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항 분포도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4초

압저항체에서 발생하는 잔류응력이 저항변화율 분포도에 미치는 영향성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esidual stress induced in piezoresistor on resistance change ratio distribution)

  • 심재준;한근조;이성욱;이상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0-793
    • /
    • 2005
  • In these days, the piezoresistive material has been applied to various sensors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of physical quantiti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tivity of a sensor and the position and size of piezoresistor has rarely been studied. Therefore, this paper was focused on the effect of residual stress induced in piezoresistor on the distribution of resistance change ratio and supposed the feasible position of piezoresistor. The resulting are following; The tensile residual stress in the vicinity of piezoresistor decreased the value of resistance change ratio and could not effect on all the area of diaphragm but local area around the piezoresistor. Also, the piezoresistor in the diaphragm type pressure sensor with boss should fabricate in the edge of boss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pressure sensor.

  • PDF

직접 전단시험의 유한 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Direct Shear Test)

  • 이장덕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6호
    • /
    • pp.21-36
    • /
    • 1996
  • 흙과 Geogrid사이의 응력 전달은 마찰저항 및 수동저항으로 나눌 수 있는데 Geogrid의 횡방향 요소에 작용하는 수동저항은 그 메카니즘이 복잡하여 아직까지 거동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수동저항의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돌기가 있는 보강재에 대한 직접 전단시험을 유한 요소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유한 요소해석으로 돌기의 간격에 따라 수동저항의 크기, 파괴형태, 응력 및 변형 분포 등을 분석하였으며 일 결과들을 실제 계측치와 비교 분석하여 Geogrid의 횡방향 요소에 작용하는 보강재의 수동저항의 거동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또한 흙의 종류에 따라 수동저항의 메카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점성토에 작용하는 수동저항의 거동을 예측하였다.

  • PDF

단극배열을 이용한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법의 문제점 (A problem in the cross-hole resistivity method using pole-pole array)

  • 조인기;최경화
    • 지구물리
    • /
    • 제1권1호
    • /
    • pp.51-58
    • /
    • 1998
  • 단극배열을 사용하는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통형 2차원 이상체에 대한 이론해로부터 겉보기 비저항 및 2차전위 분포양상을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2차원 이상체가 전도체일 경우는 물론이고 부도체일 경우에도 모두 모암의 비저항보다 낮은 겉보기 비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극배열을 사용하여 획득한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자료만으로 시추공 사이에 존재하는 이상체의 전도도에 관한 해석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자료획득 및 해석이 필요하며, 이의 실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적어도 동일 시추공 자료를 이용해야만 이상체의 전도도에 관한 해석이 가능해 진다.

  • PDF

Bacteriophage의 감수성에 의한 수도백엽고병균의 계통분류 (Classification of strains of Xanthomonas oryzae on the basis of their susceptibility against bacteriophage)

  • 이경휘;정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29-32
    • /
    • 1965
  • (1) 한국각지에서 분리한 수도백엽고병균 30균주를 일본의 4계통의 Bacteriophage를 공시하여 분류하여 본 결과 A' 및 B계통의 다음 2종류로 분류하였다. A' 계통 $OP_1$$OP_2$에 감수성이나 $OP_1h$, $OP_1h_2$에는 저항성이었다. B계통 : $OP_1h$, $OP_1h_2$$OP_2$ 감수성이나 $OP_1$에 저항성이었다. A'계통은 $OP_1_2$에 저항성이나 일본의 A 계통은 $OP_1h_2$에도 감수성이었다는 점이 상이하였다. (2) A' 계통균이 국내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계통간의 지역별분포상황은A'계통균이 경기이남에 않았으나 B 계통균은 수원 및 그 이북지방에 분포하고 있었다. (3) 동일품종간에 있어 균의 계통분포는 균일성이 없었다.

  • PDF

비탈면 위험도 평가를 위한 중력장 해석 및 모델링 (Risk Assessment of Cut Slope by Gravity Field Interpretation and Modelling)

  • 최승찬;김성욱;최은경;이영재;장현익
    • 지질공학
    • /
    • 제31권4호
    • /
    • pp.533-540
    • /
    • 2021
  • 비탈면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부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복합지구물리탐사와 지반의 밀도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완전부게이상 분포로부터 풍화대의 규모와 신선한 기반암의 분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일러 디콘볼루션 역산법으로 비탈면 중앙부의 신선한 기반암은 주변에 비해 10 m 정도 깊은 30 m 깊이에 분포하고 저밀도의 풍화대 두께가 증가한다. 이러한 경향은 전기비저항 분포에서 관찰되는 저비저항과 고비저항대의 깊이와 일치한다. 비탈면 지반의 밀도 모델은 암반의 차별풍화대의 분도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중력장 해석을 이용한 밀도 모델링이 비탈면의 내적인 상태변화와 안전성 해석에 활용될 수 있고 노출된 암반에서 풍화대의 형상을 파악하는 방법으로써 적합함을 시사한다.

홍수터 식생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흐름저항계수 산정 및 흐름특성 변화 모의 (Evaluation of Flow Resistance Coefficient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in Floodplains and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hanges in Flow Characteristics)

  • 지운;장은경;안명희;배인혁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12-22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식생의 물리적 특성과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흐름저항계수를 산정하고 이를 2차원 수치모의에 반영하여 홍수터 식생분포가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홍수터 식생의 물리적 특성을 기존의 식생 흐름저항산정 공식에 적용하기 위해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식생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홍수터 식생분포는 국부적으로 식생이 존재하는 경우와 홍수터 전체에 식생이 분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구간의 모의결과, 홍수터 식생의 흐름저항계수는 매닝의 조도계수를 기준으로 계획홍수량이 발생할 경우 주하도 하상 조도계수에 비해 약 5배 이상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하도와 홍수터의 수리특성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상부에서 전기비저항 탐사 적용 및 지구통계학적 복합 해석 (Application of DC Resistivity Survey from Upper Portion of Concrete and Geostatistical Integrated Analysis)

  • 이희순;오석훈;정호준;노명근;지윤수;안태규;송성호;용환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40
    • /
    • 2014
  • 콘크리트 도로 하부의 이상대를 찾기 위해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접지저항효과를 줄이기 위해 전기전도성이 좋은 매질과 평판 전극을 이용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를 분석하고 같은 장소에서 수행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 충격응답기법,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는 함몰과 포장 구간에서 높은 비저항 분포를 보였으며, 지하투과레이더 탐사 결과는 보강으로 인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충격응답기법과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보강 구간에서의 높은 동적강성도가 높은 비저항 분포의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장소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와 다중채널 표면파 탐사 결과를 공동 크리깅한 결과, 지구통계학적 복합 해석이 각 지구물리 탐사결과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보다 더 명확하게 이상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지구물리 탐사에 기초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복합 해석 결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기검층과 AMT 탐사자료를 이용한 양산지역의 2차원 투수계수분포 산출 (Estimation of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Coefficient of Permeability from Electrical Logging and AMT Data in Yangsan Area)

  • 이태종;박남윤;추석연;이종호;고성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2호
    • /
    • pp.64-7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토목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여러 파라미터들 중에서 물리탐사가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을 한걸음 더 넓히고자 투수계수 산출을 위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전기비저항과 투수계수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현장시험 결과 전기비저항검층과 수압시험(Lugeon test)에 의한 전기비저항-투수계수는 log-log 그래프상에서 반비례 관계를 만족하였다. 양산지역의 화강암과 안산암의 경우 $log(k){\approx}-0.85621\;log({\rho})+0.0031$ 의 관계를 보였으며 측선 상에서 수행된 AMT (Audio-frequency Magneto-Telluric) 탐사 결과와 이 식을 이용하여 전기비저항 단면을 2차원 투수계수 분포단면으로 변환하고 이를 지하수 유동모델링의 입력자료로 제공하였다.

지구물리탐사자료의 지리정보시스템 해석

  • 한수형;김지수;신재우;권일룡
    • 지구물리
    • /
    • 제5권1호
    • /
    • pp.29-39
    • /
    • 2002
  • 충북 초정지역에 대하여 지하수부존과 연관된 파쇄대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각종 지국물리탐사 속성자료들을 상관해석하였다. 위성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선구조밀도, 수직탐사와 검층에 의한 전기비저항, 전기비저항 표준편차분석, 방사능, 탄성파 속도, 기반암의 심도 등의 속성자료들은 복합해석을 위해 ARC/INFO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특히 전기비저항 수직탐사결과는 심도별 비저항 값들을 수평적으로 내·외삽시켜 입체적으로 재건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자료들을 이용하여 재건한 합성결과와 GIS를 이용한 각종 물리탐사자료의 복합해석결과로 연구지역의 천부 파쇄대 분포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지하수부존과 연관된 파쇄대는 연구지역의 남동부에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