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위험도 평가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Risk Percep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 Focusing BCMS Risk Assessment - (건설현장 관리자의 위험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CMS 위험평가 중심 -)

  • Song, Du-Hwan;Chong, Ch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7-258
    • /
    • 2022
  • 본 연구는 건설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재난에서의 위험인식이 BCMS위험평가를 매개로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의 사회적 이슈가 되는 중대재해 처벌법이 건설현장에서 기업의 사업주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사업주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업연속성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기업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건설현장을 운영하는 기업의 사업주에게 중대시민의 재해에 대하여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며, 대안으로 현재 행안부에서 적극추진중인 BCMS의 위험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의 관리자가 주체가 되어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고, 기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 Xiao-Jiao, Ni;Choi, Yun Soo;Ying, N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77-87
    • /
    • 2014
  • Recently there are many disaster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such as the eruptions in Tungurahua, Ecuador(2014) and $Eyjafjallaj\ddot{o}kull$, Iceland(2010).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disa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Baekdu Mountain area, where is the risky area because it is active volcano, based on the observed data and scientific methods in order to assess a risk, produce a hazard map and analyze a degree of risk caused by the volcano. Firstly, it is reviewed for the research about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eruption in 1215(${\pm}15$ years) done by Liu Ruoxin. And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 environmental effects, and vulnerability of Baekdu Mountain are assessed by the dataset, which includes the earthquake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deformation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fluid geochemical monitoring data, and the socio-economic statistics data. A hazard, especially caused by a volcano, distribution map for the Baekdu Mountain Area is produced by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e map is used to establish the disaster risk index system which has the four phase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re very high risky area when the Baekdu Mountain erupts, and the third and fourth phases are less dangerous area. The map shows that the center of mountain has the first phase and the farther area from the center has the lower phase. Also, the western of Baekdu Mountain is more vulnerable to get the risk than the eastern when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s are equally applied.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lower sta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the higher vulnerability.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an-Introduced Hazard for Nuclear Facilities (인위적 재해 인자별 영향 분석)

  • 이영순;이근오;손기상;심택모;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0-165
    • /
    • 2002
  • 원자력 발전소는 국민생활, 산업활동 및 공공업무 수행과 연결되는 중대한 시설로 주변의 인위적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발전이 중단되거나 설비가 훼손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원전시설 주변에 원전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ㆍ위험설비가 있을 경우에는 이들 설비가 원전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를 위험 형태별, 빈도별, 크기별로 나누어 평가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원전시설 주변에 인위적 재해 가능성이 있는 인자를 조사하고 이들 인자들은 어떤 위험이 있으며, 그 위험의 세기가 원전시설에 어떤 규모로 피해를 줄 것인가가 정확하게 평가되어야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Mitigation of Serious Accident to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Using Safety Risk Index (안전위험지수를 활용한 국가핵심기반의 중대재해 경감에 관한 연구 )

  • Gang, Shin-Woo;Kim, Jung-Go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1-252
    • /
    • 2022
  • 국가핵심기반은 국가 운영을 위하여 사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작업의 위험도 평가와 위험수준에 맞는 적절한 관리순찰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개발된 일일안전지수 제도를 소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일안전지수는 중대재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일안전지수제도는 다른 국가핵심기반에서도 적합하게 응용 적용하여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A Method for Constructing of Inventory based on Importance, Risk, Damages Estimation of Facilities in TB Area for Rapid Disaster Response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TB지역의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기반 인벤토리 구축)

  • Choi, Soo Young;Kim, Jin Man;Jo, Myu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9-5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에 따른 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평가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재해에 따른 시설물의 위험 발생 시 피해 시설물에 대한 구분 및 분류가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재난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물 건축물의 정보가 정부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정보로 관리되어짐으로써 재난관리 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HAZUS-MH와 DIMSuS의 위험도와 중요도 개념을 기반으로 피해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선정하고 국내 시설물 분류, 건축법규 및 자산 가치 산정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 재해 대응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성서산업단지를 TB지역으로 선정하고, TB지역내의 수변구조물, 산업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시설물의 속성 정보를 수집 구축하였다. 또한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해서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정보를 융합한 복합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TB지역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속성 정보와 연계하여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벤토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Manufacturing Risk Assessment Officer - (안전교육의 효과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제조업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중심으로 -)

  • Jin Eog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1
    • /
    • pp.97-104
    • /
    • 2023
  • Purpose: The web based KRAS risk assessment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risk assessment in small businesses and provides an assessment model for each type of busines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risk assessment, private institutions have opened and operated training in charge of risk assessment. It will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charge of risk assessment and measures to improve and revitalize it accordingly. Method: Using SPSS 22 for 670 workplaces that completed risk assessment personnel training within 5 years from 2017 to 2021, the disaster rate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by dividing groups of less than 100 people into groups of 100 people. Result: Hypothesis 1-5 are adopted and reject 5-8.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organization of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mpany for corporate education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and to enhance the benefits of recognizing risk assessment.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Preventing Accidents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재해예방을 위한 건축공사 설계단계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 Han, Byoung-Soo;Park, Chan-Sik;Hong, Su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2
    • /
    • pp.68-74
    • /
    • 2007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afety management is activated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to prevent accidents and fatalities of worker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about 15% of fatal death accidents is caused by the lack of management of planning and design phases. There is a crucial need of assessing safety risk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This paper is aimed to develop a safety risk assessment checklist that can be used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utilizing the concept of Design for Safety. In doing so, a broad literature survey on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Process, various safety risk assessment toolboxes being utilized in the HSE and the BAA of UK. The proposed checklist contains the followings: 1)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safety design on space, element, and trade work 2) hazard risk factor, probability and degree of intensity of accident occurrence, and 3) safety assessment criteria. It is expected that the checklist would be an effective tool of preventing and minimizing fatal accid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nalysis of flood and drought disaster risks in the Mekong Delta (메콩 삼각주의 홍수 및 가뭄 재해 위험 분석)

  • Ko, Ick Hwan;Choi, Byung Man;Kim, Jeongkon;Kim, Euge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5-55
    • /
    • 2019
  • 메콩강 유역에서 가장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메콩 삼각주는 상류에 일어나는 많은 활동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기후 변화와 미래개발의 맥락에서 재해 위험을 평가하는 것은 기후현상/극한날씨, 취약성, 노출, 현재 위험 관리 및 적응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홍수, 가뭄, 염수침입은 IQQQM과 IS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베트남 정부가 승인한 최신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이 지역의 향후 토지이용, 물이용 및 상류에서의 수력발전 계획과 함께 모델링에 사용되었다. 홍수, 가뭄 및 염수치입 정도를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하였고, 최종적으로 GIS 도구를 사용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리스크 분석 결과 저위험구역의 2모작 및 3모작 논의 면적은 6,381 ha로 떨어지고 중위험지역과 고위험구역의 2모작과 양식장 면적은 각각 약 7만 ha와 9,000 ha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과 염도에 대한 위험 분석은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위험의 심각성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분석 결과 메콩 삼각주에서는 전반적으로 향후 기후변화와 상류발전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 홍수 및 가뭄재해의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 및 가뭄에 대한 보다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관리가 향후 재난에 대비하여 지역사회의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Risk about Concentrated Area of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 Focused on the Bukchon - (국내 한옥마을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 Kim, Bong-Chan;Kim, Dong-Eun;Lee, Ju-Hee;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8-261
    • /
    • 2011
  • 본 연구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방법 중 도시방재 실무 핸드북의 재해위험도 판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북촌한옥마을의 가회동 31번지일대 및 11번지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것으로서, 그 결과 A B구역에서는 도로폐색과 피난곤란으로 도시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 D구역에서는 목방건폐율 불연영역율 제외한 부분에서 낮은 위험도를 보였다.

  • PDF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Estimated by Considering Freeboard Only (여유고만으로 추정된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의 지진시 파괴확률)

  • Ha, Ik Soo;Lee, Soo Gwun;Lim, Jeong Yeul;Jung, Young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3
    • /
    • pp.451-46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estimating the failure probability of small fill dams subjected to earthquake events and to estimate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where geotechnical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In this study, first of all, seismic failure probabilities of 7 disaster risk small fill dams, where geotechnical information is available, were evaluated using event tree analysis. Also,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evaluating probabilities are illu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m height and freeboard for 84 disaster risk small dams, for which the safety diagnosis reports are available, was examined. This relationship wa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computation equation contained in the toolbox of US Army corps of engineers. From this association, the dam height-freeborard critical curve, which represents 'zero' failure probability, was derived.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was estimated using the critical curve and the failure probabilities computed for 7 small d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