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 유형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raits of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in 20th Century Korea (20세기 한국의 농업기상재해 특징)

  •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5 no.4
    • /
    • pp.255-260
    • /
    • 2003
  • Recently, both climate change and unusual meteorological disasters are becoming a more frequent and serious threat to agricultural production. Destruction of the stabilizing bas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Korea is a concern.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tabilizing agricultural production by clarify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of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have occurred recently in Korea. The occurrence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40s. A 19-fold increase in occurrence is noted over the past 60 years from 1941 to 2000.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mostly in August, then in July, and least often in October, In terms of regional occurrences, the frequenc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was the highest in Gangwon (751 times) and in Jeonnam (703 times) provinces, and the lowest in Jeju (459 times) province for the 97 years from 1904 to 2000.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which caused the most serious damage to cropland were rain storms and typhoons for the 10 years from 1991 to 2000, and they occurred 52 and 18 times during this period, respectively.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mainly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June to September) when major crops are cultivated in Korea.

Analysis of Fatal Accidents in Different Project Types (프로젝트 유형별 중대재해 발생현황 비교분석)

  • Choi, Seung-Mo;Lee, Dong-Eun;Son, Ch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714-71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that may be useful for establishing safety policies involved with safety plan, program, and control relative to fatal accidents in construction job site. The fatal accident investigation database maintained by Korean Production Household Mascot Safety Industrial Complex is accessed. The 5 years fatal accidents occurred in 2002 to 2006 were analyzed. The statistic relative to the fatal accidents in different project types is obtained using different classifications such as occupation, years of experience, accident type, and time in a day.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policy so as to enhance worker safety.

  • PDF

화재안전 및 보험상식 - 여름철 풍수재해 위험관리 및 보험

  • 한국화재보험협회
    • 방재와보험
    • /
    • s.141
    • /
    • pp.58-59
    • /
    • 2011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최근 50년간 집중호우일수가 50% 증가하고, 강우패턴 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총 피해액은 연평균 2조 9천억 원에 달하는 등 풍수재로 인한 피해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 발생되는 태풍이나 홍수에 의한 자연재해로 보험사고가 빈번하여, 이번 호에는 여름철 풍수재해 위험 관리 및 재해유형별 보험상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amage Analysis of Natural Disasters for Each District (자연재해에 따른 지자체별 피해유형 분석)

  • Jun, Hwan-Don;Park, Moo-Jong;Kim, Guen-Young;Kim,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01-305
    • /
    • 2007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연재해는 호우와 태풍을 들 수 있다. 전 세계적인 온난화의 영향으로 호우와 태풍의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매년 발생하는 피해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며 공공부문의 피해 또한 크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대비책이 필요하며 대비책의 수립에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방안보다 지자체별 피해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서 지차체별 피해규모와 발생횟수를 지역적 특성과 함께 분석하여 적절한 대비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된 자료는 1994년에서 2003년까지 재해연보의 지자체별 피해액과 재해발생횟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지자체를 개의 지역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tribution Center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특성분석 및 재해감소에 관한 연구)

  • Kim, Young-Ge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560-565
    • /
    • 2022
  • Purpose: It is intended to prevent similar and similar disasters in advanc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industrial accidents by type of distribution center and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Method: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in detail the types of occurrences of each type of 5 years in the distribution center.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it was possible to find ways to reduce disasters.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help reduce the disaster rate of the distriution center by presenting a disaster reduc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distribution center.

Methodology for Facility Priority Assessment according to Disaster types (재난유형별 관리대상 시설물의 중요도 평가방법론 개발)

  • Park, Jae-Woo;Kim, Seok;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7-308
    • /
    • 2016
  • 자연재해에 따른 SOC시설물의 피해는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에 위험뿐 아니라 시설물을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지역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기에 재난재해 등의 위험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역 내 중요시설물이 어떤 것이 있는가를 파악하고 재난유형별로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해서 관리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물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재난재해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재난유형별로 시설물에 미치는 항목을 시설물별로 도출하여 각각의 항목별에 가중치를 적용해서 재난 유형별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alysis for the Disaster Recovery Centers of Information Systems (정보시스템 재해복구 센터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Heung-Si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230-2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정보시스템 재해복구 센터의 설계 시 사용될 수 있는 센터 유형 분석 모형을 제시한다. 국내 구축사례와 기존 문헌을 중심으로 재해복구센터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중요한 기준을 결정하는 3차원모형을 제안한다. 주요 변수로서는 복제솔루션, 복구신뢰수준, 및 아웃소싱 수준을 선정하였다. 제안된 변수 각각의 기준에 대한 제안 배경에 대해 논의하고 주요 특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Accident Types and Causes of Construction Cranes (크레인 관련 중대재해사례를 통한 재해 유형 및 원인 분석)

  • Kim, Hong-Hyun;Lee, G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7.04a
    • /
    • pp.109-112
    • /
    • 2007
  • As buildings become higher, larger, and more complex, safety issues for construction workers working at such environments become more important. We analyzed 140 critical accident cases reported to the KOSHA(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for construction cranes and lifts by types of cranes and by patterns of accidents and causes. By finding out the accident's types and causes, we expect to develop an efficient measure for preventing similar accidents in the near future. The cases will be studied further and reexamined using the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 PDF

A Study on Urban Disaster and Citizen Safety (도시재난과 시민안전에 관한 고찰)

  • Kim, H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29-230
    • /
    • 2022
  • 최근 수년간 국내외에서는 각종 재난이 잇달아 발생되고 있으며, 그 유형의 다양화와 규모의 대형화는 언제 어느 재난에 의해 우리가 불행을 당하게 될 런지 모르는 커다란 불안에 쌓이게 한다. 세계 도처에서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재해를 입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2~3년간 상상하기 어려운 대형의 인위재난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어 수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보았다. 그러므로 각종재난 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재해의 예방 및 수습에 관한 법체계, 조직의 구성운영, 대시민 홍보계획 등을 검토하고 사고유형별 대처방안 강구와 시민들이 알아두어야 할 재난의 예방 및 대처방법을 숙지함으로써 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고 재해 발생 시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습으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Prevention Methods by Type of Construction Disaster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건설현장 재해 유형별 예방 대책 분석)

  • Gyu Pil Jo;Myungdo Lee;Yoon-seok Shin;Baek-Joong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1
    • /
    • pp.13-1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provides prevention methods by type of construction disaster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 Based on the database that analyzed the cases of critical disaster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sector, preventive measures and causes are analyzed by text mining techniques, and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are visually shown. Result: This visual data represents the measures for preventing critical disasters of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will be helpful in identifying factors to be considered in preparing preventive measures for serious accidents in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