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부식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revice Corrosion Evaluation of Cold Sprayed Copper (저온분사코팅구리의 틈새부식 특성 평가)

  • Lee, Min-Soo;Choi, Heui-Jo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8 no.3
    • /
    • pp.247-260
    • /
    • 2010
  • The developement of a HLW disposal canister is under way in KAERI using Cold Spray Coating technique. To estimate corrosion behavior of a cold sprayed copper, a creivice corrosion test was conducted at Southwest Research Institute(SWRI) in the United State. For the measurement of repassivation potential needed for crevice corrosion, three methods such as (1) ASTM G61-86 : Cyclic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Measurements, (2)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plus intermediate Potentiostatic Hold method, and (3) ASTM G192-08 (THE method) : Potentiodynamic- Galvanostatic-Potentiostatic Method, were introduced in this report. In the crevice corrosion test, the occurrence of corrosion at crevice area was optically determined and the repassivation potentials were checked for three kind of copper specimens in a simulated KURT underground water, using a crevice former dictated in ASTM G61-86. The applied electrochemical test techniques were cyclic polarization, potentiostatic polarization,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s a result of crevice corrosion tests, every copper specimens including cold sprayed one did not show any corrosion figure on crevice areas. And the open-cell voltage, at which corrosion reaction initiates, was influenced by the purity of copper, but not their manufacturing method in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convinced that there is no crevice corrosion for the cold sprayed copper in KURT underground environment.

Analysis of Electrochemical Corrosion Resistance of Inconel 625 Thermal Spray Coated Fin Tube of Economizer (Inconel 625 용사코팅된 절탄기 핀튜브의 전기화학적 내식성 분석)

  • Park, Il-Cho;Han, Mi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1
    • /
    • pp.187-192
    • /
    • 2021
  • In this study, Inconel 625 was used as a thermal spray material to prevent dew point corrosion damage to the economizer tube, and sealing treatment was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arc thermal spray coating technology. Various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0.5 wt% sulfuric acid solution to analyz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thermal spray coating (TSC) layer. After the anodic polarization experiment, the degree of corrosion damage was determin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DS component analysis. When measuring the open circuit potential, the effect of the sealing treatment was confirmed through stable potential formation of the TSC+sealing treatment (TSC+Sealing). As a result of the anodic polarization experiment, the passivation region was confirmed in TSC and TSC+Sealing, and corrosion resistance was improved as no corrosion damage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SC+Sealing was the best when analyzing the corrosion potential and corrosion current density calculated by Tafel analysis.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cold-adapted humic acid degrading bacterium Pedobacter sp. PAMC 27299 from the Antarctic seashore (남극 해안으로부터 저온적응 부식산 분해 Pedobacter sp. PAMC 27299의 유전체 서열 해독)

  • Kim, Hye-Jin;Park, Jae Wan;Park, Ha Ju;Kim, Dockyu;Sul, Woo Jun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2 no.3
    • /
    • pp.388-390
    • /
    • 2016
  • Pedobacter sp. PAMC 27299 with humic acid cultivated on low temperature was isolated from the moss debris on the coast of the Barton Peninsula of King George Island of the maritime Antarctic region. Here, we present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edobacter sp. PAMC 27299, which contains 6,147,290 bp with a G+C content of 40.54%. PAMC 27299 may possess cold-adapted humic acid degradation enzymes with implication on global warming.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st Stainless Steel using DC Glow Discharge Surface Treatment in Seawater (DC 글로우 방전 표면처리를 적용한 주조 스테인리스강의 해수 내 전기화학적 특성)

  • Jeong, Sang-Ok;Park, Il-Cho;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105-105
    • /
    • 2018
  •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파이프 및 일반 구조용 고온재료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선박 및 해양플랜트 등의 고부가가치 산업에 사용될 경우 내피로성, 내구성 및 내식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해수 환경 하에서 스테인리스강은 재료 표면의 부동태 피막 파괴로 공식 또는 틈부식에 의한 국부부식을 초래하여 해양환경용 재료로 사용하는데 제한적이다. 플라즈마 이온질화는 저온에서 열처리가 가능하며 재료의 변형이 없어 스테인리스강에 널리 적용되는 열화학적 표면처리 기술이다. 플라즈마 이온질화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실시하여 스테인리스강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주로 적용하였으나, 저온-플라즈마 이온질화 처리 시 질소의 확산계수 증가로 표면에 S-phase 생성에 기인하여 부식 저항성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1-2]. 그러나 해수 펌프, 밸브, 스트레이너(Strainer) 등의 해양 환경용 기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조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플라즈마 이온질화 적용과 그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조용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플라즈마 이온질화 기술을 적용하여 공정온도에 따른 해수 내 전기화학적 부식 특성을 규명하였다. 플라즈마 이온질화 공정은 $25%N_2$$75%H_2$ 비율로 $350^{\circ}C{\sim}500^{\circ}C$의 공정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X-선 회절분석을 통해 공정온도 변수에 따른 표면에 형성된 질화층의 상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표면경도를 측정하여 기계적 특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 실험 후 표면 손상 형상 관찰, 무게 감소량 및 손상 깊이 계측을 통해 공정 온도와 부식 저항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타펠 분석을 통해 모재와 플라즈마 이온질화 온도 변수에 따른 부식 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Stress Corrosion Resistance in Duplex Stainless Steel Welds (2상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저온충격인성과 내응력 부식성에 관한 연구)

  • 김효종;이성근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1
    • /
    • pp.151-160
    • /
    • 1995
  • The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stress corrosion resistance at boiling MgCl$_2$ solution of GTA and SMA weld of duplex stainless steels have been investigated. The impact toughness was highest at the GTAW weld metal and lowest at the SMAW weld, which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MAW heat-affected zone. This was attributable to influence of austenite-ferrite phase balance, and the degree and nature of precipitation that occurred during welding. The SCC resistance of the weldment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base metal, whereas no difference in the SCC resistance was found between two different weldments.

  • PDF

Practical Study of the Thermal Efficiency Improvement and the White Plume Removal from Flue Gas by Fuel Additive Injection (연료첨가제를 이용한 열효율향상 및 가시백연 제거에 관한 연구)

  • 전상기;조승원;황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87-488
    • /
    • 2003
  •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고, 국민의 욕구수준 또한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될 계획으로 있어 이에 따른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또는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배기가스 중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배출농도 강화로 울산화력발전소에서는 최신의 배연탈황ㆍ탈질설비를 가동중에 있으나 황산 Mist가 주요원인으로 추정되는 Plume Opacity가 발생되어 오염물질 배출농도는 법적규제기준 이내로 배출되더라도 민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장에 적합한 연료첨가제 주입으로 Plume Opacity 발생원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배연탈황설비에서 발생된 저온부식 현상을 개선하고, 보일러 내 고온부식 등 연소장애 현상 개선을 통한 열효율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중략)

  • PDF

Corrosion Behaviors of Rebar in Low Temperature Mortar with Chloride and Nitrite (염화물 및 아질산염을 사용한 저온환경하 모르타르내 철근의 부식특성)

  • Park, Jung-Hoon;Ki, K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8-219
    • /
    • 2017
  •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t low-temperature environment curable cement mortar with chloride and nitrite as cold resistance admixture for rebar corrosion prevention. As a result, chloride was used using nitrite complex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corrosion performance of rebar was improved and mortar strength was promoted. The ratio of nitrite than chloride applied more than twice, corrosion of the reinforcing bars will not occur even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 cement hydration reaction will be promoted and mortar will prevent freezing damage.

  • PDF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 분리판 재료의 부식거동

  • 이충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5a
    • /
    • pp.21-21
    • /
    • 1998
  •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료전지는 우주선 동력윈으로서의 이용이래, 보다 실용적인 발전 시스템을 목적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저온형($<300^{\circ}C$) 과 고온형($500^{\circ}C<$)으로 구분된 수 있는데, 저온형 연료전지의 경우는 전극반응 특성상 귀금속 촉매가 필요한 데 비해, 고온형 연료전지는 이러한 귀금속 촉매가 필요없다는 점등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저온형에 비해 다양한 연료가 가능하고, 대형화에 유리함며, 고온 페열을 이용할 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FCFC)는 이러한 고온형 연료진지의 장점을 배경으로 현재 대규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주로 사용되는 Li-K, Li-Na와 같은 용융탄신엽은 고부식성 전해질로서 대부분의 금속이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CFC의 분리판은 셀간을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역할, 가스의 유로제공 및 가스 Sealing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분리판의 부식은 이러한 특성의 저하 및 전해질의 소모를 유발시켜 MCFC의 내구성에 커다란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Uchida 그룹은 MCFC의 분라판 재료 의 부식거동을 계동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Fe에 Ni 과 Cr을 첨가한 재료를 산화성가스 분위기하에서 $(Li+K)CO_3$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Ni과 Cr 둘다 20wt%이상 첨가시, 내식성융 가지는 결 과를 보고하였다2) 이 경우 보호피막으로서 NiO 와 $LiCrO_2$가 작용하는데, $LiCrO_2$가 용융탄산염 중에서 보다 안정한 것으로 부터, Cr의 첨가가 내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 단계 로서 Fe/Cr재료에 용-융탄산염 중에서 안정한 산화물을 형성하는 Al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였다. Al의 첨가는 더욱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발견되었고, 약 4wt%의 첨가로 충분한 내식성을 가지 는 것을 보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한 산화물에 의한 내식성 향상은 전기진도도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다읍 단계로서 Ti산화물의 반도체적인 특성을 이용하고자 제 4의 원소로서 Ti첨가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Fe/Cr/AVTi재료가 뛰어난 내식성을 가지는 것은 관찰되었으나, 전도도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현재 MCFC는 실용화를 위한 고성능화의 하나로서 가압하에서의 운전을 시도하고 있다. 이 러한 가압하에서의 운전은 기전력의 향상 및 전극반응의 촉진 등으로 출력의 향상을 가져오나. 현재 문제로 되고 있는 Cathode극인 NiO의 용해/석출 현상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해, 이에대 한 대책으로서 Li-K보다 NiO의 용해가 적은 Li-Na탄산염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Uchida그룹에서 개발한 FeiCr/AVTi재료와 현재 분리판 재료로 사용증인 SUS 310, S SUS 316재료에 대해. 산화성 분위기의 5기압까지의 가압하에서, Li-K, Li-Na탄산염에 대하여 부 식거동을 검토한 결과, 가압하에서 내식성이 향상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유로서는 가압하에서 용융탄산엽의 증가된 산화력으로 보다 치밀한 내식성 산화물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Li-K, Li-Na탄산염에서의 부식의 정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SUS 316의 경우 탄산염에 젖은 부분에서 내식성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이상부식현상이 관찰되었다. 재료간의 내식성 정도에서는 Fe/Cr/Al/Ti이 가장 내식성이 뛰어났으며, SUS 310 또한 뛰어난 내식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