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응대책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 Focused on Policy and Research Base in Major Countries - (생태분야 기후변화 적응의 흐름과 발전방향 - 국내외 정책 및 연구기반을 중심으로 -)

  • Yeo, Inae;Hong, Seungbum;Park, Eun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1
    • /
    • pp.1-22
    • /
    • 2019
  • This study aims at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policy and research target regarding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n ecosystem sector in Korea. The common ground of exemplary cases of "world leaders" in terms of adaptation policies and researches was that they emphasize nationwide study on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in target of establishing scientific evidence-bases and reducing uncertainty for their national adaptation policies and plans. In light of this trend, Korean government should settle down more successful adaptation structure by leading adaptation system in further national policy-settings to observe UNFCCC and CBD integratedly and effectively, considering the economic value of adaptation in policy, and strengthening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Moreover, risks assessment based on diagnoses and analysis on the risk factors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for climate change in nationwide habitats and species and consolidations with subsequent adaptation strategies could make adaptations in ecosystem sector more effective and successful.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resource governance to adapt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내 수자원 거버넌스의 개선방안 모색)

  • Kim, Sinae;Kang, Moon-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4
    • /
    • pp.309-319
    • /
    • 2022
  • In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the recent policy paradigm is changing from structural measures in the past to risk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water resource governance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s important in developing a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This paper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Korea's water resource governance and seeks ways to improve the water resource governance for effectiv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water resource governance in Korea and major OECD countries.

방위산업 경영합리화 방안

  • Kim, Hyeong-U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229
    • /
    • pp.22-29
    • /
    • 1998
  • 국내 방산업체는 현재도 수요 부족으로 경영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방비가 현재보다 약간만 축소되어도 심한 곤란을 겪을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기본병기 생산업체는 방산공장을 유지하기조차 곤란하리라 생각된다. 우리 방위산업이 처한 국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위해서는 방위산업에 대한 전면적인 구조조정 및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시점이다.

  • PDF

Development of a Framework of Adaptive Flood Risk Management for Sustainable Flood Management in River Basins (수계의 지속가능한 홍수관리를 위한 적응형 홍수 위험도 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 Kang, Min-Goo;Cai, Ximi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20-1524
    • /
    • 2008
  • 최근 이상기후와 도시화에 의해 홍수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이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경제, 사회, 환경, 법 및 제도 측면을 고려하면서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고, 홍수피해로부터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관리와 관련된 여건들의 변화와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적응형 홍수 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홍수관리의 목표, 목적, 원칙, 전략, 참여 등을 고려한 홍수 위험도 관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적응정책

  • Bae, Deok-Hyo;Kim, Seong-Jun;Kim, Hyeong-Su
    • Water for future
    • /
    • v.47 no.1
    • /
    • pp.40-47
    • /
    • 2014
  • 기후변화-수자원 적응과제들의 성공적인 수행과 결과물의 활용을 위해서는 안전행정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물관련 정부부처간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안전행정부의 재난관련 방재패러다임 전환 및 위기관리 체계강화를 위한 추진과제(자연재해 지자체 방재시스템), (2)환경부의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관리 대책 추진과제(비점오염, 수질, 수생태, 습지), (3)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수자원 및 산림자원 확보 추진과제(농업용수, 산림재해) 등의 진행상황 및 결과의 공유체계 및 공동활용을 위한 채널구축이 필요하다. 포럼에서의 의견으로서, 타분야 특히 산업일선에서는 이미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정책과 더불어 관련기술의 개발이 진행되어 우리 수자원분야는 많이 늦은 감이 있다는 지적, 그리고 제시된 기획과제 중에서 제4세부과제인 수자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는 언급이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수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력연구(Water-Food-Energy Nexus)를 통하여 세 분야의 통계기반, 정보공유, 융합가치 등의 제반연구는 매우 중요한 미래과제라고 강조하였다.

  • PDF

Impact on department adaptation of field practice adaptation, college adaptation, and awarenes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현장실습적응, 대학적응,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 Je, Nam Joo;Park, Meer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300-31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n department adaptation of field practice adaptation, college adaptation, and awareness of death of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adaptation of the major, adaptation to field practice, and measures to raise awareness of dea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2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living in C, J city. Data were collected after approval from the IRB of C University on April 30, 2018 and analyzed by the mean values, percentag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1.0. The subjects' field practice adaptation was 3.58, college adaptation was 3.33, awareness of death was 3.15 and department adaptation was 3.38.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artment adaptation and field practice adaptation (r=0.56, p<0.001), negative of death (r=-0.15, p=0.016), respect for life (r=0.33, p<0.001) of nursing students, field practice adaptation and college adaptation (r=0.48, p<0.001) and respect for life (r=0.16, p=0.009) of nursing students and between college adaptation and respect for life (r=0.32, p<0.001) of nursing students.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the department adaptation of the subjects; As a factor influencing the department adaptation, department adaptation, field practice adaptation, and respect for life were explained by 67.5% (F=171.67, p<0.001). Therefore,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and a curriculum related to change in perception must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to change the attitude toward death. It is also suggested that research regarding nursing department adaptation effects be conducte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to improve respect for life.

Modeling Spatial Patterns of an Overheated Speculation Area (투기과열지역의 공간패턴 모형화)

  • Sohn, Hak-G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104-116
    • /
    • 2008
  •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which have high potential of becoming speculative are the target of many real estate policie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spatial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and suggests a spatial pattern of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House prices are determined by economic behaviors of sellers and buyers who have rational or adaptive expectations. Spatial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are formed by tendencies of their economic behavior. If there is a majority of adaptive sellers and buyers in an area, it may appear as a "hotspot" by showing high volatility of house prices and simultaneous price increases.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are formed by adaptive sellers and buyers who want to realize maximum expectation profit, therefore these areas patterns are defined as hotspot patterns of price volatility.

Evaluation on Drought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future water supply stability (기후변화와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고려한 한반도 가뭄 위험도 평가)

  • Na, Byeong-Chan;Lee, Hyun-Ju;Sur, Chanyang;Choi, Si-Jung;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2-122
    • /
    • 2019
  • 가뭄위험도(Drought Risk)는 위해성(Hazard), 취약성(Vulnerability), 민감도(Sensitivity) 및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 등 여러 가지의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가 가능하다. 가용한 자료와 분석기법에 따라서 위해성과 취약성만으로도 평가가 가능하며, 유역내의 가용한 수자원인프라에 의한 적응능력을 포함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가뭄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학적 인자인 가뭄 위해성과 사회 경제적 인자인 취약성 인자 그리고 유역내의 수자원 인프라시설(용수공급 시설)에 의한 적응능력과 관련된 지표를 조합하였다. 특히, 물수요와 공급가능량을 고려한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미래 용수공급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가뭄 위해성 인자를 Rating 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취약성의 경우 인구밀도, 농경지 면적 등의 민감도와 적응능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용수 부족량을 시나리오별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한반도의 미래 가뭄위험도 평가 결과는 유역별 가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urvey of Ecolog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Risk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 (기후변화 적응정책 관련 생태계 지식정보 수요와 활용도 증진 방향 - 생태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을 중심으로 -)

  • Yeo, Inae;Hong, Seungbu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1
    • /
    • pp.26-36
    • /
    • 2020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present research and knowledge-base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ecosystem sector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basic information on ecosystem that functions as evidence-bas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deduce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biodiversity. In this perspective, a questionary survey titled as "the ecological knowledge-base and information need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with the researchers who were engaged with adaptation studies for biodiversity in the ecosystem related-research institutes including national and 17 regional local governments-affiliated agencie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current status of utilizing ecological information which supports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future needs for adaptation knowledge and ecological information, and activation of utilizing ecological inform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90.7%) replied that the ecological information has high relevance when conducting research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However, only half of all respondents (53.2%) agreed with the real viability of current information to the adaptation research. Particularly, urgent priority for researchers was deduced as intensifying knowledge-base and constructing related information on 'ecosystem change from climate change (productivity, community structure, food chain, phenology, range distribution, and number of individuals) with the overall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ntents and its quality. The respondents emphasized with the necessity of conducting field surveys of local ecosystem and constructing ecosystem inventories, advancing monitoring designs for climate change in ecosystem, and case studies for regional ecosystem changes with the guidance or guidelines for monitoring ecosystem change to enhance the quality of adaptation research and produce related information. In terms of activation for ecological information usage, national and local adaptation network should be working based on the integrated ecological platform necessary to support exchange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o expand ecosystem types in time and spatial dimension.

Farmers perception of and adjustment to typhoon hazards on Cheju island, Korea (태풍재해에 관한 제주도 농부들의 인식과 적응도 연구)

  • Kim, Wook-Jo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 /
    • pp.93-114
    • /
    • 1989
  • 거의 해마다 내습하는 태풍위험을 제주지역 농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적응하고 있는지 아울러 이와같이 연례행사처럼 발생하는 태풍재해 문제 해결에 있어 정부관계기관의 역할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위 연구과제를 살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이 전제되었다. 첫째, 태풍과 같은 자연발생적 위협과 빈번한 접촉내지 오랜 경험은 인간에게 위험과 손실을 준다는 자각으로 이끌며 또한 장차 발생의 정확한 예측에 비교적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들은 그와같은 자연발생적 위협으로부터 일시 피하거나 위협지역으로부터 아주 떠나 버린다기 보다 오히려 적응이라는 선택을 취한다. 둘째, 인간이 이와같은 위협지역 제주도와 같이 사회문화적인 특성이 뚜렷한 지역에 삶의 터전을 가지고 있는 것은 경제적 요인에서라기보다도 사회문화적 바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셋째로, 정부의 이와같은 자연발생적 재해문제 해결은 해당 지역 거주주민들과 보다 긴밀한 컴뮤니케이션과 함께 정부나 컴뮤니티를 통한 자연재해에 관한 계몽교육을 강화함으로서 그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총 113명의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가구주들을 제주도의 상습태풍재해지구에서 무작위 단게별군집(Random-cluster Stratified Sampling)방법에 의하여 선별하고 태풍위협에 대한 개인별 재해인식과 인간 적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된 설문서를 통하여 각기 면담, 연구분석자료가 수집되었다. 제주농부들의 태풍에 대한 자각과 적응은 제주도 나름의 풍토에서 오랜 삶의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결과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한편, 장차 태풍 내습에 대한 그들의 예측은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태풍재해에 대한 적응은 동기적이고 예방적 즉, 농부들은 재해의 근원적 소멸을 위해 재해지역을 떠난다기보다 오히려 피해를 감수하고 있었으며 또한 그들의 기본 영농방법이나 작물의 대체를 급격히 전환한다기 보다 부분적으로 수정, 변경시켜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들의 적응과정은 현대적 영농기술과 그들 특유의 전통적 방법을 혼합 병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이나 친척 이웃과의 유대관계가 재해지역에 거주하는 지배적 이유로 나타났다. 또 한편, 해당연구지역 농부들은 태풍피해에 대한 정부의 보조를 알고는 있으나 그것이 재해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고 있다. 그들은 더욱 많은 재정적 보조를 희망하는 것만큼 연례저긍로 내습, 피해를 주고 있는 태풍재해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좀더 효과적 예방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