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류지 계획모형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Optimal Size and Location of Washland (천변저류지의 최적규모 및 위치선정을 위한 예비검토)

  • Kim, Hwan-Seok;Park, Min-Kyu;Park, Gi-Jung;Yoo, Chul-Sang;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9-83
    • /
    • 2009
  • 천변저류지는 침수시 피해가 큰 도시지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시구간의 상류 특정구간을 저류공간으로 이용하여 홍수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천변저류지는 하도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어진 규모 대비 첨두홍수량 조절효과가 다른 홍수방어대책에 비해 크다고 알려져 있어 유역종합치수계획이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에서 상당히 자주 주요 검토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GIS를 이용한 천변저류지의 가용입지를 조사하는 방법론 등은 상당한 진보를 이루었으나 이렇게 조사된 다양한 입지들 중에서 특정 보호대상 도시를 기준으로 가장 홍수조절 효과가 크고 경제성이 높은 입지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한 수문조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모의가 필요하므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때 천변저류지의 입지가 보여주는 위치와 규모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홍수조절 효과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면 상위계획단계에서 우선순위 등을 검토할 경우의 개략적인 해석수단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MM 모형을 이용해 홍수유출 및 하천수리 해석을 연계하여 수행하는 방법론을 통해 천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모형화하였다. 이때, 다양한 조건에서의 천변저류지의 위치 및 용량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모의함으로써 주어진 입지에 따른 최적 홍수방어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우수유출저감용 저류지의 간편설계기법 개발)

  • Lee, Jae-Joon;Kwak, Chang-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7
    • /
    • pp.693-700
    • /
    • 2008
  • Detention pond has an important role in peak flow reduction to mitigate flood damage. Design of detention pon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eliminary stage, and design stage in general. New development projects produce increased peak flow and flow amount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easily and simply.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is suggested in this study. Used design variables are peak flow ratio(${\alpha}$) and storage ratio($S_r$). ${\alpha}$ is the peak flow ratio of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of the basin. $S_r$ is a ratio of storage volume to total runoff volum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also proved. The simple procedure of detention pond design is propos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Simplified Computer Program for the Design of Size and Culvert Outlet in Detention Pond (저류지의 규모 및 방류암거의 설계를 위한 간편프로그램 개발)

  • Lee, Jae Joon;Ahn, Jae Chan;Kim, Byung 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7
    • /
    • pp.587-598
    • /
    • 2014
  • Recently runoff reduction facilities such as detention ponds were rarely used and limited primarily to cases. A specific installation criteria and method of design for runoff reduction facilities is insignificant in our country. Also it has difficult problems with quantification. A detention pond being installed at outfalls and generalized in our country is adopted as basic form with infiltration facilities because quantification index for runoff reduction facilities have not been developed. A processing of detention pond design has to determinate storage volume and outlet form is very complex and wasting human resources and time in the planning step. In this study, we have been unified FFC11-SimPOND being able to simply calculate size with simplified design method of culvert outlet and made a computing model (SimPOND-CO) for practical users.

Flood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Off-line Storage Basins in Nakdong River (낙동강유역에서의 천변저류지에 의한 홍수 저감영향 분석)

  • Han, Kun-Yeun;Cho, Wan-Hee;Baek, J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1-2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일 첨두를 갖는 가상의 균일하도구간과 홍수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낙동강유역에 대하여 Saint-Venant 방정식을 음해적으로 유한차분하여 수치적으로 해석한 수리학적 하도추적을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홍수파의 전달양상과 천변저류지의 홍수 저감영향을 분석하였다. 균일하도구간에 대한 적용은 천변저류지의 규모와 운영조건 그리고 설치위치에 따른 홍수 저감영향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천변저류지의 최적 규모 및 설치위치를 결정하는데 효과적인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낙동강유역에 대한 적용에서는 낙동강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근거한 계획홍수량으로 모의를 수행하였다. 낙동강 유역종합 치수계획 보고서에 제시된 10개의 천변저류지에 대한 모의를 통해 실제 낙동강유역의 홍수 저감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하천제방 계획시 경제적인 하천 제방단면 결정을 위한 참고 자료 및 효과적인 홍수피해 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the Stormwater Impoundments Volume Dependent on the Durations of Design Rainfall (계획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지용량의 산정)

  • Yun, Yeo-Jin;Lee, Jae-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415-426
    • /
    • 2001
  • After Disaster Impact Assessment(DIA) Program was particed, the wide variety of hydrological data are estimat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ritical storm duration to calculate the stormwater impoundments as the alternative of increasing runoff due to many developments. Critical storm duration is varied by a lot of hydraulic structures, drainage characteristics, temporal distribution of design rainfall, return period, and runoff models.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estimating the proper volume to design the stormwater impoundments are proposed to determine the required volu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ximum stormwater impoundments in accordance with the impoundment volume and rainfall duration by using the concept of storage ratio presented in the existing studies. The methods of determining the critical storm duratio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 the maximum load from the runoff hydrograph will be studied as analyzing rainfall-runoff using the various runoff models and observed data.

  • PDF

2D Numerical Simulations for Shallow-water Flows in the Channel with a Side Weir (측면 위어가 있는 수로의 천수 흐름에 대한 2차원 수치모의)

  • 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7-337
    • /
    • 2015
  • 홍수 저감, 생태계 복원, 위락 등 다양한 목적의 충족을 위해 강변에 저류지, 즉 다목적 유수지(detention basin)를 조성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하천에서 홍수의 발생으로 수위가 어떤 기준보다 높아지면, 흐름의 일부를 돌려 저류지로 보냄으로써 본류의 부담을 덜 수 있다. 이때, 흐름의 분기를 위해 설치되는 하천구조물 중 하나가 측면 위어(side weir) 또는 횡월류 위어(side discharge/overflow weir)이다. 하천의 계획과 설계에서 위어가 적용될 때, 위어에 대한 수위-유량 관계, 즉 그 형식과 제원에 적합한 유량계수(discharge coefficient)의 결정이 관건이 된다. 일반적인 위어와 달리 흐름 양상이 복잡한 측면 위어의 경우,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아직까지 해소되지 않아 실물 또는 3차원 수치 모형을 이용한 시험으로 수위-유량 관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결정된 수위-유량 관계는 1차원 또는 수심적분 2차원 모형의 내부 또는 외부 경계로 사용되며, 본류의 수위 증감에 따른 측면 위어의 횡월류량을 통해 저류지의 홍수 조절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측면 위어의 수위-유량 관계가 알려지지 않더라도, 저류지에 의한 홍수 조절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수치해법으로서 2차원 천수방정식에 대해 유한체적법을 적용하고, 흐름률(flux)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근사 Riemann 해법을 도입하였다. 먼저, 측면 위어가 없는 실험 조건에 대해 수로 내 한 측선에서 측정된 수위와 유량을 모의 결과와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때, 경계조건으로 상류 끝에 측정 유량을, 하류 끝에 측정 수위를 부여하였으며, Manning의 조도계수를 0.014로 설정하였다. 또한, 측면 위어가 설치된 수로에 대해 계산 영역을 340개의 삼각형 격자로 분할하고 측면 위어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조건을 두어 모의하였다. 측면 위어의 하류에 위치한 측선에서 측정치에 대한 평균 제곱근(root mean square) 오차가 수위에 대해 1.9 mm, 유량에 대해 $2.2{\ell}/s$로서 그림과 같이 모의 결과는 실험의 그것과 잘 일치하였다. 이로써, 측면 위어에 대한 수위-유량 관계의 수립을 위한 실물 모형 시험 없이 수심적분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저류지의 홍수 조절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2D Numerical Simulations for Shallow-water Flows over a Side Weir (측면 위어를 넘나드는 천수 흐름에 대한 2차원 수치모의)

  • Hwang, Seung-Y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1
    • /
    • pp.957-967
    • /
    • 2015
  • It was reviewed for the 2D numerical simulatio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lood control by detention basin, even if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for the side weir were not known. A 2D depth-integrated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finite volume method to the shallow water equations as a numerical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an approximate Riemann solver for the accurate calculation of fluxes. Results by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laboratory test for the cases of free overflow and submerged flow over a side weir between the channel and storage. The difference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discharge coefficients for the case of free overflow is very small. In addition, the results by simulatio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by experiments for the submerged flow over a side weir and its mechanism was reproduced well. Through this study the discharge coefficients of side weir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the 2D numerical model and a considerable degree of accuracy can be achiev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lood defenses by detention basins. Thus, it will be expected to apply this model practically to the plan of detention basins, the evaluation of design alternatives, or the management of the existing ones.

Analysis of the Appropriateness of Flood Prevention by Design Flood Discharges According to the Plan to Change the Channels of the Banpocheon and the Construction if the Reservoir Tunnel in the Sadangcheon (반포천의 유로변경 계획 및 사당천의 저류터널 건설에 따른 계획홍수량별 홍수저감 적정성 분석)

  • Hwang, Ingyu;Park, Kidoo;Park, Jongh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6-19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발생함에 따른 도시 저지대홍수의 대표적인 사례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 침수 발생과 배수위(backwater) 발생은 상류 저지대의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주된 원인 중 하나로 판단된다. 저지대 내수침수사례로는 서울 강남 및 서초 일대 지역이 대표적이며, 내수침수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치수 사업이 제안된 바 있다. 반포천의 경우 반포천 상류 저지대의 홍수 저감을 위해 중·상류 지역의 유역변경계획이 수립되었다. 또 한, 사당천의 경우 이수-과천 복합 터널을 건설, 홍수 저류지를 조성하여 도심지 상류 침수 저감 계획을 수립하였다. 반포천은 한강의 제1지류로서 제2지류인 사당천과 함께 대표적인 도시하천으로서 상습적으로 내수침수가 과거에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EC-RAS 모형을 사용하여 반포천 및 사당천의 계획홍수량 변화에 따른 반포천 유역 합류부에서 계획홍수위의 배수효과 발생 및 내수침수피해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Ecological Guidelines for Creation of Eco-washland (생태 천변저류지의 생태학적 조성계획기준)

  • Chun, Seung-Hoon;Choi, Jun-Gil;Yoo, Jeong-Ch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39-47
    • /
    • 2008
  • An eco-washland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ecause of role as flooding control and ecological park without social and ecological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regar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cological guidelines to create eco-wash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ecological guidelines necessary for engineering process to create eco-washland. A study site was the lower reach of Seokjang stream connecting to Yimjin river, a candidate of new eco-washland, and Kumsa area in Namhan river was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The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vegetation, fishes, and birds. Major veget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dominant species such as Salix koreensis, Salix gracylistyla,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communis, etc., formed physical conditions along with other land uses including open water, sandbar, cultivated land, etc. Dominant species of fishes were some species belonging to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and in case of birds Anser albifrons, Anas platyrhychos, Anas poecilorhyncha belonging to waterbirds and Paradoxornis webbinanus dependent to forest edge were dominantly distribu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wetland types associated with partially deep water and upland was the optimal eco-hydrological condition of washland.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in case of fish and Egretta spp. (spring season) and Anas spp. (winter season) in case of bird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e these wetland types. Finally, a detail planning criteria to create habitats of these target spec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pawning, breeding, feeding, resting, refuge, nesting,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