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고리 색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회화에 표현된 한국전통 복색(服色)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 이미경;김혜연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43
    • /
    • 2001
  • 색상특성은 각 계열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 으로 고명도.저채도 중심으로 황색계열과 청색계열 은 고명도 위주의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어 반하여 적색계열은 비교적 색조의 영역이 넓었으며 고채도 의 분포특성이 두드러졌다. 자색계열은 저명도.중 채도, 녹색계열은 고명도.저채도 중심이었다. 남.녀복의 색조유형으로서 여복에서는 white보다는 tone 중심의 색조특성이 나타났으며. 남복에서는 white를 제외한 tint의 색조유형이 많았다. 이는 당시대인의 백색지향 의식을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음양오행론의 배색원리에 의해 검토한 결과 여복 은 상생이 남복보다 낮게 집계되었으며, 반대로 파버 비렌의 색채조화의 배색원리에 의한 검토 철과는 남 복보다 여복의 적용수치가 높았다. 이것은 감각적인 색채조화 보다는 의례적인 성향이 좀 더 징한 남복이 서구의 색채조화의 척도에 적합하지 않은 결과로 추측된다. 전통복의 배색특성은 남녀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이고 있었다. 여복의 기본 복식구조인 저고리/치마 는 백/청색계열, 백/황색계열과의 배색이 중심으로서 면적대비 및 명도대비에 의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저고리의 배색은 유채색과 백색계열 의 배색으로 채도대비의 성향이 강했다. 남복은 황/백색계열. 백/청색계열로 명도의 차가 크지 않았다. 포/띠의 의복 구성에 있어서는 흑색 또 는 적.자색 등의 세조대(細條帶)로 인해 채도대비, 면적대비, 명도대비의 배색효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한 한국인의 색사용의 특정은 복식의 전면에 등장하는 백색지향과 음양오 행설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백색위주의 색사용은 인공미가 배제된 자연미의 추구에 기인한 것으로 토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착화된 한국의 색으로 볼 수 있다. 백색은 여러 색을 통합하고 배색된 색채들을 담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 으로 한국전통 복식의 배색특성을 주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회화자료를 근거한 것으로 풍속화의 변색 및 탈색에 의해 당시대의 정확한 색채규명이 어려우며, 실물작품이 아닌 도판을 통한 측 색으로 색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연구의 한계 점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초록저고리와 치마색의 톤 변화에 따른 한.미 여대생의 선호도 연구 (The Study in the Preference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with the tone Variation of Green Jacket and Skirt Color)

  • 강경자;김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7-609
    • /
    • 2006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 of col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dress according to tone variation of green jacket by Korean and American wome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students preferred skirt of vivid red color and light green jacket, but American students did not like it. Korean students did not like the skirt and jacket of same color, but American students preferred it.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preferred skirt and jacket of different tone. Korean students liked skirt of dull blue and jacket of light dull green, skirt of dark blue and jacket of vivid, dull green. American students liked skirt of vivid violet and jacket of vivid dull, dark green. They also liked skirt of light yellow and jacket of light green, light skirt of blue, violet and jacket of light, dull, dark green, skirt of dark blue and vivid, light, dull gueen, skirt of dark violet and jacket of dull, dark green.

  • PDF

한복 배색에 관한 연구 - 2005~2010년 치마, 저고리를 중심으로 - (Study on Color Coordination of Hanbok - Focusing on Chima, Jegori in 2005~2010 -)

  • 이경은;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9-121
    • /
    • 2013
  • Modern Hanbok uses newly different color coordination based on traditional color coordination and symbolic meaning. Thu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aspects of color coordination and symbolic meaning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as the data of corresponding period in the modern times. In order to investigate recent trend of preferred colors and color coordination of Hanbok,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of 2005~2010. When analyzing colors of Jegori(jacket), Wh, Y, B, YG, P and Gy series are shown in order. For trends for color of Chima(skirt), Pk, R, P, Gy and Bk series are shown in order. When you look into the color coordination of skirt and jacket on whole, color coordination of Pk-Wh represents the highest frequency. Color coordinations of Pk-Y, Pk-B, R-Y, R-G and Pk-G are followed in order. Color coordinations of R-YG, Bk-Wh, O-Y, P-Wh, Pk-YG, Gy-Y, R-Wh series and Gy-Wh are followed in order. When looking into characteristics of overall color coordination of Hanbok,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many opportunities to meet a variety of culture and various colors had emerged depending on individual taste and skin color in the modern times within the framework of basic colors of woman's 'Nokeuihongsang'(Green upper garment and red skirt) R-G, Y series, which are traditionally inherited. In addition, unlike existing traditional color coordination of five elements in the past, P, Gy and Bk series of color appeared in the skirt and Jacket. It could be affected by fashionable drama and films at that time and newly attempted colors ahead of fashion were reflected on the magazine. Therefore, it implied that it naturally gave new awareness of colors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width of selection of colors became diverse.

  • PDF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 속 등장인물의 복식 고찰 (Analysis of Clothing in a Painting Album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F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76-98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덕수6375)에 묘사된 남녀 등장인물의 복식을 분석하고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노신랑은 <전안례도>와 <교배례도>에서는 평소 관원으로 착용하던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그 외 <헌수례도>와 <접빈도>, <중뢰연도>에서는 패영 없는 자립에 옥색 포, 홍색 세조대를 둘렀다. 기럭아범은 자립에 귀 옆에 묶은 패영을 달고 흉배를 부착한 무문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성인 남자 자손과 하객들은 도포 등 당시의 대표적인 포 종류를 착용하였는데 특히 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철릭, 직령을 착용하고 붉은 색 띠와 청색 계통의 띠를 신분에 맞추어 착용하였다. 징씨(徵氏) 등 안내자는 중치막과 홍단령을 착용하였으며 어린 동자들과 시동(侍童)은 중치막을 착용하였다. 술을 따르고 음식을 나르는 총각들은 땋은 머리에 소창의(小氅衣)를 입고 성인들은 전립(氈笠)에 소창의를 착용하였다. 군영 소속의 세악수들은 소색 소창의에 흑색 전복, 그리고 허리에 남색 포대 등 군복을 착용하였다. 둘째, 노신부는 <교배례도>에서는 거두미와 초록원삼 차림을 하였고 <헌수연도>에서는 남치마·옥색저고리 차림이 확인되었다. 여자 자손들은 어여머리에 비녀와 반자, 진주댕기 등의 칠보장식을 하였고 다양한 색상의 저고리에 남색과 홍색, 옥색 등의 치마를 입었다. 남치마에 초록 장옷을 입은 부인도 확인되었다. 홍치마에 초록색 회장저고리를 입은 <교배례도>의 동녀(童女) 4명은 낭자머리에 비녀 꽂고 도다익 댕기를 길게 드리웠으며 칠보족두리를 썼다. 비자(婢子)들은 어여머리에 가리마를 썼으며 양반 부인들과 유사한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연했고 치마의 길이가 짧았으며 치마의 부풀림 정도가 약하였다. 기녀는 양반 부인과 비슷한 모습이었으나 색상이 덜 화려하였으며 어여머리에는 칠보장식이 없었다. 셋째, 주인공의 자립 착용, 철릭과 직령을 입은 하객들, 군영 소속 세악수 참여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의 주인공이 병조나 군영과 관련된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군영 악대의 전복의 소매 길이와 잠화 사용, 어여머리의 형태와 댕기, 저고리의 길이와 치마의 부풀린 형태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1760년대~1780년대로 추정하였다.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제1보) -여자 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실험 연구 - (A Visual Image Perception of Clothing Colors, Color Combinations of Borean Traditional Dress for Woman(Part I))

  • 이혜숙;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7-606
    • /
    • 1998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1) to evaluate the visual image of colored Korean traditional dress for woman 2) to analyze the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effect on the image perception using gestalt theory.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si-experimental with a between subjects desig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a response scale. The stimuli was consisted of 17 drawings of females wearing Korean tradinational dress, by using CAD simulation. A response scale consisted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he subjects were 1138 undergraduate students of Taejon city, Chungnam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Their responses to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1-test.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mage of the stimulus was consisted of the 4 different dimensions.(sociability, evaluation, visibility, attractiveness) 2) Clothing col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imag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dimension, visibility dimension and attractiveness dimension in the mono-color set. The blue showed the most positive image on the evaluation dimension, and the yellow and the gray showed negative image on the same dimension. The yellow showed the most salient image and the gray showed the least salient image on the visibility dimension. The red showed the most attractive image and the green showed the least attractive image on the attractiveness dimension. 3) In hi-color set stimulus, the perceived image was influenced by color combinations. The yellow blouse-the red skirt set showed the most sociable image on the sociability dimension. The blue blouse-the green skirt set showed the most positive image on the evaluation dimension. The yellow blouse-the red skirt set showed the most salient image and the blue blouse-the green skirt set showed the least salient image on the visibility dimension. And the red blouse-the yellow skirt set showed the most attractive image on the attractiveness dimension. On conclusion the visual image of Korean traditional dress wearer was affected by dress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 PDF

현대 착용한복의 색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Color Changes of Hanbok in Modern Times)

  • 김찬주;홍나영;유혜경;이주현
    • 복식
    • /
    • 제59권2호
    • /
    • pp.59-6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Korean women's traditional costume, Hanbok,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in terms of color coordination of Jeogori and Chima. Photos had been taken at wedding places and streets at 5 major cities(Seoul, Pusan, Kwangju, Daejon, Jeju) at two weekends of each season in 1999, 2001, and 2003. Total 1617 photos were used as final data. Data were analyzed by hue coordination and value level. Hue coordination exist in one-color and two-color coordination. In one-color coordination, red color(R & RP)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blue green(BG) was the next, and the least was blue purple(BP) for each year. In value scale, high level was the most frequent and followed by middle level and low level. Pink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r one-color coordination. In two-color coordination, white and blue were widely used for Jeogori and red and blue far chima for each year, which seemed to be the basic color coordination for Jeogori and Chima. While there was a certain basic color coordination types across year, but a few new color coordination appeared each year and maintained as popular color coordination for one or two year.

한국 양잠부녀자의 의복변천에 관한 연구 (The Clothes Tendensy of Korean Sericultural Women)

  • 이양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11호
    • /
    • pp.87-94
    • /
    • 1970
  • 양잠농촌 부녀자들의 의복 꼭 변천과정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임의로 선택한 양잠농촌부녀자 총 183 명을 대상으로 1961년∼1969년까지 3년간에 걸쳐 신조한 의복(양복 한복)을 조사하여 연령별 연도별로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복신조율은 한복에 비하여 2배정도 높았으며 젊은 층일수록 이 비율이 높았다. 연도별로는 점차양복이 한복에 비해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의복의 유형은 양복에서는 브라우스, 원피스, 스카트가 대부분이었고 한복에서는 저고리와 치마가 거의 전부를 차지하였다. 년도별로는 점차 원피스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의복 제조방법은 자가 제조나 기성복은 적었고 대부분이 맞춤이었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자가제조와 기성복은 연장자일수록 젊은 층보다 더 많았다. 4. 착용 계절별로는 양복은 하절에 한복은 동절에 많았고 복종별로는 하절에는 원피스 춘추에는 투프스가 많았으며 치마는 계절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의복종류별로 보면 양복은 폴리에스텔과 이의 혼방물이 가장 많았고 견직물이 가장 적었으며 한복은 이와 반대로 견직물과 견사혼방물이 많았다. 년도에 따라서는 합성섬유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6. 기호색은 양복에서는 백색, 청색, 갈색, 흑색의 순이었고, 한복은 백색, 청색, 녹색, 회색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젊은 층일수록 색의 선택이 다양하였고, 연도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CAD SYSTEM을 이용한 한복의 기성복 설계에 관한 연구(I) -여아 색\ulcorner 저고리 및 치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ostume Pattern Design Using CAD System(I) -With Concentration on the Girl's Color-Strip Blouse & Skirt-)

  • 조영아
    • 복식
    • /
    • 제19권
    • /
    • pp.105-125
    • /
    • 1992
  • The research, aiming an automatic pattern design of Korean Costume by utilizing CAD system, tried Grading, Seaming and Marking with a theme of girl's color-strip blouse & skirt. The content & conclusion of the research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As w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ostume which becomes more likely celebrational or festival costume, while the demand of it is getting increase, it's being dealt mostly as ready-made dresses with different qualities & designs. Especially childrens ready-made ones were highly demanded to be picked up as the theme. 2) For the original drawing of children's color-strip blouse & skirt, Kyung-Ja Park's drawing method was used here, and for the substitute of particular body parts absolute size, Joo-Won Lee's standard size chart from a size-study by ages. 3) To work with CAD system we had input master pattern, drawn for age 5 as basic size, then graded six step-sizes for 1-11 years old. For add-subtract of particular body parts size, we graded through computing the standard variation among items to get the pattern developed into ready-made standard size, we can make precise plotting by grading wanted size very rapidly if we correct the rule of changed items different from standard size to make utilization possible enough with easy order method of ready-made Korean Dress. 4) We produced Marker after attaching a margin to seam accordingly by parts for each pattern using P/D/S to mark, In mass gament-cutting, the loss of time and material can minimized. In this research the apparel CAD system which has been utilized and only be western fashion industry was introduced for the design of ready-made Korean costume and utilized it in Grading, Marking which are critical step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have reported the result in the research. Thus we expect that less cost, improved productivity and better quality with minimized loss of material from marking as well as from prompt and precise size-drawing. Furthermore the utilization of CAD system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one in terms of the research & the development to remove effective one in terms of the research & the development to remove irra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of Korean costume as well as in terms of the study of Korean Costume development through creative works of Korean Costu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