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관리

Search Result 1,57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al Option Valuation in the Refinery Industry

  • Lee, Yu-Tae;Lee, Chang-Gy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7 no.1
    • /
    • pp.171-19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물옵션이론을 바탕으로 정유회사의 가치평가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유회사는 가치평가를 위해서 회계적 가치외에 관리적 유연성(managerial flexibility)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DCF방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실물옵션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관리적 유연성은 회사관리자가 적용가능한 생산관리적 기법으로서 회사의 미래현금흐름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회사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DCF방법은 이러한 관리적 유연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여 회사의 가치를 저평가하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반면 실물옵션방법은 관리적 유연성을 가치평가에 있어서 주요 변수를 인식하기 때문에 정확한 가치평가의 수단이 된다. 옵션가격결정을 위한 기초자산은 크랙스프레드(crack Spread)이다. 크랙스프레드는 경유(heating oil)와 무연휘발유(unleaded gasoline)의 가격과 원유(crude oil) 가격의 차이를 나타내며 정유회사의 정유순익(gross refining margin)을 대표한다. 실물옵션방법에 의한 정유회사의 가치는 DCF방법에 의한 가치보다 두 배가 크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즉 관리적 유연성이 존재하는 회사의 경우는 가치평가에 있어서 실물옵션방법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평가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 PDF

Assessing climate change response on runoff and T-N loads of rice growing season shift using coupled SWAT-APEX model (SWAT-APEX 연계 모형을 이용한 벼 생육기간 조절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영향 평가)

  • Kim, Dong Hyeon;Jan,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0-2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APEX-Paddy 모형의 연계 모델링을 통한 대표 BMP(Best management practice) 적용, 정식시기 및 벼 생육기간을 고려한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농업용수의 관리 및 수질환경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저영향 영농활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구축하고 유역 내에 위치한 논 시험포장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및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APEX-Paddy 모형을 구축하였다. SWAT 모형과 APEX 모형을 연계하여 유역의 수문, 수질에 대한 정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저영향 영농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필드단위의 정확한 결과를 유역차원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연구에 사용된 APEX-Paddy 모형은 농촌진흥청과 Texas A&M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모형으로서 한국의 논 영농활동 및 담수환경을 반영하여 논에서의 유출 및 비점오염원을 모의할 수 있다. 연계 모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R2 (Determine of Coefficient), RMSE (Root mean square error), NSE (Nash-sutcliffe efficiency)를 사용하였다. 적합성 평가 지표를 분석한 결과, 유출량은 R2 평균 0.91, RMSE 평균 2.87 mm/day, NSE 평균 0.78로 나타났다. T-N 부하량은 R2 평균 0.74, RMSE 평균 59.3 kg/ha/day, NSE 평균 0.50으로 나타났다. 저영향 영농활동 관리방안을 위한 시나리오로 1) 논의 물꼬높이(BMP) 관리 적용, 2) 벼 생육기간 조절을 고려하여 기온변화에 따른 정식시기, 벼 생육기간 등을 조정하여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10개 GCM 모델의 RCP 8.5 시나리오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역차원의 미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꼬관리 BMP에 따라 담수심이 증가되며, 관개량이 감소하고 유출량 10.7%, T-N 11.2% 저감되는 것을 나타냈으며, 벼 생육기간 조절은 BMP보다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진 않았지만, 유출량 1.4%, T-N 3.1%의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두 가지의 저영향 영농활동 관리방안은 미래기간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수 및 물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모델링 결과에 의존한 것이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와 보완이 필요하다.

  • PDF

An Architecutre of Low Power MPEG-1/2 Layer-III Decoder Using Dual-core DSP (이중코어 DSP를 이용한 저전력 MPEG-1/2 계층-III 복호화기의 구조)

  • Lee Kyu-Ha;Lee Keun-Sup;Hwang Tae-hoon;Oh Hyun-O;Park Young-Chul;Youn Dae-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39-34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SP와 RISC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결합으로 구성된 이중 코어 DSP를 이용하여 휴대장치에 적합한 저전력 MPEC-2 계층-III 복호화기의 구조를 제안하고 실시간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와 시스템 제어 정보처리부로 나누어 병렬처리가 가능한 구조이다. 디지털 오디오데이터 처리부에서는 DSP의 강력한 산술연산기능으로 MPEG 복호화 알고리듬을 수행하며 시스템 제어부에서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장점인 저가, 저전력의 제어 기능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파일 관리, 비트스트림 제어를 담당하도록 구성된다. 입력부에서는 Multi Meadia Card(MMC)를 지원하고, PC와 호환 가능하도록 파일 관리 시스템으로 운용되며 직렬 통신의 데이터 전송과 16비트 해상도 및 최대 48kHz 표본화주파수로 스테레오 출력이 가능하다. 구현된 시스템은 이중 코어를 이용하여 DSP의 연산량 및 동작속도의 감소로 인한 저가, 저전력의 효과로 인해 휴대장치에 적합하다.

  • PDF

The Management of GIS Metadata for 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성을 고려한 GIS 메타데이터의 관리)

  • Lee, Seong-Jong;Lee, Soon-Hee;Ryu, Keun-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21-127
    • /
    • 1999
  • 지형공간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및 메타데이터에 관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모델의 개발과 표준 사양의 정의,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시스템 상호 운용성을 고려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 동향을 수용하며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지형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합메타데이터 저장소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설계된 메타데이터 관리자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기능 명세를 세부적으로 정의하여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의 관리방법으로써의 통합메타데이터저장소 시스템과 관리자의 기능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Quality Control on the BOD, COD, TN, TP of Water Quality Pollutant (수질오염물질 BOD, COD, TN, TP의 정도관리(I))

  • Park, Sun-Ku;Kim, Tae-Seung;Ryu, Jae-Ky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4
    • /
    • pp.312-317
    • /
    • 1999
  • Quality control was carried out the three analytes, BOD, COD, TN, TP of high and low concentration for thirteen laboratories. Evaluation values of Quality control was determined from average value which were made by six times test, repeatedly and periodically. This value had not only error ratio of within 5% from prepared sample value but also high precision of standard deviation, 0.44 (BOD, low concentration), 2.15 (BOD, high concentration), 0.12 (COD, low concentration), 1.63 (COD, high concentration), 0.35 (TN, low concentration), 1.99 (TN, high concentration), 0.05 (TP, low concentration), 0.14 (TP, high concentration). Upper (Lower) Warning Limit (ULWL) and Upper (Lower) Acceptance Limit (ULAL) values made from quality control chart. Three (5.30, 9.70, 5.30 mg/L) and five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n low and high BOD concentration, respectively. Two (41.00, 30.60 mg/L) and four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n low and high COD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le, other eleven laboratories appeared reliable data. One laboratory (0.70 mg/L) was over ULAL at low TN concentration, while other eleven laboratories had reliable values. In case of high TN concentration, eleven laboratories were over ULAL value, it should be focuced for improvement of reliability abou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N. Four (1.14, 0.45, 0.64, 1.49mg/L) and seven laboratories were over ULAL in low and high TP concentration,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