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항 모델

검색결과 1,093건 처리시간 0.028초

기업의 혁신저항관리활동이 기술혁신활동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Innovation Resistance Management on Technological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반재인;김성홍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27-6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혁신저항관리활동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혁신저항관리활동이 기술혁신활동 및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저항관리활동으로는 구성원의 참여, 체계적 제도, 원활한 의사소통, 경영관리 등 총 4가지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측정항목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300개 제조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자료를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결과 혁신저항관리활동의 하위변수인 구성원의 참여, 체계적 제도, 경영관리는 기술혁신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원활한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저항관리활동(구성원의 참여, 체계적인 제도, 원활한 의사소통, 경영관리)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혁신활동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높은 혁신성과를 위해서는 혁신저항 관리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HSB 강재 적용 강합성 복합단면 거더 정모멘트부의 휨저항강도 (Flexural Strength of Composite HSB Hybrid Girders in Positive Moment)

  • 조은영;신동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85-395
    • /
    • 2011
  • 교량용 HSB 고성능 강재를 적용한 정모멘트부 강합성 복합단면 거더의 휨저항강도를 모멘트-곡률 해석법으로 산정하고 LRFD 휨저항강도 설계식에 의한 휨저항강도와 비교하여 기존 설계식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강거더의 하부플랜지는 HSB800 강재를 상부플랜지와 복부판은 HSB600 강재를 적용하였다. 다양한 연성특성을 갖는 6,205개 단면을 임의추출법으로 선정하고 재료 비선형 모멘트-곡률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단면에 대한 휨저항강도를 구하였다. 합성단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재료는 CEB-FIP 모델로, HSB600 및 HSB800 강재는 탄소성-변형경화 재료로 모델링하였으며 콘크리트 바닥판의 압축강도는 30MPa, 45MPa 및 60MPa를 고려하였다. HSB 강재를 적용한 강합성 복합단면 거더의 연성계수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압축강도에 따른 휨저항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HSB 고성능강을 적용한 이종 복합단면 강합성 거더의 모멘트-곡률해석 결과, 현 AASHTO LRFD 정모멘트부 휨저항강도 산정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핑하지 않은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기전도 경로와 기구

  • 이범주;안병태;백영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60-60
    • /
    • 1999
  • 단결정 다이아몬드의 열전도도는 약 22W/cm.K로 열전도도가 가장 큰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비저항은 10$\Omega$.cm 이상의 높은 값을 갖는다. 대부분 열전도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은 Cu, Ag 등과 같이 전자의 흐름에 의하여 열이 전도되기 때문에 큰 전기전도도를 함께 갖는 것일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이아몬드는 빠른 phonon의 이동에 의하여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전기적으로 절연 특성을 갖으면서도 큰 열전도가 가능하다. 단결정 다이아몬드는 고방열 절연체로서 이상적인 물질 특성을 보여준다. 전기절연성을 갖는 열전도층으로 다이아몬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가로 제조가 용이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조된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의 열전도도는 약 21W/cm.K로 여전히 매우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저항 값은 인위적으로 도핑을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106$\Omega$.cm 정도의 낮은 값을 갖는다. 전혀 도핑을 하지 않았음에도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전도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아직 명확한 전도 기구는 제안되고 있지 못하지만 전도성의 원인은 수소와 관련이 있고 전도는 표면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산(acid)을 이용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을 세척하면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고 높은 저항값을 갖는 박막을 얻게 되는데 박막을 세척하는 공정은 박막의 표면만을 변호시키므로 표면에 있던 전기전도층이 용액 처리를 통하여 제거되므로 전도성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기존의 측정방식인 수평적인 저항 측정법에 대하여 수직적 방향으로 저항을 측정하면 저항값이 1/2 정도 작게 측정되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표면을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면 박막의 두께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야 하고 수직적인 전류 측정법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보여주어야 한다. 기존의 표면 전도 모델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현상들이 관찰되었고 정확한 전기 전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해 도금법으로 금속들이 석출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전류는 결정입계를 통하여 전도됨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로부터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할 수 있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도도는 온도에 따라서 0.049eV와 0.979eV의 두 개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구간으로 나뉘어졌다. 이로부터 다결정 다이아몬드에는 활성화 에너지 값이 다른 두 종류의 defect level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 낮은 defect level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주근의 부착작용에 기초하는 깊은보의 전단저항 기구의 모델화 (Modeling of Shear Mechanism of RC Deep Beams Incorporating Bond Action between Re-Bar and Concrete)

  • 김길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639-648
    • /
    • 2006
  • 전단 경간비를 실험 변수로 하여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1방향 단조재하의 전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병행하여 실시한 유한요소 해석과 실험결과를 기초로 전단 경간비가 작은 보의 전단내력을 구하는 해석 방법과 주근의 부착작용의 효과를 고려한 crooked main strut과 sub strut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매크로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전단 경간비가 0.75 이하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매크로 모델이 형성 가능하다는 것과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유효계수를 0.75로 하였을 때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가 가장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SPICE 기반의 발광 다이오드 3차원 회로 모델 (A SPICE-based 3-dimensional circuit model for Light-Emitting Diode)

  • 엄해용;유순재;서종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2호
    • /
    • pp.7-12
    • /
    • 2007
  • 고휘도 LED(Light-Emitting Diode)를 구현하기 위한 칩 설계의 최적화에 이용할 수 있는 SPICE 기반의 LED 3차원 회로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은 LED를 일정한 면적의 픽셀로 구획하고, 각각의 픽셀은 n-전극,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및 p-전극 등의 일반적인 LED 레이어 구조를 반영하는 회로망으로 나타낸다. 개별의 박막 층과 접촉 저항은 저항 네트웍으로, pn-접합부는 일반적인 pn-접합 다이오드로 각각 모델링 한다. 별도의 테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추출한 파라미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험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지중 열교환기의 보어홀 열저항 산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Borehole Thermal Resistance in Ground Heat Exchanger)

  • 윤석;이승래;강한별;고규현;김민준;신호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0호
    • /
    • pp.49-56
    • /
    • 2013
  • 최근 들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활용을 위하여 지열에너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반의 열전도도(ground thermal conductivity)와 보어홀 열저항(borehole thermal resistance)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geothermal heat pump system)의 설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수직밀폐형에서의 U, W 타입의 지중 열교환기(ground heat exchanger)를 매립지 지반에 설치한 후 100시간 연속 운전 조건으로 현장 열성능 실험(thermal performance test)을 수행하였다. 또한 보어홀 열저항 산정 모델들을 이용하여 열효율을 산정한 후 이를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shape factor(SF) 모델보다 multi-pole과 equivalent diameter(EQD) 모델이 계측값과 잘 일치하였다.

용량성 결합 능동 전극의 내부 잡음 분석 (A Study on Intrinsic Noise of Capacitively Coupled Active Electrode)

  • 임용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4-49
    • /
    • 2012
  •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Indirect-Contact ECG)은 일상생활에서의 무구속 무자각 측정에 적합한 새로운 심전도 측정 방법이다. 간접접촉 심전도 측정 에 서 관측되는 큰 배경 잡음을 줄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접 접촉 심전도에서 사용되는 용량성 결합 능동 전극(Capacitively coupled active electrode)의 열잡음(Thermal Noise) 모델을 구성하였다. 실험을 통해, 용량성 결합 능동 전극만의 배경 잡음의 크기가 열잡음 모델에서 예상한 수준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면으로 된 직물의 실제의 전기적 특성을 열잡음 모델에 적용하여, 면 위에서 측정된 간접접촉 심전도의 이론적 열잡음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op-amp의 내부 잡음(intrinsic noise)은 저항에 의한 열잡음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열잡음의 크기와 능동 전극의 입력 저항간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게 되어, 능동 전극의 입력 저항의 최적 값 선정을 위한 향후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비틀림 초고층 프로토타입 모델에 대한 시공단계해석의 적용 (Applications of Construction Sequence Analyses to Prototype Models of Twisted Tall Buildings)

  • 최미미;김재요;엄태성;장동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89-97
    • /
    • 2013
  • 비정형 초고층 건물의 계획 및 시공이 늘어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모델에 대한 시공단계해석의 적용을 통하여 비정형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구조적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틀림 초고층 건물을 대상으로 횡력저항시스템, 비틀림각도, 공법 조건에 따른 총 18개의 모델을 선정하였다. 횡력저항시스템으로는 다이아그리드 시스템과 가새튜브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각 횡력저항시스템별로 $0^{\circ}$, $1^{\circ}$, $2^{\circ}$ 비틀림각도를 갖는 세 가지 평면 형태와 외곽 튜브와 내부 골조의 시공순서에 따른 세 가지 공법을 가정하였다. 시공 중인 초고층 건물의 구조적 성능은 시공단계해석의 횡변위 결과를 통하여 분석되었으며, 골조 공기와 최대 양중량과 같은 시공성능이 함께 비교되었다.

봅슬레이의 형상에 따른 유동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Flow due to the Configuration of Bobsleigh)

  • 오범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59-164
    • /
    • 2019
  •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봅슬레이의 프론트 범퍼가 장착되지만, 봅슬레이에 대한 공기 저항은 앞에 위치한 몸체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봅슬레이의 세 가지 형상에 대한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압력을 적게 받게 되는 모델 B, C인 앞이 뾰족한 형태가 앞이 둥근 모델인 모델 A보다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고 범퍼 뒤 쪽이 좁아지는 형태가 넓어지는 형보다 좀 더 매끄러운 유동 흐름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봅슬레이에서의 유동 저항을 가장 줄일 수 있는 몸체의 설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봅슬레이의 내구성 있는 설계데이터를 활용함으로서 실생활에서의 기계나 구조물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주인장 철근을 가진 HPFRCC 보 부재 전단 강도 예측 모델 (Shear Strength Model for HPFRCC Beams with Main Longitudinal Tensile Reinforcements)

  • 이성철;신경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60-67
    • /
    • 2020
  • 최근 HPFRCC의 구조 거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휨 거동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된 반면, 전단 거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단 철근이 없는 HPFRCC 보 부재의 전단 강도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HPFRCC 보 부재를 휨 모멘트에 저항하는 상·하현재와 전단력에 저항하는 복부 전단 요소로 간단히 이상화하였다. 이후 HPFRCC의 인장 거동 특성을 바탕으로 전단 파괴 시 복부 전단 요소의 주압축대 기울기 및 전단 응력을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HPFRCC 보부재의 전단 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전단 파괴된 48개의 HPFRCC 보 부재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과 비교한 결과, 제안 모델이 실제 전단 강도를 평균 1.045, 변동계수 0.125로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향후 HPFRCC가 적용되는 부재 또는 구조물에 대한 관련 연구 및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