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해활성

Search Result 3,89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tensin Converting Enzyme (양파 조미액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 마상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395-400
    • /
    • 2000
  • 양파 조미액으로부터 ACE 저해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과 물로 분획시, 4.8g의 당 함량과 31.9 mg의 phenol성 물질을 함유한 butanol 분획이 82.1%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70.3%의 ACE 저해활성을 보인 양퍄 조미액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Butanol 분획을 Amberite XAD-2column으로 분리한 결과, ACE 저해활성을 보이는 미흡착 분획(F1)를 얻었다. 활성분획 F1을 Sephadex LH-20column으로 분획한 결과, 4개(F1-1,F1-2,F1-3,F1-4)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중 F1-3 분획의 ACE 저해활성은 9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얻어진 활성분획F1-3을 Supercosil LC-18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분대에서 ACE 저해활성을 가지는 단일 peak(F1-3a)를 얻었다. 각 정제 과정에서 얻은 분획들은 전형적인 flavonoid의 band I과 bandII의 피크를 보였다. 또한 ACE에 대한 저해기작은 flavonoid 물질이 보이는 전형적인 비경쟁적 저해양상을 보였다.

  • PDF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 Heo, Jeong Won;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4-84
    • /
    • 2018
  • 인공재배 매실나무겨우살이의 의약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80% 에탄올 및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PM, 동결건조) 및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QM, 열풍건조, $30^{\circ}C$, 7day)의 80% 에탄올,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의 경우 100 ppm의 농도에서 PM과 QM 모두 5분이 경과 하였을 때 PM은 88.37%, QM은 87.69%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농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저해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PM 80% 에탄올 추출물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2,500ppm이 92.08%로 최대값을 보여주었고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해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5,000ppm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66.38%로 최소값을 나타낸 반면, 20분까지 저해활성이 증가하였고 10분이 경과한 이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1,000ppm보다 높은 저해효과를 보여 주었다. QM 80% 에탄올 추출물은 5분이 경과하였을 때 1,000ppm이 88.14%로 가장 높았고 5,000ppm은 63.49%로 가장 낮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15분까지 1,000ppm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나 꾸준히 감소한 반면, 2,500ppm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어 15분이 경과한 이후로 2,500ppm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5분이 경과하였을 때 2,500ppm은 70.27%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5,000ppm은 30.09%로 가장 낮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 추출물의 경우 겨우살이의 농도가 낮을수록 더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8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2,500ppm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의약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in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제주도에 자생하는 양치식물의 생리활성 검색)

  • Oh, Soon-Ja;Hong, Sung-Soo;Kim, Yeon-Hee;Koh, Seok-C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12-18
    • /
    • 2008
  •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aminopeptidase N(APN) and $\alpha$-amylase were investigated in the methanol extracts from 25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in order to screen the plant species containing bioactive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s or medicin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higher in Cytomium fortunei(41.9%) and Rumohra standishii(34.1%) than in leaves of Thea sinensis(30.9%), a small tree for antioxidative beverage.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nd APN were relatively high in Cytomium fortunei as 26.7% and 28.2% respectively.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r than 50% in 10 species. Particularly, Cytomium fortunei(87.4%) and Dryopteris erythrosora(71.6%)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ies higher than those of other form plants. Of 25 fern plants investigated here, Cytomium fortunei showed not only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but also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of ACE, APN and $\alpha$-amylase. It suggests that Cytomium fortunei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bioactive materials for fuctional foods or medicines.

Manufacturing Method for Traditional Doenjang and Screening of High Fibrin Clotting Inhibitory Samples (전통된장의 제조방법 조사 및 혈액응고 저해활성이 높은 된장의 스크리닝)

  • Jang, In-Hwan;In, Man-Jin;Chae, Hee-Jeo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7 no.1
    • /
    • pp.149-153
    • /
    • 2004
  • 전통된장 제조방법으로서 원료 혼합비, 메주의 건조시간 및 온도, 메주와 된장의 발효 시간 및 온도, 된장 간장의 분리 여부, 된장 숙성(aging) 시간을 조사하였다. 혈액응고 저해 활성(anticoagulant activity)을 fibrin clotting assay법으로 분석하여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제법간의 상관 관계를 검토하였다. 숙성 기간이 길수록 혈액응고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선형적인 상관관계보다는 비선형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혈액응고 저해활성이 높은 2종의 된장시료를 선발하였으며 숙성기간이 180일 이상일 경우 전통된장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과 ACE 저해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효과

  • Bae, Hyeong-Cheol;Jo, Im-Sik;Nam, M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26-330
    • /
    • 2005
  •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추출물을 이용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항산화효과,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시험하였다. 구기자 첨가 발효유의 Antioxidants activity는 물 추출물보다 methanol 추출물에서 더 많은 항산화 활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구기엽 요구르트에서 83.85%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다. 구기자와 지골피 요구르트에서는 각각 47%와 54%내외의 활성능을 나타냈다. 구기자 첨가 발효유의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는 원재료에서는 물 추출물이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능이 높았고, 구기자 요구르트의 경우 물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 모두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기자 첨가 발효유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4% 첨가 요구르트에서 methanol 추출물의 경우 각각 8.2%, 5.6%, 7.3%의 ${\alpha}-glucosidase$ 저해능을 나타냈는데 이들 모두 원재료 보다는 활성 저해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 추출물의 경우에는 활성 저해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um from Korean Soy Paste Doenjang Producing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된장으로부터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제 생산 세균의 분리 및 특성)

  • Kim, Yong-Seok;Rhee, Chang-Ho;Park, Heui-D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1
    • /
    • pp.84-88
    • /
    • 2001
  • About 100 bacterial strains producing proteolytic enzyme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paste Doenjang. Among them, strain SYG3 producing the highest level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 into the culture medium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Bacillus pumilus according to the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oybean powder as a nitrogen source and glucose as a carbon source supported high level of ACE inhibitor production. The presence of 3% NaCl also enhanced the production of ACE inhibitor in the medium. The optimum initial pH of the medium and culture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ACE inhibitor were 7.0 and $32^{\circ}C$, respectively. The maximal level of ACE inhibitory effect was obtained after 36 hours of cultivation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hich was about 98% of inhibition ratio.

  • PDF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holesterogenic Substances from Edible Plant Extracts (식용식물 추출물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의 검색 및 분리)

  • Park, Jeong-Ro;Park, Jong-Cheol;Choi, S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6 no.2
    • /
    • pp.236-241
    • /
    • 1997
  •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edible plant extracts against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HMG-CoA) reductase,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biosynthesis of cholesterol, were screened. Inhibition rates of $10{\sim}15%$ were observed with hot water extracts of Allium fistulosum, Allium sativum and Cucurbita maxima. Methanol extracts of Aster scaber, Allium sativum, Zingiber officinale, Oenanthe javanica and Angelica keiskei effectively reduced the enzyme activity with inhibition rates of $29{\sim}51%$. The methanol extract of Angelica keiskei was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n-butanol. Of the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against the enzyme. $Luteolin-7-O-{\beta}-D-glucoside$ and hyperosid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ngelica keiskei inhibited the enzyme activity by 65.5% and 14.8%,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30{\mu}M$.

  • PD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Solvent Extracts of Pinellia ternata (반하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 Kim, Jun-Ho;Oh, Ha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83-83
    • /
    • 2009
  • 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인병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혈관계 질환들로 이들에 의한 사망 비율의 합은 암의 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나 혈관계 질환의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혈전에 의한 혈관계 질환은 혈전용해제와 트롬빈저해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a-glucosidase 저해제는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던 반하를 성인병 치료와 예방에 관련된 기능성식품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반하 열수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분획화하고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 트롬빈저해활성,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혈전을 직접 용해하는 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0 mg/ml의 농도로 준비한 시료액을 fibrin plate 방법을 이용하여 혈전용해활성을 측정 결과 hexane 층, chloroform 층, ethyl acetate 층, butanol 층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 층에서 만 0.8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냈다. 혈전의 형성을 억제하기위해 혈전형성의 필수 효소인 트롬빈의 활성을 저해하는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 배 희석한 (10 mg/ml) 시료 용액을 이용하여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결과 hexane 층에서 75.3%의 높은 트롬빈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ethyl acetate 층과 chloroform에서도 각각 43.3%와 39.7%의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탄수화물의 소화를 지연시킴으로서 소장에서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관내 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혈당강하제의 개발을 위해 준비된 조효소액(10 mg/ml)을 이용하여 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층과 hexane 층에서 각각 24.9%와 23.4%의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하의 hexane 층과 ethyl acetate 층과 물층은 혈전관련 혈관계 질환과 당뇨병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질병 치료에 효과는 크지만 부작용이 동반되는 화학약품들 대신 활성은 조금 뒤지지만 부작용이 없는 생약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민간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하는 안정성이 확인된 장점을 갖고 있어, 식품재료나 기능성 음료에 이용할 경우 장기간 섭취가 가능해 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깻잎에 함유되어있는 생리기능성 물질의 탐색

  • 현광욱;김재호;송기진;이종복;장정호;김영선;이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97.1-97
    • /
    • 2003
  • 깻잎중의 각종 성인병 관련 생리기능성을 탐색하여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1월, 5월 시설재배 깻잎과 8월 노지재배 깻잎의 extracts 수율을 조사하였다. 8월 노지에서 재배한 깻잎의 알콜 extracts 수율이 29%로 제일 높았고 1월과 5월 시설재배 깻잎보다는 8월 노지재배 깻잎의 extracts수율이 더 높았다. 물과 30% 알콜 깻잎 추출액에 대한 생리기능성으로 혈전용해활성은 5월 시설재배 깻잎의 알콜 추출물이 8.2 U로 제일 높았고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1월 시설재배 깻잎의 물 추출물에서 64.5%의 높은 활성을 보여 고혈압 예방(치료) 제품개발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항산화활성은 물 추출물보다는 대체로 30% 알콜 추출물에서 높았고, 특히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알콜 추출물에서 69%을 보였다. 고지혈증 예방(치료)에 관련된 HMG-Co A reduc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의 물 추출물에서 83%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elas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 깻잎의 30% 알콜 추출물에서 47.5%의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제거활성과 SOD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 PDF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the Monoamine Oxidase (모노아민 산화효소에 대한 식용버섯류의 저해활성 검색)

  • Hwang, Keum-Hee;Kim, Hyun-Ku;Han, Yong-Nam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1
    • /
    • pp.156-160
    • /
    • 1997
  • The monoamine oxidase (MAO, EC 1.4.3.4) plays a central role in the metabolism of many amines including the neurotransmitter monoamines. MAO is a flavoprotein found exclusively in the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occuring in the MAO-A and MAO-B subtypes. MAO-A deaminates serotonin and noradrenaline much better than phenethylamine (PEA) or benzylamine (BA), and is preferentially inhibited by clorgyline, whereas MAO-B prefers PEA and BA as substrates and is preferentially inhibited by deprenyl. MAO inhibitors were among the first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it is known to be the inhibition of MAO-A which is important for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MAO inhibitor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MAO inhibitory activities from natural resources, three kinds of edible mushrooms were screened by tracing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rat brain mitochondrial MAO-A, utilizing serotonin as a substrate and rat liver mitochondrial MAO-B utilizing benzylamine as a substrate. Among the tested mushrooms, Ganoderma lucidium and Lentinus edodes showed the weak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AO-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