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 빈도

Search Result 51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국내 ${\cdot}$ 외 기준에 따른 폭염과 자연재해 발생빈도 고찰

  • Park, Jong-Gil;Jeong, U-Sik;Kim, Baek-Jo;Kim, Eun-Byeol;Song, Jeong-Hui;Lee,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44
    • /
    • 2007
  • 지난 14년 동안 발생한 자연재해에 의한 사망자수를 살펴본 결과 기존의 자연재해 중 호우${\cdot}$태풍, 호우, 태풍 순으로 높은 사망자수를 기록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수를 선행연구에서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크다고 알려진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국외기준과 국내기준을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서울의 기존의 자연재해와 비교하여 높은 사망자 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Heavy Rain Disaster Protection Characteristics Using ANN Technique (ANN기법을 이용한 호우재해 피해특성 예측 연구)

  • Soung Seok Song;Moo Jo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8-338
    • /
    • 2023
  • 최근 특정 지역에 짧은 시간동안 많은 강우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예측과 대비에도 불구하고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강우량 증가 추이로 시간최대 및 일최대 강우량 관측기록이 해마다 갱신되고, 도시, 하천 및 주요 홍수방어 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다수의 인구가 거주하고 대규모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처별 재난의 저감대책은 정량적인 피해규모의 피해금액 예측보다는 설계 빈도에 대한 규모의 크기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풍수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개발에 따르는 재해영향요인을 개발 사업 시행 이전에 예측·분석하고 적절한 저감대책안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설계빈도에 대한 규모일 뿐 정량적인 저감대책으로 예방되는 피해금액은 알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연보를 기반으로 호우재해(호우, 태풍)에 대한 시군구-재해기간의 피해데이터를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총 20년의 빅데이터와 전국 68개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총 20년(1999년 ~ 2019년)의 강우자료를 구축하였다. 머신러닝의 학습별 알고리즘을 조사하여 호우재해 피해데이터의 적용성이 높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Neural networks의 분석기술인 ANN기법을 선정하였다 피해데이터의 재해발생기간별 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총피해금액에 대하여 1999년 ~ 2018년을 학습하고 2019년에 대하여 강우특성과 피해특성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Neural Networks의 지도학습은 총 6,902개 중 2019년을 제외한 6,414개를 학습하였으며 분석 타깃은 호우재해의 피해규모를 분석할 수 있는 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총피해금액에 대하여 은닉노드 5개씩 2계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방재기상정보 DB를 활용한 김해시 자연재해 특성사례 분석

  • Park, Jong-Gil;Jeong, U-Sik;Choe, Hyo-Jin;Kim, Seok-Cheol;Park, Hwang-Su;Gu, Hyeo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27-230
    • /
    • 2007
  • 1985년-2004년 동안의 재해연보 자료를 전산화하여 필요한 자료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Database를 Table 2와 같이 구축하였다. 이 DB는 매년 발생하는 피해에 대하여 updata 해야 하는 자료이므로 피해액을 당해연도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재해연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총 피해액 합계의 오류와 지난 20년간의 행정구역의 변화를 재정리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상연보와 재해연보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재해 발생빈도가 원인별로 일치하지 않은 점을 발견하여 기상연보에는 있으나 재해연보에는 없는 사건을 DB에 추가하였다. DB를 구축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은 용어와 분류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과정과 사용하는 자료마다 수치가 달랐다는 점이다. 자연재해 피해 자료를 기재하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피해자료가 좀 더 체계적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또한 김해시에서 1,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힌 호우와 태풍 사례에 대하여 우심지역으로 분석된 한림면과 상동면, 생림면은 김해시 내에서도 특히 사전재해저감계획을 수립하여 매년 같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 PDF

Analysis of Unit-works for Design for Safety in Construction Work : Focus on Construction Projects of OO Corporation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위한 건설공사의단위작업 분석: OO공사의 발주공사를 중심으로)

  • Kim, Jin-Won;Cho, Gun-Hee;Song, Sang-Hoon;Bang, Jong-Dae;Sohn, Jeong-Ra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4
    • /
    • pp.315-322
    • /
    • 2016
  • Recentl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amended the law to Design for Safety in working design stage of construction work. There should be informed the disaster likelihood and severity of unit-works to decide risk of unit-works in Design for Safety. Therefore, the construction disaster data of ${\bigcirc}{\bigcirc}$ corporation were classified as 24 unit-works and the disaster likelihood and severity of unit work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unit-works which based on analysis data was suggested 3 groups; special management and emphasis management, regula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perform Design for Safety in construction. And this information will be able to reduce the disaster.

Identifying High-Priority Management Areas for Developing the Urban Disaster Risk Management System for Flood (도시 재해저감 업무지원 시스템 구현을 위한 도시침수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8-128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물과 관련된 자연재해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세계재난데이터베이스(EM-DAT)에서 집계한 물과 관련된 중요한 자연재해의 피해액은 지난 50년 동안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해액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지형적 요인, 인구 및 사회기반시설이 집중되는 도시지역의 확대 현상, 빈번히 발생되는 이상강우와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전국 곳곳에서 큰 침수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침수의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부처에서 도시계획적 및 방재차원에서 관련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무적 측면에서 실효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부담을 줄여주면서 기술지원이 가능한 도시침수 위험도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재해에 대해 평상시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투자, 개발계획 조정 등 사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도시침수의 위험정도에 따른 지역 분석과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통계자료를 토대로 전국 226개 지자체에 대해, 최근 8년(2008~2014년) 간 발생된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도시침수의 위험지역을 분류하였다. 국가재난정보센터의 재난통계기록의 호우발생횟수와 도시침수에 대한 피해정도를 고려하기 위해 건물과 공공시설에 대한 피해액을 분석항목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도시지역의 침수발생에 대한 중점관리대상지 선정을 위하여 각 행정구역의 면적계수를 적용한 뒤 분위분석을 실시하였다.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에 따라 위험도가 75% 이상으로 도시의 침수피해가 가장 높은 지역, 50% 이상이며 75% 미만인 지역, 25% 이상이며 50% 미만인 지역, 25% 미만으로 위험도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도시침수 위험지역을 상세 분류하고 도시침수에 의한 중점관리가 필요한 대상지 35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도시계획 및 방재 측면에서 도시침수와 관련된 저감대책을 고려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고, 지자체별 지원 규모 설정 시 적정 기준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Industrial Accidents' Big Data based on NoSQL (NoSQL 기반의 산업재해 빅 데이터 활용기법에 대한 연구)

  • Lee, Sang-Bum;Lee, JongHyeok;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51-252
    • /
    • 2014
  • 최근 들어, 여러 곳에서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심각한 인명피해와 경제적인 손실을 불러오고 있다. 산업재해의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재해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파악하여 원인을 차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여러 산업재해 간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반 하여 산업재해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여 잠재적인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업요인을 예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산업재해 빅 데이터 활용방법을 제시한다.

  • PDF

Construction of The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Internet GIS (무선 인터넷 GIS를 이용한 도시재해관리시스템구축)

  • 유환희;안기원;이민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1
    • /
    • pp.55-66
    • /
    • 2001
  • All kinds of disasters are occurring for several reasons in modern cities. So, We nee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deal with them at this point that Those disasters are getting larger and more frequent. We organized the database into three categories; the traffic accident database on traffic accidents that is recognized as a typical disaster resulting from vehicles's increasement rapidly in modern urban life, the gas explosion disaster database on gas explosion that causes to fatal damage through broad areas, and the bridge management database that contains bridge resource information and repair record.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internet GIS that can access the database and identify field information for the accident area in emergency situation as well as can modify and update the database in field directly, so that can cope with the disaster situations effectively.

  • PDF

A Study on Disaster Recognition and Fea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Based on Place Names (지명을 통해 본 재해인식 및 방재 가능성 탐색)

  • Kim, Sun-Hee;Park,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457-473
    • /
    • 2010
  • Pattern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disaster-related place names have been analyzed to confirm the recognition and probability of disaster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106 terms and 37,901 place names related to disaster and prevention measure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Korean gazetteers "Hanguk Jimyeong Chongnam". Based on this, some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ly, place names related to the geomorphic processes and prevention measures are more common than any other disasters; secondly, place names related to heavy rain, flooding and drowning are most common. Analysi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shows that disaster-related place names are most common in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general place names reflecting environmental concern such as water, sand, plain, rain and dam are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howe, r, place names such as dumbeong, gureong, yeoul, tan(灘), bangjuk, je(堤), and ji(池) are restricted to the specific region, which shows that place names reflects the locational and toprn sucic ainuations. Case st, anindicates that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focused on tributaries and srill villeys conaid ring that disasters originated from the combination of weather and landform conditions are most common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 PDF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an-Introduced Hazard for Nuclear Facilities (인위적 재해 인자별 영향 분석)

  • 이영순;이근오;손기상;심택모;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0-165
    • /
    • 2002
  • 원자력 발전소는 국민생활, 산업활동 및 공공업무 수행과 연결되는 중대한 시설로 주변의 인위적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발전이 중단되거나 설비가 훼손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원전시설 주변에 원전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ㆍ위험설비가 있을 경우에는 이들 설비가 원전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를 위험 형태별, 빈도별, 크기별로 나누어 평가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원전시설 주변에 인위적 재해 가능성이 있는 인자를 조사하고 이들 인자들은 어떤 위험이 있으며, 그 위험의 세기가 원전시설에 어떤 규모로 피해를 줄 것인가가 정확하게 평가되어야한다.(중략)

  • PDF

A Study on Risk Transference Processes of Natural Hazard - Focus on the human adjustment according socio-economic structure - (자연재해의 위험성 전이 과정에 대한 연구 - 사회.경제적 구조에 따른 인간의 적응양식을 중심으로 -)

  • Park, Eui-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47-255
    • /
    • 2002
  • In recent decad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zard has been changed and the global cost of natural disaster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There are several trends in society and nature that suggest this pattern may continue, with more frequent mega-disasters occurri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risk perception that is at odds with the "real" risk underlies the process of risk transference increases long-term vulnerability.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orrect risk transference and adjustments according to regional socio-economic structure can mitigate and reduce environmental, so called man-made haz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