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 저장

Search Result 1,05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고습도 유닛쿨러를 사용하는 저온저장고의 배 저장효과

  • Yoon, Hong-Sun;Lee, Won-Ok;Jung, Hoon;Lee, Hy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0-140
    • /
    • 2003
  • 신선한 채소나 과일은 무게의 74~94%에 상당하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분은 자칫하면 빠져나가기 쉽다. 품질이 우수한 채소나 과일이라도 수분손실이 생기면 다시는 보충할 수 없기 때문에 겉껍질을 마르고 쭈글쭈글하게 되어 품질등급과 가격결정에 손해가 된다. 또 무게의 5~l0%까지 수분이 줄어들면 상품성을 잃게되고, 무게단위로 판매되는 채소와 과일은 수분손실이 곧 무게감소이므로 총수입도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채소나 과일을 수확 한 후에 수분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은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기존의 저온저장고들은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가 70~85%의 범위로 조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습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고의 바닥에 물을 뿌리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있으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농업기계화연구소에서는 저온저장고 내의 상대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닛쿨러를 '01년에 개발하였고,'02~'03년에 이것을 실제로 농가의 저온저장고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실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장연구에 사용된 저온저장고는 천안시에 있는 이진기 농가의 25평형 배 저온저장고 2동이었으며, 한 동은 시험구로 한 동은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2. 배의 저장온도는 0~-0.2$^{\circ}C$이었고, 상대습도는 대비 저온저장고의 경우 75~90% 범위에 있었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98%로 유지되었다. 또 냉각기에 생기는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는 전기히터의 작동시간은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7회, 회당 45분 씩 이었고, 신기술 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하루에 1회, 회당 30분 씩 이었다. 3. 배를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저장할 때 대비 저온저장고에서는 111일 동안에 11.7%의 중량감모가 발생하였으나,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서는 5.6%의 중량감모만이 발생하여 약 50%의 중량감모를 줄일 수 있었으며, 배의 색깔이나 경도도 대비구 보다 우수하였다. 4. 배를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와 비닐로 포장하지 않고 신기술투입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경우를 비교할 때 11월~다음해 1월 까지는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2월부터는 비닐로 포장하여 대비 저온저장고에 저장한 배의 품질변화가 급격히 증가되어 중량감모, 과피색깔 및 경도가 신기술 투입시 보다 급속하게 나빠졌다.

  • PDF

Development of Facility for Cur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 of Onion (양파 예건.저온저장 겸용기계장치 개발)

  • 김영민;김유호;윤홍선;최희석;조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80-286
    • /
    • 2003
  • 양파의 예건 및 저온저장에 소요되는 노동력 절감과 저장시 발생하는 부패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양파를 한 곳에서 예건과 저온저장할 수 있는 양파 예건ㆍ저온저장 겸용 기계장치를 제작하여 예건 및 저온저장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예건과 저온저장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양파 예건ㆍ저온저장 겸용 기계장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저장고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나. 예건시 설정온도가 38$^{\circ}C$, 저온저장시 설정온도가 $0^{\circ}C$일 때 온도분포의 표준편차는 각각 0.51, 0.12로 나타났다. 다. 설정온도 및 상대습도를 각각 38$^{\circ}C$, 65%RH로 예건시험을 실시한 결과, 예건 시간은 52시간 소요되었고, 감모율은 0.99-l.79%로 나타났다. 라. 설정온도를 $0^{\circ}C$, 70%RH로 저온저장한 결과, 저장고의 온도는 -0.5-1.5$^{\circ}C$, 저장고의 습도는 70-80%로 나타났다. 마. 관행(자연예건)방법과 시작기로 예건한 양파로 저온저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장기간 중 감모율은 저장초기부터 일정하게 증가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저장후 20일부터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50일 시점에서는 평균 3.16% 차이가 나타났다. 바 저장 중 부패율은 관행의 방법으로 예건한 양파에서 42일째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시작기로 예건한 양파는 저장후 90일까지는 부패된 양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New Model(Dome Type) Cold Storage Facility Using 3-D CFD Simulation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신모델(돔형) 저온저장고 개발)

  • 양길모;고학균;홍지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82-187
    • /
    • 2002
  • 국내 저온저장고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컨테이너 박스형 저온저장고의 문제점은 재래식 제어방식으로 인한 성능저하 외에도 자체 구조적인 설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축 방향에 설치되어있는 유니트 쿨러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고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냉기의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균일한 온도 분포를 이루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둘째, 한 축 방향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맞은 편 벽면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풍속이 강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저장 청과물이 냉해를 쉽게 입고 심한 증산작용에 의해 쉽게 표면건조나 중량감소를 가져온다. 셋째, 천장부와 측벽부가 90$^{\circ}$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에디현상으로 인한 온도나 풍속의 불균일 구간을 피해서 청과물을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버려지는 공간이 많아 비경제적이다. 넷째, 위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중ㆍ대형의 저온저장고를 컨테이너 박스형으로 설비 할 경우 보다 심한 온도 불균일과 냉기유동 분포를 보여 경제적인 손실이 더 커지게 되는 악순환을 낳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온저장고의 구조적인 설계상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3차원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저온저장고의 새로운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론 바탕으로 직접 저온저장고의 시작기를 개발하여 저장고 내부의 역 유동과 난류유통을 해석하였다. (중략)

  • PDF

포도 ‘켐벨얼리’의 예냉 및 저온 유통 기술 연구

  • 정대성;최선태;이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2-132
    • /
    • 2003
  • 포도 중 캠벨얼리 품종은 색이 검붉고 당도가 높아 우리나라 대표적인 품종 중에 하나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수확 후 저장 유통 중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예냉 조건 및 수송, 저장, 유통조건에 따른 품질조사를 비교실험하여 가장 안전한 저장 유통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2003년 8월20일경에 포도 주산지인 영천 농가에서 수화 한 후 바로 예냉처리를 하였다. 이때 사용한 예냉기는 원예연구소에서 개발한 시제작품을 사용하였다. 대조구로 무예냉을 두었으며 예냉 후 수송온도도 관행적인 상온과 저온(2$^{\circ}C$)로 구분 처리하였으며 저온온도별로도 함께 실험하였다. 포장단위도 2kg 와 5kg로 각각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예냉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예냉처리에 따른 호흡패턴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저장 중 중량감소율, 부패율 및 탈립율을 조사하였다. 포도 ‘켐벨얼리’의 수확 시 품온 29.5$^{\circ}C$를 적정 저장 온도인 2$^{\circ}C$로 저하시키는데 일반 저온 저장고에서 10시간 정도 걸리는 데 반하여 차압예냉기 이용시 3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예냉 포도의 처리구별 호흡량은 초기 6.65$m\ell$/kg/hr 였으나 상온무예냉 및 예냉 처리구의 경우에는 저장해가면서 급격히 증가되었고 저온에서는 무예냉의 경우에는 계속 증가되는 반면 예냉 처리구의 경우에는 포장 규격과는 상관없이 다른 처리구 보다 호흡억제 효과가 있었다. Ethylene 발생량 역시 호흡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어 예냉 시 과실의 품질 저하 요인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경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감소되나 저온 예냉 처리구의 경우가 초기 1.26N을 높게 유지하였고 자연중량 감모율은 상온저장 2주째 무예냉처리구 8.40%로 감소된데 비하여 예냉 저온 수송 구의 경우에는 0.25%로 매우 낮았다. 포도 ‘켐벨얼리’의 저온 저장중 부패율은 저장 2주째 상온 무예냉 처리구의 경우 19.8%이었으나 저온 예냉 처리구의 경우는 부패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탈립율 역시 상온무예냉처리구의 경우 53.5%인데 반하여 저온 예냉 처리구는 저장 4주경과 시까지 탈림과가 없었다. 당도 및 pH변화 역시 차압 예냉 후 저온 수송 처리구가 초기당도(12.0Bx)$^{\circ}$값과 초기 pH(3.8)를 저장 25일 경과시까지 유지하였다. 수확 시 높은 품온을 갖고 있는 과일을 산지에서 예냉 처리를 한 후 저온 냉장차를 이용하여 유통한다면 관행 유통 구조보다 고품질의 포도를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는 완숙된 고 당도(12.0~15.0Bx)$^{\circ}$ 포도를 수확 한 즉시 예냉 처리하고 저온 유통한다면 보다 신선한 과일을 소비자에게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Growth of Soybean Sprouts Affected by Period and Method of Seed Storage (원료콩의 저장 기간과 방법이 콩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Jeon, Seung-Ho;Lee, Chang-Woo;Kim, Hong-Young;Kim, Hee-Kyu;Kang, Jin-H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3 no.1
    • /
    • pp.21-27
    • /
    • 2008
  • Germination of soybean and growth of its sprouts should be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 and period of see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iod stored at cold room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ir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seeds, cv. Pungsannamulkong, were stored at $3^{\circ}C$ for 1 or 2 years, and by the three different storage methods of indoor, cold room, or transfer of indoor to cold room. Compared to the seeds stored for 2 years, one-year seeds had higher rate in hypocotyl of longer than 7 cm, root and hypocotyl lengths, and more hypocotyl fresh weight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resh weight. In the storage method experiment, one-year seeds stored at cold room and by transfer of indoor to cold room showed better growth, more lateral roots and fresh weights, although only two-year seeds stored at cold room did the same response, indicating that growth of soybean was affected by period and method of seed storage.

Edible Coating Effects on Storage life of ‘Niikata’ Pear (신고배의 저장성에 미치는 가식성 코팅제의 효과)

  • 양용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3 no.3
    • /
    • pp.216-220
    • /
    • 2002
  • In this study, edible coatings for ‘Niikata’ pears have been applied in order to provide an alternative way to control and extend market quality and shelf life during cold storage. Fruit treated with edible coatings had better effects on maintaining some quality features such as fresh weight, firmness and SSC content than non-coated fruits. However, non-coated fruits in terms of overall quality were better evaluated than fruit with edible film. It may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film thickness effect oil emulsion on fruit skin, unknown reactions between the fruit skin and functional groups in the chitosan structure and so on.

  • PDF

Comparison in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Sawdust Spaw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저장기간에 따른 Pleurotus ostreatus 톱밥 종균의 생산성 비교)

  • Lee, Yun-Hae;Chi, Jung-Hyun;Kim, Young-Ho;Yu, Seung-Hu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7 no.5 s.92
    • /
    • pp.319-321
    • /
    • 1999
  • The contamination rates of Pleurotus ostratus spawn after 120 days of storage at $5^{\circ}C\;and\;20^{\circ}C$ were 2.1% and 86.5%, respectively. Longer periods of storage resulted in longer culture periods at both temperatures. The yield of oyster mushroom produced from sawdust spawn stored at $5^{\circ}C$ was higher than at $20^{\circ}C$, and yield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s.

  • PDF

Effects of Heat Transfer Area of Unit-cooler on Air Temp. & R.H in Low Temp. Storehouse (유릿쿨러의 전열면적이 저온저장고 온.습도환경에 미치는 영향)

  • Y, H.S;L, Y.O;C, H;L, H.D;P, W.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47-252
    • /
    • 2003
  • 우리나라에 보급된 상업용 저온저장고는 총 1,529개동에 239,732평이고 전국평균 가동율이 21.1% 밖에 되지 않아 규모상으로는 저온저장고의 공급이 과도한 상태에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양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은 접어두더라도 저온저장된 농산물의 손실이 10-30%에 이르고 있어 저장환경의 조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refrigeration load calculation in a cold storage house (저온저장고 냉각부하분석 프로그램 개발)

  • Jeong, H.;Yun, H.S.;Lee, W.O.;Lee, H.D.;Cho,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38-246
    • /
    • 2003
  • 우리나라 농산물 저온저장고 설치비 중 70% 이상이 저장고내 열관리를 위한 자재와 설비에 소요되며, 저온저장고의 가동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므로 열관리 설비 및 에너지 비용의 최소화로 저온저장 비용을 절감화 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나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농업기술-저온 저장한 벼의 도정 후 품질변화를 방지하는 기술

  • 김영근
    • 농업기술회보
    • /
    • v.45 no.5
    • /
    • pp.46-46
    • /
    • 2008
  • 우리 쌀의 품질 향상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확기의 품질을 연중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장시설의 확충 등 벼 수확 후 품질관리 대책에 따라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벼 저온 저장시설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저장한 벼를 쌀로 만들기 위하여 도정할 때 관리를 잘못하제 되면 도정 후 쌀의 색깔이 변화되고 벌레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된다. 특히 여름철에 품질변화 현상이 많이 나타나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온 저장된 벼를 도정한 후에 쌀의 품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도정기술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