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 환경

Search Result 1,05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y on Thermal Environmental Test for XKT-1 (KT-1 Export Version) Aircraft (XKT-1(수출형 KT-1) 항공기 열 환경시험에 관한 연구)

  • Kim, Jinseog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5 no.3
    • /
    • pp.105-113
    • /
    • 2021
  • This paper delineates the applied thermal environmental test profiles using test conditions and procedures based on MIL-STD-810 Method 501 (High Temperature Test Method) and Method 502 (Low Temperature Test Method). The test profiles have been optimized in order to comply with export customer's requirements and product reliability in high and low temperature environment for XKT-1 (KT-1 Export Version) aircraft. Additionally, the tests are suitable for large sized environmental chambers, which is one of the facilities of ADD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ccording to ETEMP (Environmental Test and Evaluation Master Plan). The results of these test profiles and test executions satisfy the customer requirements and product reliability. The present paper can be applied to the other export programs with more severe temperature conditions.

The Comparisons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 in Native Taraxacum spp. and Taraxacum officinale Seeds (자생 민들레류와 서양민들레 종자 발아특성 차이)

  • 안영희;최광율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3
    • /
    • pp.199-204
    • /
    • 2000
  • 최근 자연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생 민들레류의 감소와 서양민들레의 급속한 증가원을 종자 발아특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각의 종자는 무처리를 비롯하여 10일, 20일, 30일, 60일간의 저온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발아조건은 광조건과 암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자생민들레의 경우에 광조건하의 무처리 대조구에서 28%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60일간의 저온처리구에서 9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발아세와 평균발아기간도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와 광조건하에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좀민들레의 경우에도 민들레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30일 이상의 저온저리와 광조건하의 발아상태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서양민들레는 저온무처리구의 광조건에서 발아율 88.8%로 자생 민들레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양민들레 종자는 저온처리에 의핸 현저한 발아율 향상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고 발아율이 향상되는 자생 민들레류의 비휴면성인 성양민들에 비해 종 번식에 있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Beehives Number on Inside Temperature of Wintering Beehouse (저장봉군수가 저온양봉사 내부온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김란숙;이현우;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88-89
    • /
    • 2001
  • 꿀벌의 실내월동에 이용되는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외기온, 저장봉군수, 환기량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된 국내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성능 및 저장봉군수와 양봉사 내부온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상북도의 7개 지역에 설치된 월동용 저온양봉사(내부크기 폭4.5m×길이3m×높이3m)에 대하여 2000. 11. 25부터 2001, 2. 15까지 실내월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대상 지역은 포항, 문경, 상주, 칠곡, 성주, 영양, 안동이며, 지역별 저장봉군수는 각각 14, 74, 85, 110, 163, 170, 260군이다(Table 1). 꿀벌의 월동기간 중 안동과 성주지역을 제외한 5개 지역의 실내 월동성적은 폐사율이 10%미만으로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월동기간중 지역별 외기온을 분석한 결과,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안동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3.1℃와 -9.4℃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5.2℃와 3.8℃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포항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1.3℃와 -4.1℃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각각 3.1℃와 1.2℃로 나타나 저온양봉사 내부의 온도환경 조절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 또한 월동기간중 주.야간으로 양봉사 내.외부의 온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봉군수의 증가에 따라 주야간 모두 양봉사 내.외부 온도편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양봉사 내부의 주.야간 평균온도는 모두 꿀벌의 월동에 적정한 범위인 2℃-9℃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그리고, 월동기간중 외기온이 가장 낮은 시기(1월 13-19일)의 평균 외기온이 -8℃--9℃로 유사한 문경, 상주, 영양, 안동지역의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평균 내부온도는 각각 -2.0℃, -1.0℃, 0.2℃, 4.2℃로 나타나 저장봉군수가 증가함에 따라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온도가 증가하여 꿀벌의 월동에 적합한 온도범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동안 대부분의 저온양봉사 내부온도는 꿀벌이 월동하기에 적정한 온도범위(2℃-9℃)로 유지하였다(Fig. 1).

  • PDF

A Preliminary Study of Low Temperature Condition by Heat Exchanger (열교환기를 이용한 저온 환경 구축에 대한 기초 연구)

  • Lee, Yang-Suk;Yang, Jae-Joon;Kim, Yoo;Ko, Young-Sung;Lim, By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3-26
    • /
    • 2007
  • A preliminary, study of low temperature condition was performed to simulate high altitude condition. The mixed air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condition by experiments using cryogenic air by heat exchanger and normal temperature air. An experimental setup was constructed to simulate low temperature condition with liquid nitrogen. To control mass flow rate, orifice and pressure regulators were us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ixed air temperature increases linearly with mass flow rate of normal temperature air. Therefore it can be help to simulate a low temperature condition of high altitude.

  • PDF

Effects of Heat Transfer Area of Unit-cooler on Air Temp. & R.H in Low Temp. Storehouse (유릿쿨러의 전열면적이 저온저장고 온.습도환경에 미치는 영향)

  • Y, H.S;L, Y.O;C, H;L, H.D;P, W.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47-252
    • /
    • 2003
  • 우리나라에 보급된 상업용 저온저장고는 총 1,529개동에 239,732평이고 전국평균 가동율이 21.1% 밖에 되지 않아 규모상으로는 저온저장고의 공급이 과도한 상태에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양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은 접어두더라도 저온저장된 농산물의 손실이 10-30%에 이르고 있어 저장환경의 조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the Covering Method of Simple Ventilating Cover Material on Growth and Development, Yield, Quality in the Leaf Lettuce during Low Temperature (통기성 간이피복재의 피복방법이 저온기에 잎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안종길;빈기효홍;최영환;손병구;강점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96-101
    • /
    • 2001
  • 동계의 노지 및 무가온 시설재배시에 상추와 시금치 등의 엽채류 재배는 생육이 거의 정지되는 온도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온기의 불량환경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어 저온성 엽채류에 직접 피복할 수 있는 통기성 피복자재가 개발되어 생육촉진이나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나 피복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중략)

  • PDF

Responses in Osmolyte Accumulation to Chilling Stress in Cucurbits Plants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호박 식물체내 삼투조절물질의 축적)

  • Kang, Nam-Jun;Cho, Myeong-Whan;Choi, Young-Hah;Um, Yeong-Cheol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6 no.4
    • /
    • pp.303-308
    • /
    • 2007
  • An accumulation levels of osmolytes in chilling-tolerant and chilling-sensitive cultivar of Cucurbits against chilling stress were determined during chilling stress. Total soluble sugar contents in tolerant cultivar did not changes fur 10 days after chilling stress, but then slightly increased 20 days after chilling stress. In sensitive cultivar, it was increased rapidly in the beginning of chilling stress, and increased 3.4 times as much 20 days after chilling stress as compared with unstressed plants. Proline contents in tolerant cultivar was rapidly increased by the beginning of chilling stress, and then increased 26.6 times 20 days after chilling stress as compared with unstressed plants. In sensitive cultivar, it was increased 22.0 times 20 days after chilling stress as compared with unstressed plants. A levels of glycine betaine (GB) in tolerant cultivar increased 1.9 times as much during the 20 days of chilling stress. However, concentration of GB in sensitive cultivar did not change during the chilling stress. When plants were treated exogenous GB as a foliar spray, chilling tolerance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both cultivars. The foliar application of exogenous GB was induced chilling tolerance by accumulation of GB in the plant organs. However, it does not accumulate endogenous proline.

Construction of a High-Altitude Ignition Test Facility for a Small Gas-turbine Combustor (소형 가스터빈 연소기 고공환경 점화 시험 설비 구축 및 검증 실험)

  • Kim, Tae-Woan;Lee, Yang-Suk;Kim, Ki-Woo;Kim, Bo-Yean;Ko, Young-Sung;Kim, Sun-Jin;Kim, Hyung-Mo;Jung, Yong-W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4 no.3
    • /
    • pp.61-68
    • /
    • 2010
  • A small high altitude test facility has been developed to investigate ignition performance of a small gas-turbine combustor under high altitude conditions. Supersonic diffusers and a heat exchanger were used to perform a low pressure and a low temperature condition, respectively.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low pressure environment could be controlled by upstream pressure of primary nozzle flow and low temperature environment by mixture ratio of cooled air and ambient air. Ignition performance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under simulated high altitude conditions. Conclusively, it was proven that the test facility could be used for ignition performance test of a small gas-turbine combustor under high altitude condition of approximately 6,100m.

에너지 절약형 저온 저장 건축 환경 설비 시스템 설계 지침

  • 이의준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7
    • /
    • pp.5-13
    • /
    • 2000
  • 국내 농산물 저온저장고의 대부분이 건축 설비 설계 관리시스템의 체계적인 설계지침서의 미비로 말미암아 많은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전산 해석 simulation과 성능 측정 monitoring 및 현장 사례 연구를 통한 건축환경 설비 시스템 설계 운영관리 지침서를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