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현간격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Kim, Eun-Hee;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5 s.82
    • /
    • pp.543-552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posteroanterior(PA) cephalograms obtained by two methods, the Head Posture Aligner(HPA) method in natural head posture and the conventional method(operator-guided method), and to compare the vertical rotational differences of the head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according to the method. The sample was consisted of 30 adults. At first day, a PA cephalogram and a lateral cephalogram were obtained from each subject by two metho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Two weeks later, another PA cephalogram was obtained using each metho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head posture. Five height measurements and nine width measurements were used in the paired t-test to compare the reproducibility of the PA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two methods. The differences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were calculated from a computer program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us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operator-guided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revealed low reproducibility. 2.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HPA metho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presented high reproducibility. 3. In the comparison of width measurement, two methods did not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reproducibility. 4.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showed $0.8^{\circ}$ in the HPA method, more less than $2.5^{\circ}$ in the operator-guided metho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HPA may be helpful in the PA cephalometric radiography in terms of reproducibility.

  • PDF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차이 및 재현성에 관한 연구)

  • Song, Jin-Myoung;Lee, Ki-Heon;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5 s.112
    • /
    • pp.341-3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vortical head rotation an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natural Head posture (NHP) according to two guiding methods, the head posture aligner (HPA) method and the solf balance posture (SBP)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30 adults. On the first day. lateral and fron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through the two guiding methods. One mouth later. lateral and fron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again through both guiding methods. The degrees of vertical head rotation of both guiding methods were compared and the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for each guiding method. A comparison of the degrees of vortical head rotation for the two methods revealed that the vertical head posture was lower in the SBP method than in the HPA method by an average of $2.79^{\circ}$. All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HPA and SBP methods with a time interval of one nor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ierence in lateral and frort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BP method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HPA method in case the HPA method can not be applie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hair Absorption Characteristics (의자 흡음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Young-Ji;Koo, JaeOh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4
    • /
    • pp.282-287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the combination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atre chairs. One-tenth scale model chairs and listeners that closely approximated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full scale theatre chairs were used to measure the interactive effects of the test variables on the chairs absorption characteristics. The test variables were the type of chairs, the row spacing, as well as the presence of people and carpet. The variations of absorption increments with varied row spacing tended to be smallest when the chairs were less absorptive, i.e. with less carpet or occupants. The incremental effects of adding occupants or carpet averaged over three row spacings varied over frequency.

Cell Spacing using the Theoretical Inter-arrival Time Method in ATM Networks (ATM 망에서 논리적 출발시간을 사용한 셀 간격 제어)

  • 남재현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7 no.4
    • /
    • pp.174-181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ethod for the TIT (Theoretical Inter-arrival Time) was suggested in which it saves the cells by using the data buffer in the system rather than by using one separately from the internal controller, and it also releases these cells saved. The method of TIT complements the defect of the accumulation of the delay in the method of RDT which considers the time of the cell that is discharged from the established cell interval controller. And, in order to apply the merit of RDT, the method of TIT sets its standards on the cells arrival time as it was in the method of RAT.

  • PDF

Analysis of flow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ing a Nacl (Nacl을 이용한 이동.확산특성 분석)

  • Kim, Ki-Chul;Park, Geon-Hyeong;Jung, Sung-Hee;Lee, Jung-Lyul;Suh,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7-4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안내 오염물질 이동 및 확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조파모형장치를 제작하고 Nacl을 이용한 염료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실내조파모형장치를 이용하여 재현된 조석파는 주기 2초, 파고 3cm의 일정한 주기와 파고를 형성하는 규칙파로 재현하였다. 또한 반사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류단에 감쇄역을 설치하였으며 유속의 변화에 따른 염료의 이동 확산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일조건에서 유속변화를 달리하여 2회 실험하였다. 또한 추적자로 사용된 Nacl은 실험전 일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적자의 실시간 농도관측을 위하여 세창인스트루먼트 제품 CPC-401(휴대형 다항목 측정장치)을 방출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4개 지점에 설치하여 1초간격의 농도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CPC-401의 농도데이터 분석결과 염료의 이동 방향은 방출지점에서 하류단 지점으로 이동하였으며 유속의 변화에 따른 최대농도 값의 변화는 적었으나 염료의 지속시간 변화는 뚜렸하게 나타났다. 이는 난류확산 보다는 유속 변화로 인한 이류가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Kissing of Sub-conductors due to Magnetic Forces in a 154 kV Bundled Overhead Transmission Line (154 kV 복도체 가공송전선로에서 전자력에 의한 소도체간 접촉)

  • Kim, Sang-Beom;Noh, Hee-Won;Kim, Young-Hong;Ko, Kwang-Man;Park, Jong-Hyuk;Kim, Sang-Soo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2 no.3
    • /
    • pp.383-389
    • /
    • 2016
  • Kissing of sub-conductors due to magnetic forces has been investigated in a 154 kV bundled overhead transmission line. With increasing ampacity of the conductors and enlarging the distance between spacers, lager magnetic force was measured. When the phase ampacity was 2,000 amps and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spacers was 68 m, for instance, the conductors became unstable and vibrated with a frequency of several herts. Furthermore, when the ampacity was 2,250 amps and the distance between spacers was 136 m, the two sub-conductors were contacted. Analysing the magnetic forces with distance of spacers, the safe distance of spacers to avoid contact of sub-conductors was presented. The change of the safe distance is discussed due to various parameters, such as residual stresses and wind pressures, in the real transmission lines.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anlysis using EFDC Model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에서의 EFDC 모형에 의한 수질해석 적용성 평가)

  • Choi, Hyun-Gu;Park, Se-Jin;Rho, Hong-Sik;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2-142
    • /
    • 2012
  • 지금까지 국내 연구에서 EFDC 모형의 활용은 WASP 모형과 연계하여 저수지 수리해석에 주로 이용되었으며, 하천의 수리해석에서도 많이 활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FDC 모형의 Full 버전을 이용하여 하천 수질모델링을 수행하고 적용성과 수질해석의 재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의 8일 간격 실측자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대상구간을 낙동강 본류 C에서 낙동강 본류 K까지를 선정하였고, 2차원 수리해석과 수질해석을 수행하였다. 수리해석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량을 실측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수질인자는 수온, COD, TOC, DO, TN, TP에 대해 모의하였으며, 모형에서 직접 계산되지 않는 BOD는 COD와 환산을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산정하여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EFDC 모형의 하천에서의 수질해석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의 결과와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수리 수질해석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EFDC를 이용한 수리 및 수질 모델링의 모의의 예측결과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나, BOD의 경우 다른 인자들의 모의결과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COD나 TOC와 관련된 BOD의 환산에 대한 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보이며, 향후 보다 향상된 기법을 이용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검증을 위한 실측치로 8일 간격 실측치를 이용하였는데 이 자료의 경우 8일 간격이므로 실제로 결측치가 많이 발생을 하고, 또한 유량이 많이 발생하는 홍수기시에는 관측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실제로 자료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모의 결과가 실측치의 경향을 잘 쫓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의결과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일간격의 실측치를 확보하거나 또는 결측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coastal city flooding in 2D and 3D considering extreme conditions and climate change (극한 조건과 기후변화를 고려한 2차원 및 3차원 해안 도시 침수 해석)

  • Jaehwan Yoo;Sedong Jang;Byu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6-126
    • /
    • 2023
  •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기후변화로 전국 각지에서 돌발성 호우와 태풍의 강도 및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국가시설이 위치한 해안 도시의 2차원 3차원 모형을 통해 극한 조건하 침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해양수산부 "2019년 전국 심해설계파 보고서"를 기반으로 극치분포 중 Weibull 분포를 이용하여 극한 조건, 1,000년부터 1,000,000년 빈도의 재현기간의 파도 높이와 풍속을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를 SWAN(Simulating WAves Nearshore)의 입력값으로 해상에서 100m 간격의 파고 높이를 계산하였다. 이때 100m 간격으로는 방파제 지형을 정확히 해석하지 못하였기에, 상세파고 계산을 위한 Nesting 기법을 이용하여 20m 간격의 파고 결과를 도출하였고, 해안 도시 인근 해상에서 10.916m의 파고를 예측하였다. 또한, 예측된 파고를 이용해 EurOtop(2018) 매뉴얼의 경험식을 기반으로 연구 유역으로 유입되는 월류량 계산에 사용하였다. 결과로 16방위 중 SSE 방향, 1,000,000년 빈도 재현기간 조건에서 0.0306cms/m의 월파량을 예측했다. 예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2차원 침수해석은 FLO-2D 모형, 3차원 침수해석은 FLOW-3D 모형을 이용하였다. 2차원 침수해석 결과 주요 지점에서 0.18~0.33m의 침수가 예상되었고 3차원 침수해석 결과 동일한 지점에서 0.240~0.333m의 침수가 예상되었다. 모의 결과 2차원과 3차원 모형 간 침수 예측 결과가 0.3cm에서 6.1cm의 차이를 나타내어 모형 구축이 합리적으로 이뤄졌다고 판단하였으며 연구 유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에 위치한 주요 도시지역과 국가 주요 시설물에 대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피계획 등 재난예방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음으로 예상된다.

  • PDF

Optimal Design of Drainage Pipe Considering a Distance of Storm Water Grate Inlet in Road (도로의 빗물받이 간격을 고려한 우수관거 최적설계)

  • Chang, Dong-Eil;Lee, Jung-Ho;Jun, Hwan-Don;Kim, Jo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53-58
    • /
    • 2008
  • This study presented a design model optimizing a distance of inlet with drainage pipe laid under the gutter in road. When the distance of inlet changed, a basin for the gutter divided by the distance of inlet and the inflow coming into the gutter would be changed. In this case, the change of inlet distance causes the change of a diameter of drainage pipe and slope because of the change of capacity. Therefore, the optimization is needed to design the combination of them for the distance of inlet.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m. The conditions of road and the precipitation were assumed like a real and the range of inlet distance adopted $10{\sim}30\;m$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domestic. This model presented the optimal distance of inlet and the combination of pipe and slope through the minimum cos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optimal distance of inlet is different from each slope of road and it can reduce about 20% of total cost for the distance of inlet.

DAPSM algorithm that improve Power Save Mechanism in 802.11 Ad­-Hoc Networks (802.11 Ad­-Hoc 네트웍에서 Power Save Mechanism을 개선한 DAPSM 알고리즘)

  • 박재현;김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09-111
    • /
    • 2003
  • 최근 무선 네트워킹 장치들이 등장 하면서 제한된 배터리에 의존하는 무선 호스트들의 전력 절감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특히 Ad­Hoc에서 배터리는 제한된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무선 호스트에 의해서 소모되어지는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MAC 과 라우팅 에서 전력 절감을 이루기 위한 논문들이 기존에 발표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IEEE 802.11 표준의 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에서의 전력 절감 메카니즘을 향상 시킨 논문 이다. DCF를 위한 IEEE 802.11 전력 절감 메카니즘에서는 비콘 간격 이라는 시간으로 나누어지며 또한 이러한 각각의 비콘 간격이 시작될 때 각각의 노드들은 ATIM 창 동안 깨어 있어야 한다. 물론 모든 노드는 같은 시간에 깨어 있기 위해서는 동기화 되는 것이 필요하다. ATIM 창 동안 노드들은 비콘 기간 동안 깨어 있는 상태로 있을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control packet을 교환 한다. 이러한 ATIM 창 크기는 각각의 노드들의 전력절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논문은 ATIM 창 크기를 동적으로 증감시켜서 보다 에너지 효율을 발휘 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