;Joo, Haeng-Ro;Kim, Wan-Jong;Kim,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3-4
    • /
    • 2008
  • ${\square}{\square}$ 발전기가 운전 중 계자차단기의 Trip으로 인해 계자가 상실되었으며 이의 파급에 의해 계자상실보호계전기의 작동으로 발전기가 정지하였다. 고장분석을 위해 현장에 설치된 계통현상분석장치에서 기록한 실측자료와 계통해석프로그램인 PSS/E의 계자상실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계자상실보호계전기 정정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계자시스템 관련 보호계전기기간 시간협조 미흡으로 불필요하게 발전기 정지를 유발하여 계통 불안정 상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시간협조의 적정성 검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