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해분석

검색결과 2,701건 처리시간 0.03초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특성분석 및 재해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tribution Center)

  • 김영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60-565
    • /
    • 2022
  • 연구목적: 물류센터의 유형별 산업재해 발생형태를 분류하여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 및 유사 재해를 사전에 재해를 예방코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물류센터에서 발생된 5년간의 유형별 발생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책을 수립 연구결과: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결론: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제시하므로써 물류센터의 재해율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한사면해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사면 재해 위험성 분석 및 검증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lope Disaster Hazard Using Infinite Slope Model and GIS)

  • 박혁진;이사로;김정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4호
    • /
    • pp.313-320
    • /
    • 2003
  • 사면재해는 강우기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질재해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평균 약 23명 정토의 인명피해가 사면재해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면재해는 다양하고 복합한 지질 및 지형 특성과 갉은 공간적인 특성과 집중호우와 같은 기후특성에 의해 좌우되므로 사면재해 예측이나 위험성에 대한 정량적인 산정을 무척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GIS를 이용한 위험성분석이나 확률을 이용한 다양한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GIS를 이용한 기법은 광역적인 지역에 대하여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사면재해 관련 연구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무한사면해석기법은 사면재해의 발생여부와 관련요인간의 연관성에 대한 단순한 통계적인 분석에 의한 기존 기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사면재해발생과 관련된 역학적인 검토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면재해가 발생했던 지점과의 비교를 농하여 지반이 완전히 포화된 경우, 즉 m=1인 경우 무한사면모델에서 불안정하다고 해석된 지역에서 전체 사면재해의 87.5%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어 사면재해에 대한 해석기법으로서의 착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빅데이터 기반 재난 재해 위험도 분석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Disaster Risk Assessment)

  • 채수성;장선연;서동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71-777
    • /
    • 2018
  • 본 연구는 재난 재해 시 해당 지역의 취약성 및 재해 위험성분석을 보다 세밀하고 광범위한 분석을 진행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기반 재난 재해 위험도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오픈소스 기반 재해 위험도 평가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가 단 시간 내에 처리될 수 있도록 분산 및 병렬처리가 가능한 프레임 워크를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재난재해 분석 성능평가 시 기존 시스템에 비해 빠른 분석 처리 성능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재난 재해 상황 분석 및 재난 유형별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주요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재해 상황 시 정확한 판단과 분석과 효과적인 대응을 통한 사전대비가 가능할 것이며, 정확한 피해 산정 예측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 규모를 최소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공사유형별 건설수주액을 고려한 건설재해수준 평가기법 (Assessment of Accident Level Based on Contract Amount by Type of Construction)

  • 이규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3
    • /
    • 2021
  • 재해자수를 상시근로자수로 나눈 값이 재해율이다. 건설공사의 경우 공사실적과 노무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상시근로자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해율을 산정하므로 재해율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현행 재해율 산정기준은 공사유형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사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재해율 보완방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지난 18년간의 공사실적 및 재해건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선형회귀분석, 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공사유형과 재해유형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식은 기존의 건설공사 재해율의 단점을 보완하여 재해의 증감 및 예년대비 재해율의 높고낮음을 판단하는 보조지표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해손실 비용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 권희봉;나승훈;김태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11-111
    • /
    • 2000
  • 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비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기업이나 국가적으로 그 만큼의 이익분에 대한 손실로 발생되어진다. 영국의 경우 재해로 인한 손실비율이 기업이익의 5∼1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최근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의 정확한 파악과 분석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손실 비용의 파악과 그 분석 기법의 체계적 비교 조사 하였다.

  • PDF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 박종영;이정식;이진덕;이원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2
    • /
    • 2018
  •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재해에 대한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간단위, 재해취약성 등급 그리고 기후적 요소의 조건에 따라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는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중 폭우재해만을 대상으로 하여 집계구 이외의 읍 면 동단위의 공간단위와의 상대적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4등급 단계로 획일화되어 있는 자연적 분류법을 2등급 단계, 4등급 단계, 6등급 단계로 점차 확대해감으로써 분류단계에 따른 취약지구의 상대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가지로 한정되어 있는 강우특성에 대하여 기왕최대강우량(10분, 60분, 24시간)을 추가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지표별 재해취약지구의 상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폭우 취약성 지표에 따른 상대적 평가 결과 공간단위에 따라서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집계구와 읍 면 동단위의 공간분석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해취약성 등급단계, 강우특성의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석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지표 설정 시 세밀한 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 4년간 국내 사면재해 현장조사를 통한 유발인자 분석 (Analysis of Slope Hazard Triggering Factor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n Korea Over the Past Four Years)

  • 전경재;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47-5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서 2014년까지 최근 4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사면재해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재해발생지의 지질 및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사면재해 현황 및 유발강우와 지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성암 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면재해가 발생하였으며, 사면재해 중에서는 토석류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강우량이 높을 때 사면재해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사면재해는 최대시간강우량이 내린 이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사면재해 발생횟수는 1개월 이상의 장기강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금융권 재해복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Disaster Recovery System in Bank Industry)

  • 김용수;백승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23-229
    • /
    • 2005
  • 대규모 투자를 통하여 구축된 재해복구시스템(DRS)도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소흘히 하면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최초의 구축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쓸모없는 시스템으로 전락할 소지가 있다. 또한 재해복구체계는 전산장비의 이중화에 의해서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재해 시 재해복구시스템 유지를 위해서는 기존 전산센터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져야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IT 측면에서의 프로젝트 추진이 아니고 전산센터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프로세스 측면에서 분석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 전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설계하는 사업연속성계획 수립이 절실하다. 따라서 국내 금응권 재해복구시스템의 현상 파악을 통하여 실효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문제의 원인과 보완책을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 PDF

산지유역 재해지도 작성 기법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Disaster Mapping Techniques in Mountainous Watershed)

  • 이현채;전계원;오채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9-179
    • /
    • 2017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는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산지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에 의해 태풍 및 집중호우가 빈번해 산지재해의 발생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대규모의 인적, 물적 등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지재해 같은 경우, 예측이 어려우나 그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지재해의 발생예상 지역, 피해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재해지도는 그에 따른 예측 자료로써 대상 지역의 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영향 등을 표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재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정량적 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결정론적 기법(SHALATAB, SINMAP, GEOtop-FS), 확률론적 기법(빈도비분석법, 우도비, 증거가중법 등), 통계적 기법(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기법 중 하나인 결정론적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실제 위험지역과 비교하였다. 추후에 확률론적 기법과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의 개선방안 검토 : 해수면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A Review on Improv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 Focusing on Sea Level Rise Disasters)

  • 김지숙;김호용;이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60
    • /
    • 2014
  • 본 연구는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하여 현재 시행중인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한 방안마련의 일환으로, 현행 재해취약성분석 제도의 특징과 개선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해운대구를 대상으로 재해유형 중 해수면 상승 재해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집계구와 동을 분석단위로 설정하여 각각 재해취약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과정과 분석결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단위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도출되는 공간단위수정가능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개선방안 검토는 분석진행 과정별로 도출하였으며, 분석의 기반이 되는 공간단위의 설정단계에서는 분석단위 조정, 점수산정방식 조정, 재해유형별 명확한 분석방안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실행 단계에서는 변수에 따른 가중치 설정, 변수의 다양화, 주관적 분석선정방안 배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도시종합 재해취약성분석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한 도시방재력 향상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