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응모델

Search Result 1,72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Rapid Speaker Adaptation Using Bias Compensation and Mean of Dimensional Eigenvoice Models (바이어스 보상과 차원별 Eigenvoice 모델 평균을 이용한 고속화자적응의 성능향상)

  • 박종세;김형순;송화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5
    • /
    • pp.383-389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bias compensation methods and the eigenvoice method using the mean of dimensional eigenvoi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apid speaker adaptation based on eigenvoice under mismatch between training and test environment. Experimental results for vocabulary-independent word recognition task (using PBW 452 DB)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yield improvements for small adaptation data. We obtained about 22∼30% relative improvement by the bias compensation methods as amount of adaptation data varied from 1 to 50, and obtained 41% relative improvement in error rate by the eigenvoice method using the mean of dimensional eigenvoice with only single adaptation word.

Adaptive Learning System using Real-time Learner Profiling (실시간 학습자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적응적 학습 시스템)

  • Yang, Yeong-Wook;Yu, Won-Hee;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467-473
    • /
    • 2014
  • Adaptive learning system means a system that provides adaptively learn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learning needs of learners. It consists of expert model, instructional model and student model. Expert model is that stores information which is to be taught. Student model stores the data of learning history and learning information of students. Instructional model provides necessary learning materials for actual leaners. This paper has constructed student model through learner's profile information and instructional model through dynamic scenario construction. After that, We have developed adaptively to provide learning to learners by constructing suitable dynamic scenario based on learners profile information. In the end, satisfaction result about this system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nd 88%.

A Study on an Adaptive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Nonlinear Processes using Fuzzy Model (퍼지모델을 이용한 비선형 공정의 적응 모델예측제어에 관한 연구)

  • 박종진;우광방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6 no.2
    • /
    • pp.97-105
    • /
    • 1996
  • In this paper, an adaptive model predictive controller for nodinear processes using fuzzy model is proposed. Adaptive structure is implemented by recursive fuzzy modeling. The model and control law can be obtained the same as GPC, because the consequent parts of the fuzzy model comprise linear equations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The proposed Adaptive fuzzy model predictive controller (AFMPC) controls nonlinear process well due to the intrinsic nonlinearity of the fuzzy model. When AFMPC's output is variation in the process control input, it maintains zero steady-state offset for a constant reference input and has superior performance. 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were examined with nonlinear plant by simulation.

  • PDF

Reconfigurable Flight Control Law based on Model Following Scheme and Parameter Estimation (매개변수 추정 및 모델추종 적응제어기법을 이용한재형상 비행제어시스템 연구)

  • Mun, Gwan-Yeong;Kim, Yu-Dan;Lee, Ha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3
    • /
    • pp.67-73
    • /
    • 2006
  • In this paper, a reconfigurable model following flight control method is proposed based on direct adaptive scheme using parameter estimation. Adaptive control scheme updates the control gains to make the system output follow the reference output even when fault occurs. By adopting the frequency domain parameter estimation method, system changes by the fault can be estimated. Recursive Fourier transformation is used for system identification. Using recursive Fourier transform, the proposed adaptive control algorithm guarantees the system stability and improves the system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control method,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Generalized Adaptive Spatio-Temporal Auto-Regressive Model for Video Sequences (동영상에서 일반화된 시공간 적응적 Auto-Regressive 모델의 연구)

  • 두석주;강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6a
    • /
    • pp.131-13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적응적 기반영역 (Adaptive Spatio-Temporal Support Region : ASTSR)을 바탕으로 하는 일반화된 Auto-Regressive(AT)모델을 제안한다. 시공간 적응적 기반 영역은 영상 내 경계선의 특성과 동영상에서의 시간적 불연속 (temporal discontinuity) 개념을 이용하여 구성되어질 수 있다. 설정된 시공간 적응적 기반영역은 기존의 AR 모델에 적용되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기반영역에 비하여 보다 정상상태(stationarity)의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더 정확한 모델 파라미터들을 추출해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의 처리량에서도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손상된 동영상 데이터를 복원(motion picture restoration)하는 측면에 응용되어 실험되어졌으며 기존의 모델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An Emotion Based Adaptive Agent Model using a Fuzzy Decision Method (퍼지 결정 방법을 이용한 감정 기반의 적응형 에이전트 모델)

  • 이의성;윤소정;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8-20
    • /
    • 2000
  • 에이전트를 다른 소프트웨어와 구별 시켜주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특징은 에이전트의 자율성, 적응성, 그리고 지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행동 선택을 유발하는 모티브의 생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행동 선택에 있어서 자동적인 모티브를 제공해 주는 것이 감정이다. 감정은 그것을 가지고 있는 자율 시스템이 그 동안 겪어온 외부 환경과 내부 상태에 대한 글로벌 상태를 함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접근 가능한 정보와 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자율 시스템이 다중의 목표, 환경에서의 모호성과 다른 에이전트와의 조정 등을 하는데 있어서 감정 모델은 유용한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가 환경과 적응하면서 변화하는 에이전트의 내부 상태의 변화와 외부 사건에 대한 에이전트의 인식과 평가를 계속 반영하여 에이전트가 시스템 환경을 경험하면서 가질 수 있는 에이전트만의 시스템에 대한 광범위한 시야를 갖도록 감정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감정 델을 통해서 에이전트에 특정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에이전트가 감정 모델에 기초하여 적절히 행동에 반응할 수 있는 적응적 에이전트 모델을 제시한다.

  • PDF

A Timing Decision Method based on a Hybrid Model for Problem Recognition in advance in Self-adaptive Software (자가-적응 소프트웨어에서 사전 문제인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모델 기반 적응 시점 판단 기법)

  • Kim, Hyeyun;Seol, Kwangsoo;Baik, Doo-K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5 no.3
    • /
    • pp.65-76
    • /
    • 2016
  • Self-adaptive software is software that adapts by itself to system requirements about the recognized problems without stopping the software cycle. In order to reduce the unnecessary adaptation in the system having the critical points, we propose proactive approach which can predict the future operation after a critical point. In this paper, we predict the future operation after a critical point using a hybrid model to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d data with the linear and non-linear pattern. The operation of the prediction method is determined on a timing decision indicator based on the prediction accuracy. The two main points of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to reduc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peration by predicting the situation after a critical point using hybrid model and to reduce unnecessary adaptation implementation by deciding a timing based on a timing decision indicator.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of a Quadrotor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Payload (유상하중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쿼드로터의 모델 참조 적응제어 기법 설계)

  • Lee, Dongwoo;Kim, Lamsu;Jang, Kwangwoo;Lee, Seongheon;Bang, Hyoch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9
    • /
    • pp.749-757
    • /
    • 2021
  • In transportation missions using quadrotor, the payload may change the model parameters, such as mass, moment of inertia, and center of gravity. Moreover, if position of the payload is constantly changing during flight, the effect can adversely affect the control performances. To handle this issue, we suggest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based on Linear Quadratic Regulator(LQR+MRAC) to compensate the uncertainty caused by payload. Firstly, the mathematical modeling with the fixed payload is derived. Second, Linear Quadratic Regulator (LQR) is used to design the reference model and baseline controller. Also, through the Stability method, Adaptive law is derived to estimate the model parameter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control scheme, we compared LQR and LQR+MRAC in situations where uncertainties exist. And, when the disturbance exist, the classic MRAC and proposed controller is compared to analyze the transient response and robustness.

Speaker Adaptation in VQ and HMM Based Speech Recognition (VQ와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에서 화자적응에 관한 연구)

  • 이대룡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6a
    • /
    • pp.54-57
    • /
    • 1991
  • 본 논무에서는 HMM과 VQ를 이용한 고립단어에 대한 화자종속 및 화자독립 음성인식시스템을 만들고 여기에 화자적응을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했다. 화자적응방법에는 크게 VQ코드북을 적응시키는 방법과 HMM패러미터블 적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코드북적응을 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코드북에 대해 새로운화자의 적응음성을 양자화한 뒤 각 코드벡터에 해당하는 적응음성의 평균을 구해서 새로운 화자의 코드북을 구해주는 방법과 기준코드북에 대해 새로운화자의 적응음성을 양자화할 때 HMM의 각 상태에서 각각의 코드벡터를 발생할 확률을 거리오차의 계산에서 고려해 비록 거리오차는 크지만 그 코드벡터를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으면 적응음성이 그 코드벡터에 index되게해서 각 코드벡터에 해당하는 모든 적응음성데이타의 평균을 새로운 코드북으로 하는 두가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의 기준코드북을 초기 코드북으로해서 LBG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적응음성데이타에 대한 새로운 코드북을 만드는 방법에 비해 5-10배의 계산시간을 감소하게 된다. 이 새로운 코드북으로 적응음성데이타를 다시 index해서 이 index된 음성렬로 HMM패러미터를 적응했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코드북적응을 하는 경우에 기존의 적응방법에 비해 5-10배의 계산 시간을 단축하면서 인식률에서는 더 나은결과를 얻었다. 또 같은 적응방법에 대해서 화자종속모델 보다는 화자독립모델에 대해서 화자적응하는 것이 더 나은 인식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Adaptation method of multivariate fuzzy decision tree (다변량 퍼지 의사결정트리의 적응 기법)

  • Moon-Jin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18
    • /
    • 2008
  • 다변량 퍼지 의사결정트리(이하 MFDT)는 학습 모델의 구조가 간소하고 분류율이 높다는 장점 때문에 일반 퍼지 의사결정트리를 대신해 손동작 인식 시스템의 분류기로 사용되었다. 다양한 사용자의 손동작 특성을 분류하기 위해 여러 개의 인식 모델을 만들고 새로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 사용하는 모델 선택 기법도 손동작 인식에 적용되었다. 모델 선택 과정을 통해 선택된 모델은 기존 모델 중에서 새로운 사용자의 특성에 가장 가깝지만 해당 사용자에 최적화된 모델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MFDT 모델을 새로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해 적응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실험 결과를 통해 적응 성능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