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Design of Drainage Pipe Considering a Distance of Storm Water Grate Inlet in Road

도로의 빗물받이 간격을 고려한 우수관거 최적설계

  • 장동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이정호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 전환돈 (한밭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a design model optimizing a distance of inlet with drainage pipe laid under the gutter in road. When the distance of inlet changed, a basin for the gutter divided by the distance of inlet and the inflow coming into the gutter would be changed. In this case, the change of inlet distance causes the change of a diameter of drainage pipe and slope because of the change of capacity. Therefore, the optimization is needed to design the combination of them for the distance of inlet.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m. The conditions of road and the precipitation were assumed like a real and the range of inlet distance adopted $10{\sim}30\;m$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domestic. This model presented the optimal distance of inlet and the combination of pipe and slope through the minimum cos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the optimal distance of inlet is different from each slope of road and it can reduce about 20% of total cost for the distance of inlet.

본 연구에서는 도로 측구에 매설된 우수관거와 함께 빗물받이 간격을 최적화하는 우수관거 최적 설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빗물받이 간격이 변화하면 각 측구에 대한 유역면적이 변화하게 되며, 각 측구로 유입되는 유량을 또한 변화시키게 된다. 각 측구로 유입되는 유량이 달라질 경우 하부에 매설된 우수관거의 필요용량이 달라지므로 관경의 변화가 요구되는 결과를 낳는다. 즉 빗물받이 간격이 달라진다면 빗물받이 개수, 각 우수관거의 관경 및 연장, 그리고 관거별 경사 등의 설계조합이 달라진다. 그에 따라서 최소비용을 위한 빗물받이 간격 별 우수관의 설계조합은 최적화를 통하여 해결해야한다.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하는 빗물받이 간격 및 우수관의 설계조합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도로의 조건들은 실제도로에 맞게 가정하였으며 강우조건은 서울지방의 재현기간 10년 지속시간 1시간 강우를 사용하였다. 현재 하수도 시설기준 및 여러 기준에 의해 포괄적으로 소개된 빗물받이 적정 간격은 $10{\sim}30\;m$이므로 본 모형을 이용한 빗물받이 최적 간격에 대한 해의 탐색은 이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도로의 경사조건에 따른 빗물받이 최적간격과 우수관의 최적조합을 최소 건설비용을 통하여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의해 획득된 결과에 의하면 노면경사에 따라 최적 빗물받이 간격이 다르며 빗물받이 간격에 따라 공사비용을최대 20% 감소시킬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1) 도로설계편람
  2. 김재권, 김정수 (2006) 횡유입부의 차집효율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pp. 260-266
  3. 대한건설협회 (2007) 건설적산
  4. 이종태, 윤세의 (2003)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능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465-480
  5. 토지개발공사 (1999) 단지설계법
  6. 환경부 (1998) 하수도시설기준
  7. Goldberg, D.E. (1990) Genetic Algorithms in Search, Optimization and Machine Learning. Addison-Wesley, Reading, M.A
  8. Holland, J.H. (1975) Adap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Univ. MI Press
  9. John Hopkins University (1956) The design of storm water inlets. Baltimore, Maryland, USA
  10. Rollin, H.H. (1994) Improvements in curb-opening and grate inlet effici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471, pp. 24-30
  11. Russam, K. (1969) The hydraulic efficiency and spacing of BS road gulleys. RRL report LR 27, Road Research Laboratory, Ministry of Transport, Crowthome, Bershire, UK
  12. Wong, T.S.W.(1997) Effect of maximum flood width on road drainage inlet spacing. Water Science Technology, Vol. 36, No. 8, pp. 241-246 https://doi.org/10.1016/S0273-1223(97)005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