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적분오차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초

선형 파라미터화된 시스템에 대한 적분형 적응보상기 (An Integration Type Adaptive Compensator for a Class of Linearly Parameterized Systems)

  • 유병국;양근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2-88
    • /
    • 2005
  • 본 논문은 선형적으로 파라미터화된 시스템에 대한 보상방식을 제안한다. 이 보상기는 전형적인 선형 제어기와 적분형의 적응법칙을 갖는 적응 관측기로 구성되며 이 때 적응법칙은 SG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설계된다. 제안된 보상전략에서는 다른 여러 연구에서 제안된 중간함수 대신에 growth조건, convex조건, attainability조건, 그리고 pseudo gradient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들로 적응법칙이 설계된다. 제안된 방식은 추적오차에 대한 점근적 안정도 및 파라미터에 대한 추정오차의 bounded stability를 만족한다. 예제를 통하여 제안된 보상방식의 타당성을 보인다. 그리고 기존의 방식인 Huang의 방법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방식이 정상상태에서의 파라미터 오차가 더 작아짐을 보인다.

  • PDF

진동환경에 강인한 순차적 측정 오차 공분산값을 이용한 적응 자세 결정 (Vibration-Robust Adaptive Attitude Reference System Using Sequential Measurement Noise Covariance)

  • 김종명;이현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8-315
    • /
    • 2016
  • 본 논문은 관성 항법 시스템(Inertial Navigation System)을 활용한 자세 및 방향 결정시스템(Attitude & Heading Reference System)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법인, 순차적 측정 오차 공분산(Sequential Measurement Noise Covariance) 기법을 제시하였다. 관성 센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적분오차와 진동이나 가속구간과 같은 외란이 가해 졌을 때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저가의 관성 센서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은 많이 존재한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확장 칼만 필터의 경우 가속도계를 사용할 때 측정값(Measurement)이 일정 범위를 넘어가면 센서값을 배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범위를 설정하지 않고 과거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측정값의 가중치를 변화하는 기법이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기법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Delaunay 삼각화를 이용한 적응적 Element-free Galerkin 해석 (Adaptive Element-free Galerkin Procedures by Delaunay Triangulation)

  • 이계희;정흥진;최창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25-5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무요소법의 일종인 element-free Galerkin 방법(EFGM)을 이용한 새로운 적응적 해석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의 핵심은 Delaunay 삼각화에 기초를 둔 적분 격자를 기초로 수치적분과 적응적인 절점의 추가 및 소거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응적 해석법은 적분격자의 분할이나 이를 위한 추가적인 정보에 대한 관리가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적응적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균열의 진전과 같은 다단계 적응적 해석에 있어서도 매 해석단계별로 평가된 오차에 기초를 둔 최적 해석모델이 Delaunay 삼각화에 의해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요소의 구성으로부터 자유로운 무요소법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해석모델의 구축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적응적 해석에 기초가 되는 해석 후 오차평가는 계산된 응력과 투영응력과의 차이를 오차로 추정하는 투영응력법을 이용하였다. 균열진전을 포함하는 2차원예제의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해석법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지자기 교란으로 인한 전력망 유도전기장 예상값 검증 (Verification on the Calculated Geoelectric Field on Power Grid during Geomagnetic Disturbances)

  • 박성원;유충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94-100
    • /
    • 2015
  • 태양흑점폭발로 인해 방출되는 코로나 물질은 지자기 교란을 일으킨다. 대규모 지자기 교란으로 인한 유도전류는 변압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유도전류를 산출하기 위해 먼저 유도전기장을 산출해야 한다. 푸리에 변환 방법을 적용한 유도전기장 산출방법은 정확도가 높으나, 1일 24시간 동안의 관측 데이터가 필요하다. 반면, 적분 공식을 적용한 유도전기장 산출방법은 실시간 데이터로 산출이 가능하나, 정확도 확인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 적분 구간을 조정하여 푸리에 변환 방법의 결과값과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분 공식을 적용한 유도전기장 예상값은 푸리에 변환방법의 예상값과 상관성이 높았으며, 적분 공식으로 산출한 유도전류 예상값은 유도전류 관측값과 시간 동기 및 방향이 일치하고, 그 크기가 오차 범위 1 A 이하에서 92 % 이상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로봇 매니플레이터를 위한 정확한 사전 결정 출력 성능을 갖는 새로운 적분 가변구조 레귤레이션 제어기 (A New Integral Variable Structure Regulation Controller for Robot Manipulators with Accurately Predetermined Output Performance)

  • 이정훈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6-1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도의 비선형 로봇 매니플레이터를 위한 새로운 적분 가변 구조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특수 적분 슬라이딩 면과 외란 관찰기를 이용한 사전 성능을 갖는 개선된 레귤레이션 제어이다. 어떠한 리칭 구간도 없이 주어진 초기조건부터 원점까지 슬라이딩 궤적을 정확히 사전 결정하기 위하여 특수한 초기 조건을 갖는 적분 변수를 갖는 슬라이딩 면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외란 관찰기를 사용한 연속 입력은 큰 계산 부하 없이 사전 추적오차 범위내의 사전에 결정된 슬라이딩 궤적을 추적하게 한다. 사전에 결정된 슬라이딩 궤적을 사전에 결정된 추적 오차의 성능은 슬라이딩 면의 값과 슬라이f딩 출력의 오차와 관계와 페루프 안정성과 함께 두 개의 정리를 통하여 명확히 검진되었다. 제안된 레귤레이션 제어기의 설계는 성능 설계와 강인성 설계로 각 독립 링크 상에 분리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매개변수 불확실성과 페이로드 변동하의 이 축 로봇의 레귤레이션 제어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무 리칭 구간, 무 오버슈트, 사전 추적 오차를 갖는 사전 결정 출력, 용이한 출력 가변성, 설계 단계의 분리 등의 관점에서 입증되었다.

  • PDF

Bubble Mesh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EFG해석 (An Adaptive Analysis in the Element-free Galerkin Method Using Bubble Meshing Technique)

  • 정흥진;이계희;최창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5-9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최적 절점생성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Element-free Galerkin 방법에 적용하였다. 무요소방법에서 제안된 일반적인 적응적 절점배치방법의 경우 적분격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절점의 분포가 평가된 오차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불균등한 세분화로 인해 주변 절점분포와 급격한 절점밀도의 차이를 보이게 되어 추가적인 해석오차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된 오차의 분포와 적분격자를 따라 구성된 불균등한 초기절점배치를 최적삼각격자 구성기법인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화 시키는 적응적 절점구성기법을 제안하였다. 절점의 불균등한 배치에 따른 추가적인 오차의 발생현상을 보이기 위해 1차원 문제를 해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Bubble Mesh 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무요소해석법의 적용성을 보이기 위해 2차원 문제를 해석하였다.

적분방정식을 이용한 초음속 날개의 역설계법 (Inverse Design Method of Supersonic wings Using Intergral Equations)

  • 정신규;김경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15
    • /
    • 2003
  • 본 연구는 적분 방정식과 반복 "오차-수정" 개념을 이용하는 Takanashi의 이론에 기초한 초음속 실용적인 설계방법의 개발 결과로서, 형상의 수정량은 목표 압력분포와 설계대상의 압력분포와의 차를 경계조건으로 이용해 LSP 방정식을 풀므로써 계산되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Green의 정리를 이용하여 편미방정식 형태의 LSP 방정식을 적분방정식으로 변환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Isolated wing과 wign-nacelles 두가지 경우의 설계를 예로 들었다.

offset 전압과 이득 오차를 보정한 새로운 구조의 SC 적분기 설계 (The New Structure Design of SC Intergrators for making compensation for offset Voltage and Transconductance error)

  • 박종석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177-180
    • /
    • 1998
  • 높은 Q가 요구되는 고주파 신호 처리용 필터 설계에서는 흔히 SC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처리하고자 하는 신호가 고주파수이고, 선택도 Q 값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SC 필터에 사용하는 증폭기의 성능이 빠르고, 직류 성분 이득이 커야만 한다. 이와 같은 속도와 이득이 요구됨에 따라 일반적인 범용 증폭기는 이득이 충분치 못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설사 범용 증폭기를 이용하여 필터를 구성하였다 해도 그 특성에 많은 제한을 줄 수밖에 없다. 또한 GaAS MESFET op amp의 경우, 최근의 논문에서도 60[dB] 이상의 이득이 제안된 바 없으므로, 필터 구성시 또 다른 설계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aAS MESFET 능동 SC 적분기의 유한한 이득과 offset 전압을 보정한 새로운 구조의 적분기를 제안한다.

  • PDF

구조동역학 문제에서 전단계 오차추정치를 이용한 자동시간간격 조정 알고리듬 (An Automatic Time Stepping Algorithm Using a Prior Error Estimator in Structural Dynamics)

  • 조은형;정진태
    • 소음진동
    • /
    • 제9권6호
    • /
    • pp.1240-1246
    • /
    • 1999
  • A prior error estimator which is solving structural dynamic problems and which is based on the generalized-method, is developed. Since the proposed error estimator is computed with only previous information, the time step size can be adaptively selected without the feedback mechanism. This paper shows that the automatic time stepping algorithm using the error estimator performs an efficient time integration. To verify its efficiency, several example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 PDF

열병합발전소 주증기온도 제어를 위한 비선형 PMBC

  • 조영춘;남해곤;이광식;윤성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63-172
    • /
    • 1995
  • 100 MW급 유류연소 드럼형 열병합발전소의 주증기온도 제어를 위한 비선형 process model based control (PMBC)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PID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비선형 PMBC에서는 프로세스의 메캐니즘을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는 모델이 필요한데, 사용된 모델은 first principle approach를 사용하여 개발된 것으로 제어기 성능 평가와 설계에 적합한 정교한 것이다. 비선형 PMBC는 비선형 피드백, feedforward, decoupling을 제공하고 분산제어에 적합하면서 모델링 오차에 민감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PMBC와 PID 제어의 성능을 부하증가와 연료의 열량변화등의 외란에 비교한 결과, PMBC가 PID에 비하여 속응성, 절대오차 적분치, 제어노력등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