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주파 소음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an active noise controller for duct systems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기 개발)

  • 이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47-50
    • /
    • 1990
  • 종래에는 공조덕트의 소음 감소를 위하여 주로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소음감소대책은 500HZ 이상의 고주파 영 역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50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에서는 효과가 적다. 이 러한 500HZ이하의 저주파 소음은 각종 구조물의 진동을 야기시켜 정밀작업 이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파괴하고, 심지어는 구조물에 손상을 입힐수도 있 다. 또한 이러한 저주파 소음에 노출된 사람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여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청력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청정환경이 요구되는 곳에서의 소음감소를 위하여 흡음재료를 사용할 경우 흡음재료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미세분에 의해 청정환경의 보존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수동소음제어 대책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을 그 소음과 동일한 진폭을 갖으며 위상차가 180도인 인위적인 음파로 상쇠시키 는 능동소음제어대책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덕트 또는 이와 유 사한 음향환경내에서의 적응필터기법(adaptive filtering technique)을 이용한 능동소음제어방법의 개발, 실제구현 및 성능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 수의 에러 마이크로폰과 다수의 소음제어용 스피커를 사용하여 제어계통의 가관측성(Observability)및 가제어성(Controllability)을 향상시켜 평면파로 전 달되는 소음의 감소를 증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차모드(Higher-order mode)로 전달되는 소음의 제어도 가능케하는 능동소음제어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ctive noise control ventilation tube (능동 소음 제어 통풍관의 개발)

  • Ha, Sang-Mo;Park, Seung-Kyu;Ahn, Ho-Kyun;Yoon,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815-1816
    • /
    • 2006
  • 소음은 환경 오염원의 하나로서 사람에게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에 소음 제어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하였고, 그 중에서 제어가 까다롭고 고비용을 요구하는 저주파 소음 제어 기술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의 주기적인 특성을 가지는 1차원 평면파 소음에 대한 능동 제어를 위해 기존의 적응 피드포워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적응 피드백 방법을 이용한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능동 소음 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소음원과 제어 음원을 가지는 덕트 형상의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제어기 설계를 위해 전파 소음을 예측하는 선형 예측법을 적용한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성하였으며 적응 알고리즘으로 Filtered-X LMS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제어기는 제어 알고리즘을 프로그램화하여 DSP에 입력함으로써 구성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소음은 500[Hz] 이하의 단일 주파수의 정현파 소음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음압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능동 소음 제어의 기술을 개발하여 하드웨어(덕트)의 모양 및 구조, 제어기의 종류 및 처리 속도, 주파수나 크기와 같은 특성이 급격히 변하는 소음의 경우에 능동적으로 소음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주파 소음을 발생시키는 관형 연소기와 같은 장치 및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ools to Understand Interior Noise due to Road Excitation in Cars (노면 가진에 의한 실내 소음 해석 방법)

  • Taewon Kang;Sang-Gyu Lim
    • Journal of KSNVE
    • /
    • v.8 no.6
    • /
    • pp.1158-1165
    • /
    • 1998
  •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in cars is mainly due to structure-borne excitations which are related with road excitation and component vibrations such as suspension and engine mounts. In order to analyze the annoying interior noise. a technique (Transfer Path Analysis) is introduced to find a noise source and the path of that noise. In this study, TPA is reviewed theoretically and applied to investigate the case when the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at front seat due to road excitations needs to be optimize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aisal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that a testing vehicle traveled on asphalt at 30 km/h. so that the low frequency to be eliminated was detected. The related vibration and noise data for TPA were measured on running and static vehicl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oise contribution along the z-direction of trailing arm is prominent to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 PDF

Comparison of models for sound propagation of low frequency wind turbine noise (풍력발전기의 저주파 소음 전파 모델 비교)

  • SungSoo Jung;Taeho Park;ByungKwon Lee;JinHyeong Kim;TaeMuk Cho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3 no.2
    • /
    • pp.162-167
    • /
    • 2024
  • Low frequency noise emitted by wind turbines is one of the most noise complaints.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models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sound pressure levels with the predicted levels based on Denish model and commercial programs of the SounPLAN and the ENPro based on ISO 9613.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representative 3 MW wind turbines, on lnad,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values differed within a maximum of 5 dB in the frequency range of 12.5 Hz to 80 Hz. It may be due to the change in the acoustic power levels because the wind turbines have been in operation for more than 7 year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oundary Element Method (BEM) predicted value, which is known to be the most accurate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predicted values are well matched within 2.5 dB, the model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eviation within 3 dB.

A Study on the Noise Measurement Method of Wind Power Facilities (풍력발전시설 소음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 YoungJin Lee;Jongtae Lee;Hyunkyung Min;Sunyong Kwon;Byungchan L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5
    • /
    • pp.279-290
    • /
    • 2023
  • Recently, as wind farms using wind power as new and renewable energy have been installed nationwide, noise problems have emerg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lso require the measurement of background noise and low-frequency noise for wind farms, especially by applying the living noi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low-frequency noise management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8. Due to the nature of wind power generators that generate loud noise in high winds, noise measurement should be made at high winds, but when wind speed increases, wind noise increases and living noise and low-frequency noise are not properly evaluated. Therefore, the type of noise generated by wind power generators was confirmed, and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wind noise such as wind noise were confirmed.

The Study on Noise Reduction of a Industrial stack (산업용 Stack의 방음대책에 대한 연구)

  • Oh, Jin-Woo;Kwon, Byoung-Ha;Lee, Jang-Hyun;Lee, Hyo-Haeng;Lee, Ky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04a
    • /
    • pp.462-467
    • /
    • 2008
  • 산업용 Stack은 높은 위치의 지리적 특징과 낮은 주파수의 음향특성으로 인해 발생소음도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표적인 방음대책은 소음기가 있으나 규모가 크고 테스트를 위한 경제적인 부담이 크므로 이론적, 해석적인 검토를 통해 Stack 소음기의 형태를 선정하고 실제 적용 현장에서의 소음기 성능을 측정하여 예측결과를 평가하였다. 산업용 Stack 소음기의 경우 소음기의 구조에 대한 문제 및 저주파 성분이 높은 Stack 소음 특성을 고려하여 조건에 적합한 +형 스프리터 소음기를 설계, 적용하였다. 현장측정결과 문제대역인 저주파 대역에서 뚜렷한 소음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 장치

  • 이종식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62-267
    • /
    • 1992
  • 이 글은 평면파 소음의 감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차모드로 전달되는 소음의 감소도 가능한 공 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장치의 개발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실험결과 개발된 능동소음제어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이 기 상품화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에 비해 손색없이 뛰어남을 발견하였다. 능 동소음제어장치는 앞으로 고도의 청정, 정숙환경이 요구되는 반도체공장, 방송국 등에 폭넓은 적용이 기대되며, 기존의 흡음처리 대책보다 설치, 보수 및 유지가 간편하다. 특히 덕트내 주요 소음원인 블로워의 소음특성이 저주파 부근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능동소음제 어기술의 공조덕트내 소음제어에의 적용은 매우 효과적이며 경제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ow Frequency Pass-by Noise for Road Vehicle (도로교통 소음원에 의한 저주파 소음실태)

  • 정성수;서상준;조문재;김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1a
    • /
    • pp.533-536
    • /
    • 2003
  • The Low frequency(1-200 Hz) noise levels radiated by road traff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ak pass-by noise of truck with speed of 60km/h was about 75㏈. For the infra-sound frequency range, the noise was about 65㏈ and it was less value than expected. But the noise level will be increase as increasing the speed. The pass-by noise for train was also measured for comparison. The peak train noise was about 95㏈ and it will be enough noise level for a human body to give nuisance.

  • PDF

열린 박스 구조물에 대한 적응형 PPF 제어

  • 정환수;윤영동;신윤덕;기창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9-109
    • /
    • 2004
  • 구조물에 있어서 진동은 소음을 유발하며 구조물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특히, 저주파 진동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유연구조물의 저주파 진동모드들을 우선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전세라믹을 작동기로, 압전필름을 감지기로 사용하였고, 능동 제어 알고리즘의 하나인 적응형 디지털 PPF(Positive Position Feedback) 제어기를 구성하여 유연 외팔 평판과 열린 박스 구조물에서 저주파 진동을 감소시켰다.(중략)

  • PDF

Low Frequency Noise of Daejeon Subway (대전 지하철 저주파 소음)

  • Jung, Sung-Soo;Suh, Sang-Joon;Seo, Jae-Gap;Jeon, B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5a
    • /
    • pp.887-890
    • /
    • 2007
  • The low frequency noise, including infra-sound is known to affect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Guidelines and measurement method of low frequency noise has been introduced in several countries in order to evaluate low frequency noise. In this work, low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Daejeon subway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noise level and spectrum in the interior of running subway car and the subway station. The interior sound pressure level of the passenger car was between 60 and 102 dB in the frequency range of $1{\sim}250$ Hz.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