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밀도 지단백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초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s Pilates Ma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Lipid Metabolism in Obese Middle-aged Women)

  • 백순기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108-117
    • /
    • 2020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구성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심혈관질환 및 관상동맥질환 등 각종 만성질환에 관심을 두고 있는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유지 및 증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비만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매트 운동프로그램군과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12주간 주당 3회 60분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신체구성과 지질대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신체구성에서 운동군은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신체질량지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질대사에서 운동군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심혈관계 및 만성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된다.

고혈압자의 고중성지방혈증-허리 표현형과 대사이상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Hypertriglyceridemic-Waist Phenotype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Hypertensive Adults)

  • 신경아;강명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13-120
    • /
    • 2023
  • 고중성지방혈증-허리(hypertriglyceridemic-waist, HTGW) 표현형은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혈압자를 대상으로 HTGW 표현형과 대사이상 사이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경기지역 종합병원에서 2018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 성인 고혈압자를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HTGW 표현형은 중성지방 농도 ≥150 mg/dL, 허리둘레 남성 ≥90 cm, 여성 ≥85 cm로 정의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HTGW 표현형 유병률은 17.9%였다. 연령과 성별,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HTGW군의 위험비는 NTNW군과 비교하여 낮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5.09 (95% 신뢰구간,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3.545~7.309), 높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1.68 (95% CI: 1.176~2.411), 높은 총콜레스테롤은 2.92 (95% CI: 2.009~4.235), 당뇨병은 3.39 (95% CI: 2.124~5.412), 고요산혈증은 1.85 (95% CI: 1.286~2.674)이었다.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HTGW 표현형의 곡선하 면적값은 전체 대상자 0.849, 남성 0.858, 여성 0.8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HTGW 표현형은 대사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이 있는 성인 고혈압자의 모니터링에 유용한 지표였다.

저밀도지단백질 수용체 결손 마우스에서 동맥병변 형성을 억제하는 콩잎 주정추출물의 항동맥경화 효과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Soy Leaves (Glycine max) Supplementation on Suppression of Atherogenic Lesion Formation in LDL Receptor-Deficient Mice)

  • 한종민;한장일;백승화;이화;박지선;조문희;박기훈;이우송;정태숙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88-389
    • /
    • 2008
  • PDF

성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 혈압 및 지질 조절률과 그 영향요인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 부선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6-41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ere first to identify the number of Korean adults achieving goals se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for hemoglobin A1c (HbA1c), blood pressure (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nd secondl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ack of goals attainment. Methods: The sample was 413 Koreans with diagnosed diabetes aged thirty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oals attainment for HbA1c, BP, and LDL-C were presented in percentages.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lack of goals attainment. Results: About 48% had HbA1c<7%, 48.2% had BP<130/80mmHg, and 34.1% had LDL-C<100mg/dL. Only 8.7% of the sample achieved all three parameters. In multivariate analysis, younger age, longer diabetes duration, insulin use, and abdominal obesity were associated with not meeting HbAlC goal. Smoking and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were associated with BP${\geq}$130/80 mmHg. No use of lipid lowering agents was associated with LDL-C${\geq}$100 mg/dL. Conclusion: Many Koreans with diabetes were not at goals for HbA1c, BP, and LDL-C. For optimal control, appropriateness of therapy and poor lifestyle habits should be assessed periodically and managed accordingly.

비만중년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 후 운동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training on Lipoprotein and Body Composition after 8 Week Calorie Restriction and Different Level of Aerobic Exercise among Obese Middle-aged Women)

  • 이창식;김용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운동 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목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중년 여성 30명이었다. 이들을 무작위로 10명씩을 절식만 하는 대조군, 절식과 40% 강도 운동을 하는 군, 절식과 60% 강도 운동을 하는 군으로 배정하였다.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부하 테스트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에 상응하는 최대심박수에 따라 실시하였다. 이 후 운동 중단 4주와 8주차의 신체적 변화 및 혈중지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 지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둘째, BMI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셋째, 체지방율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혈중 지질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콜레스테롤(TC)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성지방(TG)의 경우 40% 운동군,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경우 60% 운동군에서 운동직후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시기별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경우 40%, 60%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 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일 500kcal의 절식과 최대산소섭취량의 40% 운동과 60% 운동 강도를 8주간 실시하는 것은 체중조절을 위한 충분한 운동 강도와 기간이었다. 운동 중단을 하면 운동전 상태로 회귀하는 요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중단 후 4주 정도는 운동 효과가 아직 남아있으므로 운동을 그만 두더라도 적어도 1달 이내에 운동을 다시 시작하면 운동의 효과가 지속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에서 혈액 지질 수준과 체지방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Total Body Fat and Serum Lipids Concentrations in College Students)

  • 이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3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W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15명 여자 46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지방률,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률을 InBody 제조사 guideline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1군 남자의 비율은 26.7%, 여자의 비율은 10.9%였다. 세 그룹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신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는 세 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헤모글로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여자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알라닌전이효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남녀 모두 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지방 비율은 BM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체중, 총콜레스테롤, LDL-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인 총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총콜레스테롤을 종속변수로 하고 BMI, 체지방률, 헤모글로빈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체지방률과 혈청 지질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무용기반 저강도 복합운동요법이 당뇨노인의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Physiological Index of the Elderly with Diabetes According to Dance Based Low Intensity Combined Kinesitherapy)

  • 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83-694
    • /
    • 2018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에 있어서 저강도의 복합적 운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과 무용-동작활동이 갖는 방법론적 측면의 유용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 하에, 사전 동질성 검증을 거친 노인 당뇨환자에게 12주간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을 처방한 실험군(병행군)과 저강도 복합운동만을 처방한 대조군(운동군)의 공복혈당 및 혈중지질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복시 혈당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성지방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지 못한 제 2형 당뇨노인에 있어서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의 병행 효과를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국민학교 학동의 혈압에 관련된 요인분석 (Risk Factors in Relation to Blood Pressure in Schoolchildren)

  • 이동수;이경수;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45-359
    • /
    • 1993
  • 대구시내 1개 국민학교 4학년 284명(남아 144명, 여아 140명)을 대상으로, 1992년 5월에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체격, 체지방 및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혈액의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혈압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수축기 혈압은 103.5mmHg였으며, 남아가 104.1mmHg, 여아가 102.9mmHg로 남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확장기 혈압은 67.1mmHg이고, 남아가 66.6mmHg, 여아가 67.5mmHg로 여아가 약간 높았다.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총단백질, 요산, 혈당, R$\ddot{o}$hrer지수, 체지방 비율, 체지방 무게 및 제지방체중을 독립변수로 하여 상관관계와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축기 및 확장기혈압과 독립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아의 수축기혈압은 신장, 체중, R$\ddot{o}$hrer지수, 제지방 체중, 체지방 무게 및 중성지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여아의 수축기혈압은 신장, 체중, 제지방체중 및 요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남아의 확장기혈압은 체중, R$\ddot{o}$hrer지수 및 제지방체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여아의 확장기혈압은 체중, 제지방체중(p<0.01), 신장, 체지방무게 및 총단백질(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축기 혈압을 종속변수로 한 중회귀분석에서 남아는 R$\ddot{o}$hrer지수와 sodium이 유의한 변수였고, 여아는 요산, R$\ddot{o}$hrer지수 및 체지방 비율이 유의한 변수였다. 확장기 혈압에서 남아는 R$\ddot{o}$hrer지수가 유의한 변수였고, 여아는 총단백질이 유의한 변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의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R$\ddot{o}$hrer지수, sodium, 요산, 총단백질 및 체지방 비율 이었고, 그 중 R$\ddot{o}$hrer지수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었다. 따라서 고혈압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만, 식이 및 이와 관련된 생활양식의 개선과 이에 대한 보건교육이 요망된다.

  • PDF

무증상 성인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요소와 관상동맥 석회 수치와의 관계 (Association of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s with Ca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an Asymptomatic Adults)

  • 문일봉;손석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68-275
    • /
    • 2010
  • 관상동맥 석회수치(CACS)는 조직학적으로 동맥경화반의 총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관상동맥의 협착을 예측하는 지표와 향후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된다.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CACS검사를 시행한 1042명을 대상자로 심혈관질환 위험요소 및 관상동맥 석회수치와 Framingham Risk Scores(FRS)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CACS와 FRS는 남성(OR, 2.38; 95% CI, 1.83-3.11), 여성(OR, 2.12; 95% CI, 1.03-4.35) 모두 관상동맥 석회수치가 없는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CACS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다변량분석에서 여자는 연령(OR, 1.10; 95% CI, 1.06-1.15),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OR, 2.38; 95% CI, 1.04-5.44), 공복혈당(OR, 2.89; 95% CI, 1.16-7.21)이 남자에서는 연령(OR, 1.11; 95% CI, 1.08-1.14),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OR, 2.12; 95% CI, 1.28-3.50),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OR, 1.73; 95% CI, 1.17-2.55), 당뇨병(OR, 3.92; 95% CI, 1.73-8.89)이 관상동맥 석회수치의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노출관련 인자 (Pb, Hg and Cd Concentration of Blood and Exposure-Related Factors)

  • 오정숙;이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89-2099
    • /
    • 2015
  • 본 연구는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노출 관련 인자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9년과 2010년도 40세 이상 90세 미만의 총 2,0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에 따른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노출 관련인자와의 관련성과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고, 납, 수은, 카드뮴 노출 관련 인자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별 차이는 남성은 수은에서만 나타났고, 여성은 납과 카드뮴에서 나타났다(p<.01). 남성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별 혈중 수은 농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남성의 납에서 이상지질혈증 판정치가 정상보다 높게 나타났고,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여성의 납에서 이상지질혈증 판정치가 정상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남성의 납과 카드뮴의 혈중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p<.05), 여성은 카드뮴에서만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음주여부에서도 남성의 음주자가 비음주자보다 혈중 납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가구소득별 수은과 카드뮴의 혈중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혈중 중금속 농도와 노출관련인자와의 관련성은 연령, 흡연 및 음주,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 소득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