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dequacy Review System of Public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기록관리 공공표준의 적정성 검토 체계 고찰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 김보람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
  • 김순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22.12.30
  • Accepted : 2023.01.25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procedure of the adequacy review system of public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o explore improvements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to solidify the operation of standards. The study identified the shortcomings of the system with exampl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Korean industrial standards. It also analyzed the history of standardization promo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m are simple revisions, such as changes of terminology and standard names according to law amendment. The frequency of standardization by standard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equacy review process or results were not disclosed clearly. As such, the study proposes various improvements to solve these problems, namely, improving standardization for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detailed procedures for deliberation, and establishing evaluation standards for adequacy reviews.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 개발 및 보급하고 있는 기록관리 공공표준의 적정성 검토 현행 절차를 점검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탐색하여 표준 운영의 내실을 다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제표준과 한국산업표준의 사례를 살펴보고, 국가기록원이 추진해온 표준화 이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법령 개정에 따른 용어 변경, 표준명칭의 변경 등 단순개정이 주를 이루었고 표준별 표준화의 빈도수 또한 현격한 차이를 보였는데, 적정성 검토 과정이나 결과가 명시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록관리 표준화 제도를 보완하고, 관련 심의를 위한 세부절차의 마련, 적정성 검토 평가기준의 필요성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5-2022). 기록관리 표준화 추진 계획.
  2. 국가기술표준원 (2022). 국가기술표준원 통계.
  3. 국립환경과학원 (2022). 환경분야 KS·ISO 표준 업무편람, 11-1480523-004697-01.
  4. 김구수 (2002). 정보통신단체표준의 유지보수 및 관리에 대한 제언. TTA 저널, 81, 19-28.
  5. 박주상, 김소영 (2015). ISO 표준화에서 주요국 활동 양상 분석: JTC 1/SC 31/WG 7 사례와 후발국 시사점. 기술혁신연구, 23(3), 201-223. https://doi.org/10.14383/SIME.2015.23.3.201
  6. 백지원 (2003). 기록관리 분야의 표준 및 표준화 활동 분석. 한국기록학연구, 7, 3-35. https://doi.org/10.20923/kjas.2003.7.003
  7.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022). 2021 국가표준백서.
  8. 설문원 (2005). 국가 기록관리 표준 정비의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81-96. https://jksarm.accesson.kr/v.5/1/137/1091 1091
  9. 설문원 (2009). 준현용 기록관리 표준화의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55-377.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55
  10. 설문원 (2009). 기록관리 표준화 전략의 재구축 방안. 한국비블리아, 20(3), 81-96.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933063803592.page
  11. 성면섭, 김장환 (2021). 국회기록관리위원회 안건 분석을 통한 국회기록관리 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4), 201-221. https://jksarm.accesson.kr/v.21/201/10063 10063
  12. 염슬기, 양정은 (2021). 국방 표준화지정기관 제도 운영을 위한 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1), 228-235. https://doi.org/10.5762/KAIS.2021.22.4.228
  13. 오달리 (2012). 기록관리 표준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14. 정연경 (2016). 기록물관리 표준의 평가와 활용 촉진을 위한 전략. 기록인, 36, 62-67.
  15. 조남호, 박명규, 윤인찬 (2003). 산업표준화 제도의 발전방향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26(2), 9-22.
  16. 최재진, 정순석, 김광수 (2019). 표준 연결망을 활용한 표준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47(2), 315-325. https://doi.org/10.7469/JKSQM.2019.47.2.315
  17. 행정안전부 (2022).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에 따른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18. ISO (2019). Guidance on the Systematic Review process in ISO. 출처 : https://www.iso.org/publication/PUB100413.html
  19. ISO/IEC (2021). ISO/IEC Directives, Part 1-Consolidated JTC 1 Supplement 2021-rocedures specific to JTC 1. 17th.
  2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740호.
  2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772호.
  22.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운영규정. 국가기록원훈령 제186호.
  23. 국가표준기본법. 법률 제15643호.
  24. 기록물관리 표준화 업무 운영 규정. 국가기록원훈령 제219호.
  25. 산업표준화법. 법률 제18522호.
  26. 산업표준화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1925호.
  27. 산업표준심의회 운영 세칙. 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8-143호.
  28.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next/newdata/standardCondition.do?glSeCd=05
  29. 국가기술표준원. https://kats.go.kr/content.do?cmsid=364
  30. 국제표준종합지원시스템. www.i-standard.kr/subPage.php?mode=1&bo_table=no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